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자115

종둥굴레(5.23) 유사종과 달리 작고 잎(3~4장)과 꽃(2개)이 적게 달리며 줄기는 기재문과 달리 능각이 있다. [기재문]학명은 Polygonatum acuminatifolium Kom.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형이다. 선단은 예두나 점첨두이고 기부는 둔저나 원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이면 맥 위와 잎가장자리는 무모이다. 길이 11.6mm 정도의 뚜렷한 엽병이 있다. 포는 막질이며 포의 맥과 가장자리는 무모이고 낙엽성이다. 꽃자루의 기부에 포가 달리며 피침형이고 꽃이 개화하면 시들기 시작한다. 화경은 1~2개의 꽃자루가 나온다. 화피는 통형으로 노란색이고 길이가 17.8~24.2mm이다. 화피열편은 개화시 완전히 반곡되어 화피의 바깥쪽에 붙으며 원형이다. 수술대는 납작한 형태이며 S자형으로 약간 구부러지고 길이 2.4~.. 2024. 5. 26.
지면패랭이꽃(꽃잔디) 북미 원산이며 화단 및 길가 도로변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땅 위를 기고, 높이 10~20cm이며,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거나 몇 장이 돌려나며, 피침 모양으로 길이 1~2cm, 폭 3~7m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9월에 줄기 끝의 원추꽃차례에 3~9개씩 피고, 지름 2~3cm이며,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는 피침 모양이며, 겉에 털이 난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끝이 5갈래로 갈라지는데 갈래의 끝이 오목하다. 열매는 삭과, 10~11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심어 기르며,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은 마주나는 점에서 줄기 밑에서 마주나고 위쪽에서는 어긋.. 2024. 4. 11.
제주양지꽃 (3.13) [비교] 제주양지꽃, 양지꽃 * 제주양지꽃 : 포복경이 길다. 양지꽃에 비해 화경이 짧다. 소엽은 4~7개 * 양지꽃 : 포복경이 없다. 제주양지꽃에 비해 화경이 길다. 소엽은 3~15개 [기재문] 학명은 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Nakai이며 종소명 stolonifera는 '포복지가 있는' 의미. 근생엽은 복엽으로 4-7개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꽃이 피기 전에는 길이 1-5cm이지만 꽃이 핀 다음 길게 자라며 엽병과 잎겨드랑이에 털이 있고 소엽은 거꿀달걀모양, 넓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상반부에 1-4개의 톱니가 있다. 개화기는 4-6월로 화경끝에 1-3개의 황색꽃이 달린다. 꽃은 지름 1.4-1.8cm 이며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으로서 거의 같은 .. 2024. 3. 22.
잔대 (초롱꽃과, 잔대속) 학명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Hara이며 종소명 triphylla는 '삼출 겹잎의' 의미. 층층잔대의 변종이다. 강원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잔대속(Adenophora)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3. 꽃받침 열편에 거치가 있다. 4. 화주는 내재형으로 화주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은 1.0 이하이다. ---- A. wuling shanica 4. 화주는 돌출형으로 화주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은 1.2~1.5 이하이다. 5. 꽃받침 열편은 선형이다. ----- 잔대 5. 꽃받침 열편은 난상피침형이다. 6. 화관의 길이는 10mm 이상이다. ----- 꽃잔대 6. 화관의 길이는 7mm 이하이다. ----- 인천잔대 넓은잔대 (초롱꽃과, .. 2024. 2. 13.
지리터리풀 (장미과, 터리풀속) 한국산 터리풀속은 6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인터넷 자료 검색하여 확인한 바에 의하면 국내에 분포하는 터리풀속은 특산식물인 지리터리풀과 터리풀 그리고 단풍터리풀 3종 인것 같다. 구 분 지리터리풀 터리풀 단풍터리풀 꽃 색 분홍색 흰색 또는 연분홍색 흰색 열매의 털 없음 있음 있음 턱잎 줄기를 감싸지 않음 줄기를 감싸지 않음 줄기를 감쌈 수술의 길이 꽃잎의 2배 이상 꽃잎의 2배 이상 꽃잎의 1.5배 미만 잎 뒷면 (잎 앞면) 맥 위에만 털이 있음 (잎 앞면 맥사이에 털 있음) 맥 위에만 털이 있음 (잎 앞면에 털이 없음) 잎 전체에 털이 있음 cf. 지리터리풀과 터리풀 중 줄기에 털이 있으면 지리터리풀, 없으면 터리풀임. 지리터리풀 열매 (장미과, 터리풀속) 학명은 Filipendula formosa N.. 2024. 1. 30.
지리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와 (왕)고들빼기와 교잡종으로 추정. 까치고들빼기에 비해 꽃이 크며 꽃잎이 많이 달린다. [좌(꽃잎 5장) : 까치고들빼기 꽃 / 우(꽃잎 6~8장) : 지리고들빼기 꽃] '22.11.3 2022. 12. 15.
작은황새풀 (사초과, 황새풀속/6.16) 황새풀속은 7종(눈썹황새풀, 두메황새풀, 설령황새풀, 작은황새풀, 참황새풀, 큰황새풀, 황새풀)이 있으나 기재문이 있고 식물애호가에 알려진 황새풀속은 4종(작은황새풀, 참황새풀, 큰황새풀, 황새풀)인대, 그 중 작은황새풀은 남한에 분포하여 볼 수 있으나 나머지 3종은 북부 고산습지에 분포하여 남한에서는 볼 수 없다. 다년초. 근생엽은 때로 화경보다 길고 편평한 삼릉형이며 급한 둔두이지만 화경에 달린 잎은 1-2개로서 짧고 침형이며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화서는 단순하고 첫째포는 길이 1-2㎝로서 곧추서며 소수는 2-5개로 개화시 길이 10mm정도이고 긴 타원형이며 소수경에 돌기같은 짧은 털이 있다. 인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로서 연한 회흑색이며 잔맥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5-6m.. 2022. 9. 25.
제주싸리냉이 (배추과, 황새냉이속/4.21) 학명은 Cardamine nakaiana H.Lév. 대개 꽃잎이 퇴화되어 없으며, 싸리냉이에 비해 꽃자루/열매자루가 짧다. '22.4.21 2022. 8. 28.
좀들묵새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들묵새속)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4. 26.
줄현호색 (Corydalis bungeana Turcz.) 근생엽은 모여나고 경생엽은 줄기에 호생한다. 근생엽은 우상복엽이고 경생엽은 삼출복엽이며 입꼭지(길이 0.4~4cm)가 있다. 마지막 열편은 선형이며 잎 양쪽면은 회녹색이고 털은 없다. 포엽은 거의 잎과 같은 모양이며 조금 작다. 꽃은 4~5월경 줄기끝에 총상화서를 이루고 연한 자색으로 피는데 양성화이다. 화서의 길이는 1~6.5cm이다. 꽃받침잎은 2개이며 인편형이다. 꽃잎은 4개이며 바깥쪽의 2개는 크고 그것이 부풀어서 거를 이룬다. 거는 길이 4.5~6.5mm이다. 안쪽의 2개는 작고 끝은 합쳐져있다. 열매는 삭과며 가늘고 긴선형, 타원형이고 5월~6월경에 익으면 2열편으로 터진다. 종자는 검은색이고 윤기나고 등쪽에 뚜렷하지 않는 여러개의 줄이 있다. 줄기는 연약하고 밑부분에서 가지를 많이 친다. 땅.. 2022. 4. 13.
좀새그령 (Eragrostis minor Host) 잎은 선형이고 길이 3-10cm, 나비 2-5mm로서 흔히 털이 있다. 엽설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성기게 퍼지고 길이 5-20cm이며 난형이고 가지는 각 마디에서 1개씩 나와 퍼진다. 소화경은 윗부분에 다소 긴 환상의 선점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3-8mm, 나비 1.2-1.7mm로서 연한 녹색이고 5-12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예두(銳頭)이며 1맥이 있고 능선에 환상선이 있으며 호영은 길이 2.2mm로서 3맥이 있고 능선에 선점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으며 능선에 잔돌기가 있다. 영과는 타원형이고 좌우에서 편평하다. 높이 10-40cm이고 가냘프며 마디 밑에 (環狀腺)환상선이 있다. '21.7.4 2021. 7. 20.
쥐오줌풀 (Valeriana fauriei Briq.) 처음에는 근생엽이 자라나 개화가 될 때에는 근생엽이 없어지고 경생엽이 자란다. 경생엽은 대생하고 우상복엽으로 5~7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거치가 있다. 꽃은 5~8월에 피고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화통은 길이 5~7mm로서 한쪽이 약간 부풀고 3개의 수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피침형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윗부분에 꽃받침이 관모상으로 달려서 바람에 날린다. 높이 40-80cm이며 밑에서 뻗는 가지가 자라서 번식하고 마디 부근에 긴 백색 털이 있다. 근경은 짧고 굵으며, 잔뿌리가 성글게 사방으로 뻗어 있다. 뿌리에서 강한 향기가 난다. '21.5.2 2021. 7. 5.
진도하늘지기 (Fimbristylis jindoensis J. Kim & M. Kim) '20.8.2 2021. 4. 15.
자주달개비(닭의장풀과/6.19) '19.6.19 2021. 4. 5.
조선흑삼릉 (Sparganium coreanum) [특징] 최하단 화축에 하나의 암꽃만 있다. '20.7.8 / 경북 2020. 7. 29.
좀보리풀 (5.14) 엽초는 줄기의 마디 사이 길이보다 짧고 털이 없고 등이 둥글다. 엽이(葉耳)는 거의 없고 엽설은 백색 막질로 높이 0.3-0.5㎜이다. 잎새는 길이 3-6㎝, 나비 2-5㎜이다.꽃은 5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3-5㎝, 소수가 밀집되고 곧게 선다. 소수는 각 마디에 3개씩 붙어 있으며 중앙의 것은 자루가 없고 양성화(임성)이고 옆에 있는 2개의 소수는 자루가 있고 불임성이며, 모두 1소화와 2개의 포영이 있다. 양성화는 포영이 피침형으로 끝에 까락이 있어 길이 1.2㎝이고 호영은 난상 피침형이며 5맥이 있고 길이 6-7㎜로 같은 길이의 까락이 있다. 불임성 소수는 제1포영이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같은 길이의 까락이 있으며 제 2포영은 기부로부터 까락으로 되고 호영은 난상 피침형으로 까락이 없다.줄기는 여.. 2020. 5. 28.
작은비사초 (6.1) '19.6.1 / 경남작은비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800 2019. 12. 13.
좀도깨비사초 (Carex idzuroei Franch. & Sav.) 잎은 납작하고 연하며 폭 4-8㎜로서 3맥이 뚜렷하고 횡맥이 많으며 밑부분의 엽초는 연질이고 연한 색에 검은 흑자색의 작은 부분이 있다. 화경은 총생하고 높이 40-60㎝로서 삼각형이며 약간 밋밋하다. 소수는 4-5개로서 끝의 1-2개는 수꽃이며 길이 2-4cm, 지름 2mm로서 선형이고 옆의 2-3개는 .. 2019. 5. 7.
전호아재비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19.4.20 / 경남 '19.4.9 / 경남 전호아재비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798 전호아재비 더보기 : 전호아재비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243 2019. 4. 21.
자주조희풀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학명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Hemsl.이며 종소명 heracleifolia는 어수리속의 잎과 비슷하다는 데서 유래함. [비교] 병조희풀, 자주조희풀 -병조희풀 : 화관이 호리병모양으로 볼록하고 화피열편은 뾰족하며 비교적 바깥쪽으로 약간 벌어짐 잡성화(암수딴그루, 양성화). 특산식물. 화병은 자주조희풀에 비해 짧다. 자주조희풀 : 화관이 원주형이고 화피열편은 물결모양이며 비교적 수평으로 벌어짐. 꽃이 빽빽이 달림. 잡성화(암수딴그루, 양성화, 수꽃양성화딴그루). 화병은 병조희풀에 비해 길다. '18.8.12 / 남한산성 병조희풀의 변종 덩굴조희풀 보기 : 병조희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684 2018. 9. 12.
좀비비추 (7.7) '18.7.7 / 경남 [특징] 줄기 하부에 종주선이 있다. (다도해비비추는 종주선이 없음) 좀비비추 뿌리잎 보기 : 다도해비비추 보기 : 2018. 7. 29.
지리반하 (반하의 선상 피침형, 반하의 이명) '18.5.1 반하 (난상 타원형)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958 2018. 7. 13.
진주바위솔(5.6) '18.5.6 / 사천 진주바위솔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514 2018. 5. 9.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 yatabeana Makino) '17.6.2 / 전주 / 식재 전주물꼬리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413 물꼬리풀 보기 : 2017. 6. 23.
줄말 (Ruppia maritima L.) '17.4.29 / 신안 줄말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693 http://blog.daum.net/watcher/8768157 줄말 열매 보기 : 나사줄말 보기 : 뿔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7978 솔잎가래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014 2017. 5. 17.
정선바위솔 (돌나물과, 바위솔속) 꽃잎 모양은 도피침형(연화바위솔) 보다는 넓은 도란형으로 보여 연화바위솔로 동정한다. '16.10.8 / 정선 연화바위솔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114 2016. 11. 14.
장군대사초 (Carex poculisquama Kuk) 장군대사초 학명은 Carex poculisquama Kuk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짧게 기는줄기가 있다. 줄기는 성기게 모여나며, 높이 30~70cm이다. 잎의 너비는 2~4mm이다. 아래쪽의 잎집은 옅은 녹색이고 맥은 홍자 hyunsik.tistory.com '16.6.24 장군대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526 2016. 8. 20.
진들피 (Glyceria ischyroneura Steud.) '16.5.29 / 진안 진들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16 진들피 영과 보기 : 왕미꾸리광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81 유럽육절보리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01 육절보리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00 2016. 7. 12.
제비붓꽃 (Iris laevigata Fisch. ex Turcz.) '16.6.6 / 고성 부채붓꽃 보기 : 2016. 7. 6.
주름청사초 (Carex rugata Ohwi) '16.4.10 / 장성 주름청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946 주름청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294 http://blog.daum.net/watcher/8766330 http://blog.daum.net/watcher/8767182 2016.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