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난초50

나나벌이난초(6.7) [기재문]학명은 Liparis krameri Franch. & Sav.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비늘조각으로 된 덩이줄기는 난상 구형, 길이 7~12mm이다. 줄기는 1개가 곧게 자라며 높이 10~20cm이다. 잎은 2장이 마주나며 넓은 난형, 길이 3~8cm, 폭 2~4cm, 잎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총상꽃차례는 길이 3~8cm, 10~20개의 연녹색 또는 자주색 꽃이 성글게 달린다. 꽃싸개잎은 삼각형, 길이 1~1.5mm. 꽃받침은 선형, 길이 9~15mm, 폭 1.5~2mm이다. 곁꽃잎은 아래를 향하고, 선형, 길이 8~10mm이다. 입술꽃잎은 아래를 향하고 난상 타원형, 길이 6~10mm, 폭 3mm, 밑부분에 육상체가 1개 있다. 꽃술대는 길이 2~2.5mm, 날개가 거의 없다... 2024. 6. 13.
제비난초(5.31) [난과의 특징]- 잎의 밑부분은 잎싸개(엽초 = 잎집)로 된다.-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 3장(배악편, 측악편 2장), 꽃잎 3장(순판, 측화판 2장)이 떨어져 난다.   cf) 배악편 = 등꽃받침, 측악편 = 곁꽃받침, 순판 = 입술꽃잎, 측화판 = 곁꽃잎- 암술과 수술은 붙어 꽃술대(예주 : 암술과 수술이 붙은 기둥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암술과 암술머리는 1개.- 심피는 3개다.- 씨는 많으며 먼지같이 미세하고 배젖은 없으며 배는 분화되지 않는다.[기재문]학명은 Platanthera densa Freyn subsp. orientalis (Schltr.) Efimov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50cm. 잎은 줄기 아래쪽에 큰 것이 2장 거의 마주난 것처럼 달리고, 위쪽에 작은잎이 있다.큰 잎은 타.. 2024. 6. 6.
제비난초(5.22) [난과의 특징]- 잎의 밑부분은 잎싸개(엽초 = 잎집)로 된다.-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 3장(배악편, 측악편 2장), 꽃잎 3장(순판, 측화판 2장)이 떨어져 난다.   cf) 배악편 = 등꽃받침, 측악편 = 곁꽃받침, 순판 = 입술꽃잎, 측화판 = 곁꽃잎- 암술과 수술은 붙어 꽃술대(예주 : 암술과 수술이 붙은 기둥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암술과 암술머리는 1개.- 심피는 3개다.- 씨는 많으며 먼지같이 미세하고 배젖은 없으며 배는 분화되지 않는다.[기재문]학명은 Platanthera densa Freyn subsp. orientalis (Schltr.) Efimov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50cm. 잎은 줄기 아래쪽에 큰 것이 2장 거의 마주난 것처럼 달리고, 위쪽에 작은잎이 있다. 큰 잎은.. 2024. 5. 29.
감자난초 꽃(5.10) [비교] 감자난초, 두잎감자난초* 감자난초 : 씨방과 꽃자루는 연한 녹색, 꽃받침과 곁꽃잎은 피침형, 황백색이며,                   입술꽃잎 위의 육상체는 평행형이다.* 두잎감자난초 : 씨방과 꽃자루는 자갈색, 꽃받침과 곁꽃잎은 긴 타원형, 갈황색이며,                           입술꽃잎 위의 육상체는 역V자형이다.1. 두잎감자난초는 감자난초의 아종이며 제주도에 분포한다.2. 육상체는 입술꽃잎 위에 솟아 있는 단단한 육질덩이(닭의난초에서 볼 수 있음) [기재문]Oreorchis patens (Lindl.) Lindl. 이며 종소명 patens는 '활짝 뜨인' 의미깊은 산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위구경이고, 난형이며, 키는 30~40cm이다.잎은 1~2개씩.. 2024. 5. 10.
섬사철란 (3.14) 잎만 봐서는 붉은사철란과 구분하기 힘들다. 붉은사철란 (8.2) [기재문] 학명은 Goodyera macrantha Maxim 제주도와 완도 등 다도해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잎은 3~4개가 호생하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길이 2~4cm, 폭 1~2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회록색이며 백 hyunsik.tistory.com 섬사철란 꽃(9.27) '11.9.27 hyunsik.tistory.com 섬사철란 잎(5.18) '14.5.18 / 울릉도 섬사철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514 hyunsik.tistory.com '24.3.14 2024. 3. 29.
감자난초 꽃 (감자난초속 / 5.22) [비교] 감자난초, 두잎감자난초* 감자난초 : 씨방과 꽃자루는 연한 녹색, 꽃받침과 곁꽃잎은 피침형, 황백색이며,                    입술꽃잎 위의 육상체는 평행형이다.* 두잎감자난초 : 씨방과 꽃자루는 자갈색, 꽃받침과 곁꽃잎은 긴 타원형, 갈황색이며,                           입술꽃잎 위의 육상체는 역V자형이다.1. 두잎감자난초는 감자난초의 아종이며 제주도에 분포한다.2. 육상체는 입술꽃잎 위에 솟아 있는 단단한 육질덩이(닭의난초에서 볼 수 있음) [기재문] Oreorchis patens (Lindl.) Lindl. 이며 종소명 patens는 '활짝 뜨인' 의미깊은 산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위구경이고, 난형이며, 키는 30~40cm이다. 잎은 1.. 2024. 3. 2.
흰제비란 꽃 (8.7) '15.8.7 2024. 3. 2.
로젯사철란 (한국사철란) 로젯사철란 (난초과, 사철란속) 학명은 Goodyera brachystegia Hand.-Mazz. 한국사철란이라고도 한다. 그늘지고 다소 습한 석회암 지대의 숲속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잎은 아래에서 4~8개가 방사상으로 나며, 맥은 흰색이 뚜렷한 그 hyunsik.tistory.com '12.7.1 2024. 2. 29.
감자난초 잎 (4.13) [비교] 감자난초, 두잎감자난초* 감자난초 : 씨방과 꽃자루는 연한 녹색, 꽃받침과 곁꽃잎은 피침형, 황백색이며,                   입술꽃잎 위의 육상체는 평행형이다.* 두잎감자난초 : 씨방과 꽃자루는 자갈색, 꽃받침과 곁꽃잎은 긴 타원형, 갈황색이며,                           입술꽃잎 위의 육상체는 역V자형이다.1. 두잎감자난초는 감자난초의 아종이며 제주도에 분포한다.2. 육상체는 입술꽃잎 위에 솟아 있는 단단한 육질덩이(닭의난초에서 볼 수 있음) [기재문]Oreorchis patens (Lindl.) Lindl. 이며 종소명 patens는 '활짝 뜨인' 의미깊은 산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위구경이고, 난형이며, 키는 30~40cm이다.잎은 1~2개씩.. 2024. 2. 27.
타래난초 (난초과, 타래난초속) 학명은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이며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의' 의미.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4~5개의 굵은 뿌리와 옆으로 뻗는 끈 모양의 뿌리가 몇 개 있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60cm다. 줄기 아래쪽에 모여난 잎은 피침형 또는 선형, 또는 드물게 타원형으로 길이 5~20cm, 폭 5~10mm다. 줄기 위쪽의 잎은 2~3장이며, 작고, 비늘 모양이다. 꽃은 5~8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이삭꽃차례에 타래 모양으로 달리며, 자주색, 분홍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차례는 길이 5~15cm, 겉에 흰 털이 있다. 꽃싸개잎은 좁은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4~8mm, 끝이 길고 날카롭다. 입술꽃잎은 색이 연하며, 꽃받침잎보다 길고, 끝이 구부러진다. 씨방에 털이.. 2024. 2. 25.
광릉요강꽃 (복주머니란속) 학명은 Cypripedium japonicum Thunb. ex Murray이며 종소명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멸종위기종 줄기 윗부분의 잎은 지름 10-22㎝로서 방사상 맥이 있으며 뒷면에 털이 있고 엽병이 없는 부채꼴로 2매가 거의 마주나기처럼 붙는다. 꽃은 4-5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서 1개가 밑을 향해 달리며 지름 8cm정도로서 연한 녹색이 도는 적색이고 화경은 길이 15cm정도로서 털이 많으며 윗부분에 잎같은 포가 1개 달린다. 위쪽 꽃받침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5㎝, 나비 1.2-2㎝로서 끝이 뾰족하며 옆의 꽃받침조각은 동합하여 윗부분의 것보다 나비가 다소 넓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윗부분의 꽃받침조각과 거의 비슷한 형태로서 안쪽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입술모양꽃.. 2024. 2. 12.
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속) 학명은 Cypripedium macranthos Sw.이며 종소명 macranthos는 '꽃이 크다'는 의미. 멸종위기종. 개불알꽃이라고도 한다. 전체에 털이 있으며 뿌리는 땅속줄기에서 나오며 가늘고,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20~40cm 정도로 자라며, 다세포의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3~5장이 달리고, 넓은 타원형, 피침상 타원형,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8~20cm, 폭 5~8cm이다. 기부는 짧은 잎집로 줄기를 감싸며 하부의 2~3개 잎은 잎집 모양이다. 꽃은 5~7월에 연한 홍자색, 흰색, 분홍색 등으로 피는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꽃싸개잎은 잎과 같다. 입술꽃잎은 주머니처럼 부푼다. 주머니 안쪽에 털이 있다. 복주머니란 '17.5.23 / 정선 hyun.. 2024. 2. 12.
로젯사철란 (난초과, 사철란속) 학명은 Goodyera brachystegia Hand.-Mazz. 한국사철란이라고도 한다. 그늘지고 다소 습한 석회암 지대의 숲속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잎은 아래에서 4~8개가 방사상으로 나며, 맥은 흰색이 뚜렷한 그물맥이다. 꽃은 7월에 피는데 흰색 또는 갈색을 띠는 흰색이며, 20개 정도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사철란과 애기사철란은 5~12개의 이삭꽃차례가 달린다.) 길이 10~20cm의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꽃싸개잎은 녹색, 피침형, 길이 5~10mm, 폭 1.2mm, 흰 털이 있다. 등꽃받침은 곁꽃잎 2장과 덮개로 되며, 난상 타원형이다. 곁꽃받침은 좁은 타원형, 등꽃받침과 함께 뒷면 밑에 성긴 털이 있다. 붉은사철란 (Goodyera macrantha Maxim) 제주도와 완도 등 다도해 도.. 2023. 12. 20.
갈매기난초 잎 '23.6.6 2023. 7. 4.
옥잠난초(6.25) [난과의 특징]- 잎의 밑부분은 잎싸개(엽초 = 잎집)로 된다.-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 3장(배악편, 측악편 2장), 꽃잎 3장(순판, 측화판 2장)이 떨어져 난다.   cf) 배악편 = 등꽃받침, 측악편 = 곁꽃받침, 순판 = 입술꽃잎, 측화판 = 곁꽃잎- 암술과 수술은 붙어 꽃술대(예주 : 암술과 수술이 붙은 기둥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암술과 암술머리는 1개.- 심피는 3개다.- 씨는 많으며 먼지같이 미세하고 배젖은 없으며 배는 분화되지 않는다.[나리난초속의 종 검색표]1. 위인경은 원통형이다. ----- 혹난초    cf) 위인경 : 인경과 비슷한 줄기 구조이며 새우난초속, 나리난초속, 보춘화속에 해당된다1. 위인경은 난상 구형이다.     2. 잎의 가로맥이 뚜렷하다. ---- 나나벌이난초 .. 2023. 6. 26.
병아리난초 '23.5.26 2023. 6. 16.
옥잠난초 '23.6.2 2023. 6. 15.
약난초 '23.5.24 2023. 6. 10.
나나벌이난초(5.3) 잎은 마주난 2장이며 가장자리는 물결형. 꽃은 연한 녹색, 자갈색[난과의 특징]- 잎의 밑부분은 잎싸개(엽초 = 잎집)로 된다.-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 3장(배악편, 측악편 2장), 꽃잎 3장(순판, 측화판 2장)이 떨어져 난다.   cf) 배악편 = 등꽃받침, 측악편 = 곁꽃받침, 순판 = 입술꽃잎, 측화판 = 곁꽃잎- 암술과 수술은 붙어 꽃술대(예주 : 암술과 수술이 붙은 기둥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암술과 암술머리는 1개.- 심피는 3개다.- 씨는 많으며 먼지같이 미세하고 배젖은 없으며 배는 분화되지 않는다.[나리난초속의 종 검색표]1. 위인경은 원통형이다. ----- 혹난초    cf) 위인경 : 인경과 비슷한 줄기 구조이며 새우난초속, 나리난초속, 보춘화속에 해당된다1. 위인경은 난상 구형이.. 2023. 5. 6.
은난초 '23.5.3 2023. 5. 6.
금난초 '23.5.3 2023. 5. 6.
새우난초 '23.5.3 2023. 5. 5.
김의난초 '23.4.27 2023. 4. 29.
은대난초 '23.4.28 2023. 4. 29.
은난초 '23.4.28 2023. 4. 28.
풍란 '23.2.28 2023. 3. 2.
사철란 '22.9.21 2023. 2. 7.
약난초 '22.5.19 2022. 9. 15.
나도제비란 (열매 포함) '22.7.10 2022. 9. 13.
갈매기난초(5.19) [제비난초속의 종 검색표]1. 잎은 위로 가면서 서서히 작아진다.    2. 잎은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입술꽃잎(순판)의 가운데 갈래는 길이 13~20mm이다. ----- 갈매기란    2. 잎은 넓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입술꽃잎(순판)의 가운데 갈래는 길이 5~8mm이다. ----- 흰제비란1. 잎은 위로 가면서 갑자기 작아지며 밑부분의 1~3장만 크다.    3. 입술꽃잎은 원형, 난형, 타원형이며, 위로 말린다. ----- 고산제비란    3. 입술꽃잎은 혀 모양이며, 위로 말리지 않는다.          4. 꽃은 흰색이며, 맨 아래 2장의 잎은 마주난 것처럼 보인다. ----- 제비난초         4. 꽃은 녹색 또는 황록색이며, 맨 아래 2장의 잎은 뚜렷이 어긋나 보인다... 2022.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