선포아풀(7.31)
[특징]1. 지하경이 있어 모여 자란다.2. 엽설은 0.2~1mm로 매우 짧다.[기재문]학명은 Poa nemoralis L. 길가, 그늘진 풀숲, 숲속 주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긴 땅속줄기가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높이는 45~59cm이고, 6~7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은 매끄럽고 입구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잎혀는 0.5~0.7mm로 끝이 납작하다. 잎몸은 길이 14~19cm이고, 너비 1.8~2.4mm이다. 꽃은 6~7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의 마디에서 3~4개의 가지가 나오며, 원추형을 이루고, 길이 9~14cm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2.9~5.5mm로, 꽃이 2~3개 들어 있고, 소화 아래에는 긴 털이 있고, 꽃이 달리는 축에도 연한 털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5~3.0mm..
2024. 8. 22.
솜흰여뀌(5.5)
흰여뀌의 변종으로 흰여뀌에 비해 잎과 줄기에 백색의 길고 부드러운 털이 많다. [비교] 탁엽 끝부분의 털- 털이 없다 : 흰여뀌, 솜흰여뀌, 큰개여뀌(명아주여뀌), 털여뀌- 털이 있다 : 그외(봄여뀌는 0.4~3mm)[비교] 종자 모양- 편원형 : 흰여뀌, 솜흰여뀌, 큰개여귀, 털여뀌, 봄여뀌- 세모진 난형 : 그외 솜흰여뀌 신엽(4.24)'21.4.24hyunsik.tistory.com 솜흰여뀌 열매, 종자(5.27)흰여뀌의 변종으로 흰여뀌에 비해 잎과 줄기에 백색의 길고 부드러운 털이 많다. [비교] 탁엽 끝부분의 털- 털이 없다 : 흰여뀌, 솜흰여뀌, 큰개여뀌(명아주여뀌), 털여뀌- 털이 있다 : 그외(봄여hyunsik.tistory.com'20.5.5.
2022. 5. 28.
선개미자리(5.28)
선개미자리는 포장도로 틈과 같은 인공적인 생육지에서 주로 자라며, 중부 유럽 일대에 분포한다.본 종은 잎이 합생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으며, 꽃이 백색인 점으로 국내에 보고된 개미자리 및 큰개미자리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꽃이 4수성이고, 엽연에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이 수평으로 펴지고, 가장자리가 적색이며,종자표면에 볼록한 돌기가 있는 특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본 종의 국명은 줄기가 직립하는 특징을 반영하여 선개미자리로 신칭하였다.한편 선개미자리는 유럽에 자생하는 S. apetala Ard.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종 동정에 어려움이 있다.그러나 S. apetala는 주로 모래가 많은 건조한 초원에서 생육하며, 꽃받침잎이 열매에 밀착되고,외부 꽃받침잎이 예두 또는 평두에 가까우며,꽃받침잎 길이가 ..
2022.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