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사154

산제비란 (6.2) [제비난초속의 종 검색표]1. 잎은 위로 가면서 서서히 작아진다.    2. 잎은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입술꽃잎(순판)의 가운데 갈래는 길이 13~20mm이다. ----- 갈매기란    2. 잎은 넓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입술꽃잎(순판)의 가운데 갈래는 길이 5~8mm이다. ----- 흰제비란1. 잎은 위로 가면서 갑자기 작아지며 밑부분의 1~3장만 크다.    3. 입술꽃잎은 원형, 난형, 타원형이며, 위로 말린다. ----- 고산제비란    3. 입술꽃잎은 혀 모양이며, 위로 말리지 않는다.          4. 꽃은 흰색이며, 맨 아래 2장의 잎은 마주난 것처럼 보인다. ----- 제비난초         4. 꽃은 녹색 또는 황록색이며, 맨 아래 2장의 잎은 뚜렷이 어긋나 보인다... 2014. 9. 19.
숙은처녀치마 (Heloniopsis tubiflora Fuse & al.) '14.5.11 / 경남 숙은처녀치마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567 http://blog.daum.net/watcher/8766733 숙은처녀치마 열매 보기 : 처녀치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881 숙은처녀치마 : 잎에 톱니가 없다 처녀치마 : 잎에 톱니가 있다. 2014. 8. 28.
섬까치수염 (Lysimachia acroadenia Maxim.) '14.7.26 / 제주도 진퍼리까치수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689 큰까치수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099 까치수염 보기 : 갯까치수염 보기 : 홍도까치수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67 버들까치수염 보기 : 물까치수염 보기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지만 보통 좁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6-15cm, 나비 1.5-4cm로서 밑부분이 길이 1-3cm의 엽병으로 흐르고 뒷면에 자갈색 점이 있으며 가장자리 근처에 자갈색 선체가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홍백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10-30개가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5-8mm로서.. 2014. 8. 3.
상치아재비 (Valerianella olitoria Pollich) '14.5.4일 상치아재비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373 상치아재비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87 1년생 외래식물. 수과포엽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원두이며 길이 2-8mm. 꽃받침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1mm, 끝이 불규칙하고 희미한 톱니가 있음. 화관은 짧은 통형으로 끝이 5열됨. 납작하고 길이 2-4mm. 여러 번 차상분지. 4개의 능선있고 능선위에 미세한 털있음. 아래쪽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주걱형. 길이 1-3cm, 나비 0.4-1mm, 끝은 둔두. 기부는 점차 좁아지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함. 가운데 부분 이상은 잎자루가 없으며 장타원형. 2014. 5. 28.
새방울사초 (Carex vesicaria L.) '14.5.1 / 함안 새방울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518 http://blog.daum.net/watcher/8764146 새방울사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519 잎은 편평하고 단단하며 폭 3-6㎜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혈자색 또는 자갈색이고 그물처럼 갈라진다. 화경(花莖) 끝부분에 있는 2-3개.. 2014. 5. 3.
섬남성 (Arisaema takesimense Nakai) '12.8.11일 / 울릉도 나리분지 점박이천남성과 형태는 비슷하나 잎에 무늬가 있음 2012. 8. 26.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Nakai) '12.8.12일 / 울릉도 섬초롱꽃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295 초롱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314761 근생엽은 길이 20cm, 나비 3.5-8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흔히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위로 가면서 긴 타원형으.. 2012. 8. 25.
설령쥐오줌풀 (Valeriana amurensis P.A.Smirn. ex Kom.) '12.6.20일 / 예천 설령쥐오줌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34 잎은 마주나며 첫째 줄기잎과 포복지의 잎은 엽병이 난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갈라지지 않는다. 두번째 경생엽과 포복지의 잎은 3출복엽으로서 꼭대기 소엽은 길이 10cm에 이른다. 줄기 중간의 잎은 가장 크.. 2012. 7. 20.
산외 (Schizopepon bryoniaefolius Maxim.) '12.5.26일 / 예천 산외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419 덩굴성 일년초.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심원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2cm로서 표면은 흔히 털이 산생하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 5-7개로 .. 2012. 7. 11.
새완두 (Vicia hirsuta (L.) Gray) '12.4.15일 / 대구 얼치기완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862518 2012. 6. 9.
산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var. zawadskii) '11.10.31일 / 봉화 구절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499908 포천구절초 보기 : 남구절초 보기 : 한라구절초 보기 : 바위구절초 보기 : 2011. 11. 13.
세잎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11.10.9일 / ㅇ ㅅ 세잎승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624 세잎승마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99 세잎승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755 개승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420 한라개승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499 눈빛승마 보기 : http://blog.daum.net.. 2011. 10. 11.
세포큰조롱 (Cynanchum volubile (Max.) Hemsl.) '11.7.16일 세포큰조롱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60 세포큰조롱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491 2011. 7. 17.
산갈퀴 (Galium pogonanthum Fr. et Sav.) '11.6.29일 네잎갈퀴, 좀네잎갈퀴의 소화경이 1~3mm인데 반해 산갈퀴는 3~10mm이다. 산갈퀴 표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722 큰잎갈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040 긴잎갈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943 좀네잎갈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102880 갈퀴덩굴 보기 : http://blo.. 2011. 6. 30.
사방김의털 (Festuca heterophylla Lam.) '11.6.25일 / 대구 두메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13 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28 큰김의털 보기 : 참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96 2011. 6. 25.
산민들레 (Taraxacum ohwianum Kitamura) 봉화 산민들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031 흰노랑민들레 : http://blog.daum.net/watcher/8760696 산민들레 : http://blog.daum.net/watcher/8760744 서양민들레 : 나도민들레 : http://blog.daum.net/watcher/8759745 흰민들레 : http://blog.daum.net/watcher/8760683 산민들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944 2011. 4. 21.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Nakai) 봉화 서울제비꽃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804 서울제비꽃 주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805 호제비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071 제비꽃 보기 : 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관악산 일대에 자생한다. 잎이 뿌리에서 총생하고 처음에는 안으로 말린다. 탁엽은 엽병에 붙어.. 2011. 4. 19.
실말 (Potamogeton pusillus L. ) 실말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443 실말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106 2011. 3. 4.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821 자주괴불주머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886 선괴불주머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090 염주괴불주머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596457 괴불주머니 보기 : 갯괴불주머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893 2011. 1. 14.
설앵초 (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설앵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042 좀설앵초 : 흰좀설앵초 : 앵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928798 큰앵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083737 2010. 12. 12.
순채 (Brasenia schreberi J. F. Gmel.) 2010. 10. 10.
삽주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삽주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611 당삽주 : 삽주와 달리 엽병이 없다 큰꽃삽주 : 2010. 10. 7.
솔방울골 솔방울골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085 솔방울고랭이 : http://blog.daum.net/watcher/6649431 2010. 9. 10.
송장풀 (Leonurus macranthus Maxim.) '10.8.25일 / 문경 송장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580 송장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781 속단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403270 광대수염 : 2010. 9. 9.
설악초 2010. 8. 16.
선메꽃 (메꽃과, 메꽃속 ) 선메꽃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286 큰메꽃 보기 : 애기메꽃 보기 : 서양메꽃 보기 : 2010. 6. 27.
솔나물 2010. 6. 22.
쇠채 쇠채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695 쇠채아재비 : http://blog.daum.net/watcher/6601440 멱쇠채 : http://blog.daum.net/watcher/8759580 2010. 6. 10.
산이스라지 이스라지 : 털이스라지 : 2010. 6. 7.
산장대 묏장대의 경우 포폭경이 있다. 묏장대 : 2010.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