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형과33

참나물 신엽(4.27) 그늘참나물 = 가는참나물참나물 및 노루참나물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잎이 깊게 갈라지거나 결각상으로 갈라진다노루참나물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개다참나물잎은 3출엽  참나물 꽃, 열매(10.3)그늘참나물 = 가는참나물참나물 및 노루참나물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잎이 깊게 갈라지거나 결각상으로 갈라진다노루참나물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hyunsik.tistory.com'23.4.27 2023. 4. 29.
어수리아재비 (Tordylium maximum L. 산형과, 어수리아재비속) '22년 식물분류학회에 발표 '22.7.3 2022. 9. 23.
피막이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 산형과) 다년생 상록초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은 길고 콩팥모양이며 밑은 심장형이고 얕게 7-9개로 갈라지며 갈래는 이 모양의 톱니로 된다.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 또는 자주색이며 잎겨드랑이에 3-5송이씩 우상모양꽃차례로 달리고 꽃대축은 길며 잎보다 짧다. 열매는 둥글고 납작하다. 분과, 8~9월에 익는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땅 위로 뻗는다. 제주피막이와 유사하나, 식물체가 상록성이고, 잎자루가 기부를 제외하면 털이 없는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2.7.29 2022. 9. 18.
왜당귀 (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털이 없고 엽병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되며 삼각형이고 길이 10-25cm로서 3개씩 1-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소엽은 길이 5-10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깊게 3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총산경의 윗부분과 소산경 및 소화경의 안쪽에 잔돌기가 있으며 소산경은 길이 3-8cm로서 30-40개이고 소화경은 길이 7-18mm이며 소총포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 뒷면의 능선이 가늘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고 능선 사이에 3-4개, 합생면에 4개의 유관이 있다. 과실은 연한 붉은색의 장과이다. 높이 60-90cm이고 곧게자라.. 2022. 3. 8.
참시호 (Bupleurum falcatum var. scorzoneraefolium (Willd.) Ledeb.) 근생엽은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10-30cm이다. 경생엽은 길고 선형이며 점첨두이고 길이 4-10cm, 폭 5-15mm이며 평행한 맥이 있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원줄기에 달리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다.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며 소산경(小傘梗)은 2-7개이고 총포편은 길이 0-15mm로서 선상 피침형이며 소산화서에 5-10개의 꽃이 달리고 소총포는 길이 2.5-4mm로서 넓은 선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5개로서 안쪽으로 굽으며 수술도 5개이고 자방은 하위이다. 분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35mm이며 륵(肋)은 둔하고 륵사이에 3개, 합생면에 4개씩의 유관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높이 40-70cm.. 2021. 4. 20.
전호아재비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19.4.20 / 경남 '19.4.9 / 경남 전호아재비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798 전호아재비 더보기 : 전호아재비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243 2019. 4. 21.
애기참반디 '18.4.21 / 경남 애기참반디 더보기 : 애기참반디 열매 보기 : 참반디 보기 : 붉은참반디 보기 : 근생엽은 원신형이며 폭 3~7c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이고 다시 2~3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cm이다. 경생엽은 2개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근생엽보다 작으며 그 사이에서 1-3개의 소산화서가 발달한다.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은 길이 1~3cm로서 끝에 소산화서가 달리고 소총포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4~10mm로서 옆으로 퍼지고 수꽃은 10개 내외이며 길이 2~3mm의 화경이 있고 꽃받침잎보다 2~3배 길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다. 열매는 1~4개씩 달리고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3.5mm정도로서 윗부분에.. 2018. 4. 28.
나도독미나리(5.28) '17.5.28 / 군산나도독미나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855 2017. 6. 10.
묏미나리 (산형과, 묏미나리) 학명은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이며 종소명 sieboldii는 독일 식물학자 이름에서 유래. 산지 계곡이나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곧으며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0.5~1m, 둥글고 속이 비었으며 털이 없고 세로 주름줄과 홈이 있다. 잎은 어긋난다. 뿌리잎은 긴 난형, 밑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일찍 시들며 잎자루가 있다. 줄기잎은 2~3회 갈라진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은 거친 톱니가 있으며, 끝부분은 뾰족하고 잎자루가 짧거나 없다. 그리고 갈래 끝에 흰 점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 끝에서 겹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5장, 흰색이다. 열매는 분과, 8~10.. 2016. 10. 30.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16.8.21 / 태백 좁은어수리 보기 : 서양어수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60 2016년 환경부 지정 위해 우려종 2016. 10. 23.
강활 (산형과, 당귀속/8.7) [비교] 지리강활, 강활, 참당귀 잎[지리강활] 소엽이 만나는 부위에 보라색을 띠며 정소엽은 자루가 있다. [강활] 소엽이 만나는 부위가 보라색을 띠며 엽축이 흔히 굽고, 엽연은 거치가 크고 날카롭다. [참당귀] 소엽의 자루에 날hyunsik.tistory.com 강활 신엽(5.10)[비교] 강활, 지리강활* 강활  나물. 소엽의 분지점이 보라색을 띠며 엽축이 흔히 굽고, 엽연은 거치가 크고 날카롭다. * 지리강활  독초. 소엽의 분지점이 보라색을 띤다. 강활 (산형과, 당귀속hyunsik.tistory.com 지리강활'22.7.9hyunsik.tistory.com[기재문]학명은 Pleurospermum praeteritum Kitag. 계곡 근처의 그늘진 곳 또는 습한 곳에 생육한다. 식물체는 최소 0.. 2016. 9. 13.
붉은참반디 꽃 (산형과, 참반디속/5.22) [기재문]학명은 Sanicula rubriflora F.Schmidt ex Maxim.이며 종소명  rubriflora는 '붉은 꽃의' 의미.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50cm, 꽃이 핀 후에 더욱 높이 자란다. 뿌리잎은 지름 6~20cm, 깊게 3갈래로 갈라지며, 양쪽 갈래는 다시 2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2개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다시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6월에 피며 소산화서는 1-5개이고 줄기끝에서 나며 길이 3-6cm의 화경이 있고 마주나기한 잎위에 산형으로 달리며 흑자색 꽃이 밀생. 소총포는 선상 거꿀피침모양이고 옆으로 퍼지며 녹색이고 3-7개 있으며 길이 1-2cm. 수꽃은 15개 정도로 길이 1-2mm의 꽃자루가 있고 꽃받침보다 1-2배 길다. 양성꽃은 4.. 2016. 7. 1.
지리강활 (8.7) [특징] 작은잎이 갈라지는 곳에 자주색을 띤다. 잎자루가 넓은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 줄기는 주로 자주색을 띤다.분포지역은 덕유산, 지리산, 치악산, 오대산 지리강활 신엽(8.7)엽축 분지점이 자색이다. 지리강활'22.7.9hyunsik.tistory.com             '15.8.7 / 평창지리강활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04강활 뿌리잎 보기 :참당귀 뿌리잎 보기 :당귀 뿌리잎 보기 : httphyunsik.tistory.com                               '15.8.7 / 평창지리강활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05강활 보기 : http://blog.daum.net/.. 2015. 9. 29.
왜방풍(6.28) [기재문]학명은 Aegopodium alpestre Ledeb.다년초.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삼각형으로 2-3회 3출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으로 길이 1-2.5cm, 폭 8-20mm이고 점첨두에 설저이며 앞·뒷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깊은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10-20cm이고 밑은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싼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큰 산형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긴 화경끝에서 1-3개가 발달하고 산경은 8-12개로서 길이 2-3cm이며 소산화서에 10여개의 꽃이 달리고 소산경은 길이 5-8mm, 폭 1.5-2mm로서 단면은 오각형이며 능선이 가늘고 유관이 없다. 꽃은 8월에 백색으로 핀다. 총포편과 소총포가 없으며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로서 밑부분이 둥글다.열매.. 2015. 8. 27.
독미나리 독미나리 꽃 (산형과, 독미나리속) [기재문] 학명은 Cicuta virosa L.이며 종소명 virosa는 '유독한' 의미. 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6~8월 작은 백색 꽃이 피며, 온몸에 유독한 성분이 있다. 어린잎을 나물로 hyunsik.tistory.com '15.5.21 독미나리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639 독미나리 더보기 : 독미나리 열매 보기 : 독미나리 뿌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598 가는잎독미나리 보기 : 다년초, 독성식물,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Ⅱ급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속이 빈 원통형의 긴 엽병이 있고 밑은 엽초로 되며 삼각상 난형이고 길이 30-50cm.. 2015. 7. 18.
한라참나물 신엽(7.27) '14.7.27 / 한라산 대마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623739참나물 보기 :큰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04그늘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962가는참나물 보기 :백야기참나물 보기 : 잎은 근엽과 경엽이 1-2회 3출복엽이다. 근엽은 개화시까지 그대로 남는다. 잎의 양면에 털이 산생하고 특히 엽연과 주맥부상의 다세포 털은 2-4마디를 가지며 마디 부분이 잘록하다. 총생엽은 근생엽의 것은 길고 경생엽의 것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엽초가 있다. 소엽병은 명료하다. 잎의 횡단면은 주맥의 상하부가 V자형으로 다소 돌출한다. 엽병은 반월형에 뚜렷한 5개의 각이 있으며 .. 2015. 3. 18.
섬시호 (Bupleurum latissimum Nakai) '14.5.19 / 울릉도 시호 뿌리잎 보기 : 시호 열매 보기 : 시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89 개시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996376 등대시호 보기 : 잎은 거의 2줄로 배열되어 호생하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이며 근생엽은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12-18cm로서 밑부분이 넓으며 .. 2015. 2. 17.
노루참나물 그늘참나물 = 가는참나물 참나물 및 노루참나물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잎이 깊게 갈라지거나 결각상으로 갈라진다 노루참나물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개다 참나물 잎은 3출엽 '14.9.7 / 정읍 그늘참나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438 http://blog.daum.net/watcher/8768427 한라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119 큰참나물 보기 : 대마참나물 보기 : 백야기참나물 보기 : 다년초. 전국 각지 엽병은 근생엽의 것은 길며 경생엽의 것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얼싸안는다. 잎은 3출복엽이며 소엽은 결각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좁게.. 2015. 1. 8.
잔잎바디 (Angelica czernaevia (Fisch. & C.A.Mey.) Kitag.) '14.9.13 / 정선 잔잎바디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30 잔잎바디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837 다년초, 만주에 분포한다. 제주, 충남, 충북(계룡산, 속리산), 강원(오대산, 삼악산, 치악산), 경기(포천, 광릉, 천마산)에 야생한다. 잎은 기수2~3회 우상복엽으로서 엽병이 길며 엽병 밑부분이 편평한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싼다. 소엽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딱딱한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3개로 갈라지고 엽병 전체가 엽초로 된다.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피며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산경에 능선이 있으며 윗부분에 밀모가 있고 소산경은 10-30개로서 길이 2-4cm이며 .. 2014. 11. 19.
선피막이 (Hydrocotyle maritima Honda) '14.9.8 / 경주 선피막이 열매 보기 : 큰피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013895 제주피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616 큰피막이풀 보기 : 피막이 보기 : 서양물피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64 2016년 환경부 지정 위해 우려종 다년생.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원심형이고 지름 2-3.5cm로서 밑부분이 약간 퍼지며 표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과 더불어 긴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가 5~7개로 얕게 갈라진다. 열편은 도란상 넓은 쐐기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 기부에 엽초가 있다. 산형화서는 잎과 대생하고 길이 1-3cm로서 잎보다 짧거나 가지끝.. 2014. 11. 7.
서울개발나물 (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14.9.9 서울개발나물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217 서울개발나물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21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많이 갈라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엽초로 되며 2~3회 3출복엽이지만 전체가 우상복엽으로 보이고 길이 10~20cm정도이다. 소엽은 선형이며 가.. 2014. 11. 6.
털기름나물 꽃(Libanotis coreana (H.Wolff) Kitag.) '14.7.27 / 한라산 가는잎방풍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63 다년초. 근생엽과 원줄기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윗부분의 잎은 호생하고 2회우상복엽이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복산형화서로 달리고 소산경은 길이 2-3cm이며 소화경과 더불어 안쪽에 털이 있고 총포는 없으며 소총포는 짧고 소화경에 붙어 있다. 열매는 분과로 난상 원형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털같은 돌기가 있어 거칠다. 높이 30-90cm이고 줄기와 잎이 다소 백색털로 덮여 있으며 원줄기에 능선이 있다. 근경은 굵으며 목부분에 섬유가 남아 있다. 2014. 10. 22.
제주피막이 (Hydrocotyle yabei Makino) '14.7.27 / 한라산 선피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22 피막이 보기 : 큰피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013895 큰피막이풀 보기 : 서양물피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64 2016년 환경부 지정 위해 우려종 잎은 호생하며 원형이고 지름 5~20mm로서 5~7개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 2014. 9. 17.
물개발나물 (Sium suave var. nipponicum (Maxim.) Hara) '12.9.8일 / 영천 --> 100% 확신은 못함 2012. 10. 4.
고수 2010. 7. 6.
갯방풍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지면을 따라 퍼지며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길이 10-20cm로서 3개씩 1-2회 갈라지며 엽병이 길다. 소엽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맥위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끝이 둔두 또는 원두이고 길이 2-5cm, 폭1-3cm로서 가.. 2009. 12. 18.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Thunb.) 갯기름나물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789 갯기름나물 더보기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회록색으로서 백분을 칠한 듯하며 2-3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능상 도란형이고 두꺼우며 길이 3-6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고 불규칙하고 깊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의 잎은 .. 2009. 12. 18.
나도독미나리?? 미나리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유럽원산이다. 2년생의 초본식물인데 초고는 2m에 이르고 줄기에는 털이 없고 반문(斑紋=얼룩무늬)이 있다. 잎은 당근과 흡사하나 퍽 크다. 꽃은 산형화서이고 흰색을 띤 아주 작은 꽃잎을 지닌다. 과실은 난형(卵形)이고 그 크기는 약 3m내외이다. 잎이 당근의 것과 같기는 .. 2009. 11. 23.
구릿대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f. ex Franch. & Sav. ) 구릿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592 2009. 11. 6.
긴사상자 (Osmorhiza aristata (Thunb.) Makino & Yabe) 긴사상자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632 짧은사상자? : http://blog.daum.net/watcher/8759410 2009.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