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사154

산작약 꽃, 열매(5.31) [기재문]학명은 Paeonia obovata Maxim.이며 종소명 obovata는 '도란형의' 의미.희기멸종위기식물. 습기가 많고 반 그늘진 숲속에 살며 5~6월경에 분홍색 꽃을 피운다. 깊은 산 낙엽 활엽수림 및 혼합림의 숲 안 반 그늘진 곳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갈라지며 길고, 자르면 보통 홍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70cm이고 가지를 친다. 잎은 엇갈려 달리는데 1~2회 3갈래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 잎은 도란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거나 잎줄 위에만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지름 7~10cm로 벌어진다. 꽃잎은 5~7장으로 보통 연한 분홍색 또는 홍색이다. 수술은 많.. 2024. 6. 3.
사술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학명은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var. tetrandrum Y.N.Lee이고 산괭이눈의 변종이다. 수술이 8개인 산괭이눈과 달리 사술괭이눈은 수술이 4개(4술)이지만 그 이상의 수술이 보인다. [괭이눈속 종 검색표] 1. 잎이 어긋남 2. 개화기에 포엽이 노란색 ----- 시베리아괭이눈(백두산) 2. 개화기에 포엽이 녹색 또는 연녹색임 3. 무성지가 있으며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이 이형 ----- 애기괭이눈 3. 무성지가 없고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이 동형 ----- 산괭이눈 1. 잎이 마주남 산괭이눈(4.14) [특징] 잎은 어긋나고 무성지가 없다. [기재문] 학명은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자락의 숲 가장.. 2024. 3. 21.
세모부추 (산부추로 통합, 백합과 부추속) 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열매는 3개의 방으로 나누어진다. 세모부추, 세모산부추, 참산부추, 한라세모부추 및 강부추는 산부추(Allium thunbergii G.Don)로 통합 - 산부추 : 꽃대가 잎보다 길다. 암술이 꽃잎 길이와 유사. 엽초는 매립. 잎 하단이 삼각형. - 참산부추 : 꽃대가 잎보다 짧다. 암술이 꽃잎 길이보다 길다. 엽초는 노출. 잎은 편평하지만 주맥이 돌출. - 세모부추 : 잎은 삼각형이지만 맥이 있고 중공. 엽초는 노출. 꽃은 다소 성기게 달린다. - 세모산부추 : 꽃이 성기게 달리고 엽초는 매립하며 한라부추의 변종. - 강부추 : 임진강, 한탄강 등에 자생. 잎에 중륵이 없으며 단면은 원형이고 속이 비어 있다. 산부추 (참산부추 / 백합과, 부추속) 강부추, 참.. 2023. 11. 28.
세잎돌쩌귀 (투구꽃으로 통합) 학명은 Aconitum triphyllum Nakai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3갈래로 전열(全裂)한다. 양쪽 열편은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2-3쌍의 끝이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 특히 맥위에 엽병의 윗부분과 더불어 꼬부라진 털이 비교적 많이 있고 뒷면은 털이 없으며 열편에 엽병이 없는 것도 있다. 꽃은 9월에 피고 청자색이며 줄기끝 잎겨드랑이에 2-3개씩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화경과 꽃자루에 수평으로 퍼진 털이 있으며 작은포는 선형이고 꽃받침겉에 긴 백색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꽃잎같고 청색이다. 수술은 다수로서 하부가 날개모양으로 퍼지고, 씨방은 3개이며 털이 없다. '21.6.7 2023. 9. 17.
선이질풀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털둥근이질풀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털둥근이질풀 (Geranium koreanum var. hirsutum Nakai) (tistory.com) 털둥근이질풀 (Geranium koreanum var. hirsutum Nakai) '08.8.14일 / 대구 털둥근이질풀과 둥근이질풀 차이 - 털둥근이질풀 : 소화경에 털이 있고, 꽃잎 hyunsik.tistory.com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60~90cm, 가지를 치고 전체에 아래로 향하는 털이 있다. 뿌리잎은 둥글고 길이 7~10cm, 5~7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잎자루는 길이 30cm쯤이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갈래잎은 난형,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 뒷면 맥.. 2023. 8. 19.
산둥굴레 꽃은 1~2개가 달리며 줄기에 능각이 없고 잎 뒷면에 유리질 같은 돌기가 있다. '23.4.24 2023. 4. 24.
사막갓 (배추과, 배추속) 학명은 Brassica tournefortii 개화시기가 매우 빠르다(2~4월) 북아프리카 및 중동 원산으로, 일년초이나 한국에서는 월년초 형태도 보고되었다. 기부에는 강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적어진다. 긴갓냉이 꽃(배추과, 노란장대속/4.16) [기재문] 학명은 Sisymbrium orientale L. 길가나 빈터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25~7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아래쪽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위쪽에는 털이 거의 없다 hyunsik.tistory.com '23.3.17 2023. 3. 24.
실맥문동 (백합과, 맥문아재비속) [비교] 실맥문동, 소엽맥문동 * 실맥문동 : 잎은 길이 30~40cm, 폭 1.5~2.5mm. 포짬에 2~4개의 꽃이 핀다. 근경이 없다. * 소엽맥문동 : 잎은 길이10-30cm, 폭 2-4mm. 포짬에 1~2개의 꽃이 핀다. 근경이 있다. --------------------------------------------------------------------------------------------------------------- * 맥문아재비속(파란색 열매) : 맥문아재비, 실맥문동, 소엽맥문동 * 맥문동속(검은색 열매) : 맥문동, 개맥문동, 좀맥문동 [기재문] 학명은 Ophiopogon japonicus var. umbrosus Maxim. 잎은 뿌리에서 몹시 모여나기하고 선형으로 길이 .. 2023. 2. 10.
섬쥐깨풀 (꿀풀과 쥐깨풀속) 학명 : Mosla japonica var. thymolifera (Makino) Kitam.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3cm, 나비 4-15mm로서 양면에 선점과 더불어 백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이 5mm정도이지만 위로 갈수록 잎과 더불어 짧아지고 긴 백색 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며 산쥐깨풀의 꽃과 비슷하지만 백색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긴 백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긴 털과 더불어 짧은 털이 있으며 과시에는 길이 4mm정도이다. 분과는 길이 1.5mm, 지름 1mm정도로서 타원체이고 황갈색이며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높이 15-40cm이고 줄기는 녹색이며 사능형이고 옆으로 퍼진 백색 .. 2022. 11. 17.
서양쐐기풀(7.9) 학명은 Urtica dioica L.이며 종소명 dioica는 '자웅이주' 의미이다.가는잎쐐기풀과 유사하나, 자웅이주이며 식물체에 자모와 강모가 밀생하지만 일찍 탈락하며, 단성화고, 5월에 개화하는 점으로 구분된다.--------------------------------------------------------------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1. 탁엽은 합생한다···············U. thunbergiana (쐐기풀)1. 탁엽은 이생한다.   2.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다·····················································U. laetevirens (애기쐐기풀)   2. 잎은 좁은 피침형, 장타원상 피침형, 장타원형 또는 선형이다.      3. .. 2022. 9. 7.
세복수초(2.25) 개복수초 (3.9)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검색표] 1. 줄기는 불분지하고,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악편은 좌우대칭형으로 평균 8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 . ----- 복수초 1. 줄기는 분지하 hyunsik.tistory.com 복수초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검색표] 1. 줄기는 불분지하고,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악편은 좌우대칭형으로 평균 8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 . ----- 복수초 1. 줄기는 분지하 hyunsik.tistory.com 세복수초 꽃 (3.13)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검색표] 1. 줄기는 불분지하고,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악편은 좌우대칭형으로 평균 8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 2022. 7. 19.
선개미자리(5.28) 선개미자리는 포장도로 틈과 같은 인공적인 생육지에서 주로 자라며, 중부 유럽 일대에 분포한다.본 종은 잎이 합생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으며, 꽃이 백색인 점으로 국내에 보고된 개미자리 및 큰개미자리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꽃이 4수성이고, 엽연에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이 수평으로 펴지고, 가장자리가 적색이며,종자표면에 볼록한 돌기가 있는 특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본 종의 국명은 줄기가 직립하는 특징을 반영하여 선개미자리로 신칭하였다.한편 선개미자리는 유럽에 자생하는 S. apetala Ard.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종 동정에 어려움이 있다.그러나 S. apetala는 주로 모래가 많은 건조한 초원에서 생육하며, 꽃받침잎이 열매에 밀착되고,외부 꽃받침잎이 예두 또는 평두에 가까우며,꽃받침잎 길이가 .. 2022. 4. 14.
새우말(5.15) [기재문]학명은 Phyllospadix iwatensis Makino잎은 끝이 둥글고 선형이며 길이 20-100cm, 폭 2-4.5mm이고 3맥이 있으며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이 평활하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엽초로 되고 끝이 귓같이 자란다.꽃은 이가화로서 3월에 피며 화서는 지하경에서 나오고 포 안에 들어 있으며 길이 10cm정도이고 화경은 길이 3cm정도이다. 포는 끝에 엽편이 달리며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裸花가 2줄로 달린다. 암꽃은 소화경이 없는 1개의 자방으로 되며 수꽃은 화경이 없고 꽃밥은 1실이다.열매는 화살밑과 같은 심장형으로서 길이와 나비가 각 4mm정도이며 양끝이 좁다.줄기는 짧으며 길이 8cm로 납작하다.지하경은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 사이가 짧으며 털로 덮여 있고 잎이 총생한다... 2022. 3. 27.
섬말나리 (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14.5.17 2022. 2. 24.
서양갯냉이 (배추과, 서양갯냉이속/5.24) [기재문] 학명은 Cakile edentula (Bigelow) Hook.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바닷가 조간대 상부 모래밭이나 자갈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10~50cm, 다육질로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 아래쪽 잎은 도란형 또는 주걱형으로 가장자리에 거친 이모양톱니가 있다. 줄기 위쪽에 달리는 잎은 도피침형으로 보다 작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흰색 또는 옅은 보라색으로 간혹 발달하지 않거나 거센털로 된다. 꽃자루는 3~7mm, 위쪽이 통통하게 비후해진다. 열매는 기둥 모양으로 길이 1~3cm, 8~9월에 익으며, 2마디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이래 강원도 고성, .. 2022. 2. 15.
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잎은 엽병이 길며 광란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 특히 긴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며 통부의 내외부에 털이 있다. 분과는 지름 1.5mm로서 둥글다. 줄기는 둔한 사각이 진다. 청소엽 (Perilla frutescens for. viridis Makino) 잎은 청색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 특히 긴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백색이며 통부의 내외부에 털이 있다. 분과는 지름 1.5mm로서 둥글다. 줄기는 둔한 사각이 진다 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2021. 10. 23.
산골무꽃 (6.14) '19.6.14 2021. 4. 17.
성긴그늘사초 (Carex lanceolata Boott var. laxa Ohwi) 측소수에 꽃이 느슨히 달리고 (2~3, 4)달리고 화축이 심하게 구불거린다. '21.4.7 2021. 4. 8.
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var. heracleifolia)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개씩 1-2회 갈라진다. 소엽은 넓고 크며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소엽병이 있으며 밑부분이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3-8cm, 폭 2-5cm로서 가장자리가 흔히 2-3개로 갈라지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털이 없다.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 윗부분에 큰 복총상화서가 발달하며 많은 수의 꽃이 촘촘히 달리고 화경이 짧다. 꽃받침잎은 4-5개이고 꽃잎은 3-4개로서 백색이며 선단이 대개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다수이고 자방은 짧은 대가 있다.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1cm정도이고 타원형이며 끝에 갈고리처럼 휘어진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는 흑자색이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털이 없다. '15.10.10 승마 더보기 승마 '22.9.22 승마 (꽃) 보기 : hyunsi.. 2021. 3. 10.
실부추 (백합과, 부추속) 애기실부추(Allium tenuissimum)는 실부추에 비해 소화경이 짧다. 소화경 길이는 화피의 1.5~3배 실부추(Allium anisopodium Ledeb.)는 소화경 길이가 다르며 결실시에는 1.5~3.5cm. 2021. 3. 9.
삼잎국화(원추천인국속/9.2) [기재문]학명은 Rudbeckia laciniata L.이며 종소명 laciniata는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의미. 관상용으로 도로변, 정원, 민가 주변 등에 심어 기르거나 야생화하여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높이 2m쯤 자라고, 분백색이 돌며 왕성하게 퍼진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5~7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잎은 3~5개로 갈라지고 잎자루가 없으며 열편이 다시 2~3개로 중앙까지 갈라진다. 머리모양꽃은 7~9월에 피는데 긴 꽃자루 끝에서 옆으로 처지며 혀모양꽃과 관모양꽃으로 구성되어 있다. 혀모양꽃은 주변부의 것은 황색이며 중심부의 것은 녹황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6~8cm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기도 하며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꽃의 추출물은 녹.. 2021. 3. 8.
섬곽향 (Teucrium viscidum Blume) 2021. 1. 10.
섬쑥부쟁이 (10.16) [기재문] 학명은 Aster glehni F.Schmidt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3-19cm, 나비 4-6cm로서 밑부분이 짧은 엽병으로 되어 좁아지며 양면에 잔털이 드물게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위로 가면서 점차 좁아져 화서에서는 선형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15mm로서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5-20mm로서 갈색 털이 있다. 총포는 통형이며 길이 4-5mm이고 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녹색이고 길이가 거의 같으며 線狀(선상)으로서 외편은 예두이고 짧은 털이 있으며 내편은 보다 뾰족하다.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화관은 길이 9-11mm, 나비 1.5-2mm로서 백.. 2021. 1. 2.
수송나물 '20.6.3 2020. 12. 27.
섬조릿대 (조릿대속/10.17) [기재문] 학명은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이며 울릉도에 분포한다. 산 중턱, 숲의 길가에서 자라는 목본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길게 뻗고, 줄기는 곧게 서고, 원줄기의 높이는 1m 정도이다. 가지는 잘 갈라지지 않고, 마디에 달린 잎집 모양의 포는 떨어지지 않는다. 초상엽은 녹색이지만 점차 회백색으로 되며 포편은 젖혀지고 위로 갈수록 커진다. 잎은 2-7개씩 달리며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7-20cm, 폭 1.5-5cm로서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중맥 기부에 털이 있다. 엽초는 잔털이 있으며 견모(肩毛)가 2-3개 있는 것이 있다. 꽃은 3-4년생의 줄기옆에서 나오는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소수는 3-5개의.. 2020. 11. 20.
세잎양지꽃 (4.24) [기재문] 학명은 Potentilla freyniana Bornm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자생한다. 잎은 3출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원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5cm, 폭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자주빛이 돌며 탁엽은 난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3-4월에 길이 15-30cm의 화경이 나와서 꽃이 피며 취산화서를 형성하고 꽃은 지름 10-15mm 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예첨두이고 표면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부악편은 선형이다.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고 요두이며 꽃받침보다 1.5배 정도 길고 암술과 수술이 많으며 화탁에 털이 약간 있다. 열매.. 2020. 3. 5.
새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citriodora (Makino) Ohwi) 털들깨와 달리 포엽에 털이 없다. '19.9.11 / 경남 새들깨 신엽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429 새들깨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51 새들깨 털들깨 포엽 비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69 들깨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47 새들깨 들깨 열매 비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50 털들깨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68 2019. 10. 26.
서양메꽃 (Convolvulus arvensis L.) '19.6.4 / 경북 서양메꽃 열매 보기 : 서양메꽃속(미기록)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944 2019. 6. 7.
섬갯쑥부쟁이 (Aster arenarius (Kitam.) Nemoto) '12.8.16 / 포항 2018. 11. 18.
소엽풀 (Limnophila aromatica (Lam.) Merr.) 소엽풀 (현삼과, 구와속) 논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거의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털은 없거나 돌기 모양의 샘털이 성글게 있으며, 높이 10~30cm쯤으로 기부가 약간 옆으로 긴다. 잎은 마주나고, 아랫 hyunsik.tistory.com '18.11.5 / 제주도 잎은 대생하거나 밑부분에서 3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cm, 폭 3~7(10)mm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낮은 톱니가 있다. 9~10월에 개화하며 황백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7~15mm이고 꽃받침 밑에 소포가 잇다. 꽃받침은 길이 5~7mm로서 5개로 중열되며 열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화관은 길이 10mm 정도로서 다소 황백색이 돌며 4개의 수술 중 2개.. 2018.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