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굴레속의 절, 계열 검색표] 출처 :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2002년)
1. 잎이 호생한다. ----- 둥굴레절
2. 포가 없다. -----둥굴레계열
2. 초질 또는 막질의 포를 가진다.
3. 포가 초질, 난형 내지 피침형, 길이 1-3.5cm이고 맥이 3-5개: 화피통 안쪽에 털이 없다.
수술대에는 유두상 돌기 및 긴 털이 조밀하게 있다. ----- 용둥굴레계열
3. 포가 막질, 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 길이 최대 1.2cm로 맥이 없거나 1개 :
화피통 안쪽과 수술대 부착부위에 짧은 견모가 있다.
수술대에 유두상 돌기 및 짧은 털이 있다. ----- 퉁둥굴레계열
1. 잎이 윤생한다. ----- 층층둥굴레절
[둥굴레계열의 종 검색표]
1. 지하경이 원주형이다.
2. 잎 뒷면 또는 엽연에 잔털이 있다. ----- 각시둥굴레
2. 잎 뒷면에 유두상 돌기가 있거나 털이 없다.
3. 줄기에 능각이 있고, 화피는 항아리 모양으로 1-2-(3)개
4. 수술대는 무모이다. 꽃의 수는 1~2개(포가 달리기도 함) ----- 풍도둥굴레
4. 수술대에 돌기가 있다. 꽃의 수는 2개 이상. ----- 둥굴레
3. 줄기에 능각이 없는 원주형이며, 화피는 통형 또는 누두형으로 1~4개
4. 암술대 길이 9.4~11.2mm,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지고 높이가 약보다 높다. ----- 왕둥굴레
4. 암술대 길이 3.8~9.3mm, 주두는 두상이나 삼각상으로 높이가 약보다 같거나 아랫쪽에 있다.
5. 줄기는 직립하고 잎 폭은 5~7cm이며 화피는 통형으로 흰색이다.
안쪽의 화피열편은 오목한 형태이고 수술대는 화피의 중부에 부착.
주두는 삼각형으로 높이가 약과 같다. ----- 선둥굴레
5. 줄기는 구부러지거나, 직립하다가 최상단부가 아래로 늘어진다.
잎 폭은 3~5.5cm이고 화피는 깔대기 모양으로 노란색이거나 노란빛이 나는 흰색
안쪽의 화피열편은 원형이고 수술대는 화피의 상부에 부착
주두는 두상으로 높이는 약보다 아래쪽이다.
6. 줄기는 직립하다가 최상단부가 아래로 늘어진다. 잎 뒷면 맥과 엽연에 털이 없다.
화피는 중앙부가 잘록한 깔때기 모양으로 연한 황색.
수술대는 직립하는 원주형으로 단세포성의 돌기가 밀행하고
다세포성의 모용이 수술대 윗부분에 산생한다. ----- 늦둥굴레
6. 줄기는 중간부분부터 구부러진다. 잎 뒷면 맥과 엽연에 돌기가 있다.
화피는 아랫부분에 잘록한 깔때기 모양으로 노란빛이 도는 백색이다.
수술대는 S자형으로 구부러진 원주형으로 단세포성의 돌기가 산생. ----- 산둥굴레
1. 지하경이 생강모양 또는 뚜렷한 마디를 가지는 염주모양이다. ----- 진황정
[비교] 산둥굴레, 왕둥굴레, 진황정 (출처 : '한국의 산꽃', 2002년 논문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
종 명 | 산둥굴레 (Polygonatum thunbergii) |
왕둥굴레 (Polygonatum robustum) |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
줄기 높이 | 35~90cm | 40~100cm | 40~120cm |
엽신 | 피침상 장타원형~장타원상 난형. 잎 뒷면은 흰빛이 돌고, 맥위에 잔돌기가 있다. |
피침상 장타원형~타원형. 잎 뒷면은 흰빛이 돌고 털이 있다. |
피침형~피침상 장타원형. 잎 뒷면 맥과 엽연에 돌기가 있다. |
꽃자루 길이 | 8~30mm | 5~20mm | 5~20mm |
암술대 길이 | 1~1.5cm | 10~13mm(한국의 산꽃) 9.4~11.2mm(논문) |
1.5~2cm |
주두 | 두상이나 삼각상 | 3갈래 | - |
수술대 | 길이 1.5~2.6mm. S자형이며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밀생 |
길이 2~3.5mm. 털 모양의 돌기가 줄지어 밀생. |
길이 4.5~7mm |
꽃밥 길이 | 3.8~5mm | 2.5~4mm | 2.5~3mm |
지하경 | 원주형이며 지름 7~13mm | 원주형이며 지름 2~2.5cm | 잘록한 마디가 있는 염주모양 |
분포지역 | 전국의 산야 | 울릉도 산지 | 제주도, 경남, 전남 해안가 산지 |
진황정(5.3)
백합과 특징은 꽃이 대개 6갈래로 갈라졌으며, 열매는 3개의 방으로 나누어진다.줄기 끝부분이 지그재그로 휜다.[둥굴레속의 절, 계열 검색표] 출처 :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2002년)1.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5.1)
[둥굴레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2002년)1. 지하경이 원주형이다. 2. 잎 뒷면 또는 엽연에 잔털이 있다. ----- 각시둥굴레 2. 잎 뒷면에 유두상 돌기가 있거나
hyunsik.tistory.com
'23.4.24.
'초본식물 > 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잎돌쩌귀 (투구꽃으로 통합) (2) | 2023.09.17 |
---|---|
선이질풀(8.16,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0) | 2023.08.19 |
사막갓 신엽, 꽃 (3.17 / 배추과, 배추속) (0) | 2023.03.24 |
실맥문동 (백합과, 맥문아재비속) (0) | 2023.02.10 |
섬쥐깨풀 (9.16 / 꿀풀과 쥐깨풀속)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