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 식물/초본식물(울릉도)12

섬쑥부쟁이 꽃(10.17) 섬쑥부쟁이 신엽(3.19) 섬쑥부쟁이 신엽(부지깽이 나물/5.16) '14.5.16 / 울릉도. '14.5.18 / 울릉도 부지깽이 나물이라고 한다. 섬쑥부쟁이 보기 : hyunsik.tistory.com 섬쑥부쟁이 (10.16) [기재문] 학명은 Aster glehni F.Schmidt 밑부분의 hyunsik.tistory.com '20.10.17 2022. 5. 9.
넓은잎쥐오줌풀 '20.10.16 '20.10.17 2021. 4. 7.
해국 (국화과, 참취속) 학명은 Aster spathulifolius Maxim.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과 샘털이 많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60cm, 아래쪽은 나무질이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모여나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잎몸은 주걱형 또는 도란형, 길이 3~20cm, 폭 1.5~5.5cm,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은 7~11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지름 3.5~4.0cm인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연한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길이 8~15mm, 모인꽃싸개 조각은 선형, 3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 우산털은 갈색이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과 꽃이 관상가치가 있어.. 2021. 4. 7.
새들깨 '20.10.16 '20.10.17 2021. 4. 6.
큰두루미꽃 '20.10.16 2021. 1. 12.
왕밀사초(10.16) 밀사초(5.17) '23.5.17 hyunsik.tistory.com 왕밀사초 열매(7.2) '21.7.2 hyunsik.tistory.com '20.10.16 2021. 1. 11.
왕호장근 '20.10.16 2020. 12. 31.
왕호장근 '20.10.15 2020. 11. 23.
섬꼬리풀 근생엽 '20.10.17 2020. 11. 6.
자리공 '14.5.16 / 울릉도 2015. 6. 8.
섬현삼 현삼속(Scrophularia L.)은 화관은 좌우상칭이며, 단지 모양의 순형화관을 가지고, 1개의 하부열편, 1쌍의 측열편과 1쌍의 상부열편으로 구성되며, 헛수술이 있고, 삭과는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으로 현삼과 내에서 근연속들과 구분되고 있다. [현삼속 비교] * 큰개현삼 : 전역 산지에 분포. 개화기는 7~9월이며 화서는 정단과 엽액에서 발달하고 꽃받침 열편은 짧고 끝이 둥근 난형 줄기에 털이 있고 7개 이상의 마디를 갖는다. * 일월토현삼 : 큰개현삼의 이명 * 섬현삼 : 울릉도 해안에만 분포하는 특산종. 개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없다. 줄기에 털이 없다. * 개현삼 : 동해안 속초 이북에 자생. 섬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있다. 줄기에 털이 없다. * 토현삼 : 특산종. 오대산 이.. 2015. 5. 19.
섬사철란 잎(5.18) '14.5.18 / 울릉도 섬사철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514 2015.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