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사

섬쥐깨풀 (9.16 / 꿀풀과 쥐깨풀속)

by 곰보배추 2022. 11. 17.

[비교] 쥐깨풀속(쥐깨풀, 섬쥐깨풀, 털들깨, 들깨풀, 산들깨, 다도해산들깨, 가는잎산들깨, 푸른산들깨)

종 명
(학명)
쥐깨풀
(M. dianthera (Buch.-Ham.
ex Roxb.) Maxim.)
들깨풀
(M. scabra (Thunb.)
C.Y.Wu & H.W.Li)
산들깨
(M. japonica (Benth.
ex Oliv.) Maxim.)
난형~넓은 난형이고
거치는 4~7쌍
긴 타원형~좁은 난형이고
거치는 5~10쌍
난형 또는 긴 난형
줄기 20~60cm  20~60cm 10~40cm.
개화기간 7~9월 8~9월 7~8월
꽃줄기 꽃줄기는 길며
꽃이 뛰엄뛰엄 달린다.
꽃줄기는 다소 길다. 꽃줄기는 짧으며
꽃이 빽빽하게 달린다
피침형 피침형 난형
상부 꽃받침 톱니는 뭉툭하다.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톱니는 삼각상. 털이 많다. 톱니는 넓은 피침형

1. 섬쥐깨풀(Mosla japonica (Benth. ex Oliv.) Maxim. f. thymolifera (Makino) T.Yamaz. & Murata)은 꽃은

    흰색이고 잎은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이며 전체적으로 털이 많고 바닷가 풀밭에 자란다.

2. 털쥐깨(Mosla dianthera (Buch.-Ham. ex Roxb.) Maxim. var. nana (H.Hara) Ohwi)는 쥐깨풀에 비해

    꽃받침조각 끝이 보다 더 뾰족하다.

3. 다도해산들깨(Mosla dadoensis K.K.Jeong, M.J.Nam & H.J.Choi)는 가는잎산들깨와 유사하나 꽃줄기는

    매우 길고 개화기간(9~11월)도 길으며 남부해안 남사면의 노출된 바위지대(비가 오면 고이는 곳)에 자생.

4. 가는잎산들깨(Mosla chinensis Maxim.)는 산들깨와 유사하나 잎은 선상 피침형.

5. 푸른산들깨(Mosla japonica var. robusta Ohwi)는 산들깨에 비해 줄기가 녹색이나 산들깨로 통합됨.

[기재문]

학명 : Mosla japonica var. thymolifera (Makino) Kitam.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3cm, 나비 4-15mm로서 양면에 선점과 더불어

백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이 5mm정도이지만 위로 갈수록

잎과 더불어 짧아지고 긴 백색 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며 산쥐깨풀의 꽃과 비슷하지만 백색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긴 백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긴 털과 더불어 짧은 털이 있으며 과시에는 길이 4mm정도이다.

분과는 길이 1.5mm, 지름 1mm정도로서 타원체이고 황갈색이며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높이 15-40cm이고 줄기는 녹색이며 사능형이고 옆으로 퍼진 백색 털이 있으며, 특히 마디에 밀생한다.

기본종에 비해 키가 작고 경생엽에 긴 백색 털이 약간 밀생한다.

산쥐깨풀에 비하여 섬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섬쥐깨풀이라고 한다.

 

섬쥐깨풀 열매, 종자(9.16)

섬쥐깨풀 (9.16 / 꿀풀과 쥐깨풀속)[기재문]학명 : Mosla japonica var. thymolifera (Makino) Kitam.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3cm, 나비 4-15mm로서 양면에 선점과 더불어 백색 털이 있

hyunsik.tistory.com

'22.9.16

'초본식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막갓 신엽, 꽃 (3.17 / 배추과, 배추속)  (0) 2023.03.24
실맥문동 (백합과, 맥문아재비속)  (0) 2023.02.10
서양쐐기풀(7.9)  (0) 2022.09.07
솜다리(솜다리속, 7.8)  (0) 2022.09.06
세복수초(2.25)  (0) 2022.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