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사

사술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by 곰보배추 2024. 3. 21.

학명은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var. tetrandrum Y.N.Lee이고 산괭이눈의 변종이다.

수술이 8개인 산괭이눈과 달리 사술괭이눈은 수술이 4개(4술)이지만 그 이상의 수술이 보인다. 

[괭이눈속 종 검색표]

1. 잎이 어긋남

    2. 개화기에 포엽이 노란색 ----- 시베리아괭이눈(백두산)

    2. 개화기에 포엽이 녹색 또는 연녹색임

        3. 무성지가 있으며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이 이형 ----- 애기괭이눈

        3. 무성지가 없고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이 동형 ----- 산괭이눈

1. 잎이 마주남 

 

산괭이눈(4.14)

[특징] 잎은 어긋나고 무성지가 없다. [기재문] 학명은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자락의 숲 가장자리, 저지대 계곡 주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꽃이 달리지 않는 무성지가 생기지 않

hyunsik.tistory.com

 

산괭이눈(4.12)

'15.4.12 / 남양주

hyunsik.tistory.com

'24.3.13 /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