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2896

세잎승마 근생엽(7.4) [노루삼속 신엽 비교]눈빛승마 : 2~3회 3출 또는 3출 우상개승마 : 1회 3출하며 소엽은 원심형으로 5~9개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져 단풍취와 유사 나제승마 : 소엽은 23~29장으로 된 겹잎승마 : 1-2회 3출겹잎노루삼 ; 2-4회 3출복엽 세잎승마 : 1회 3출엽왜승마 : 1-2회 3출복엽촛대승마 : 2-3회 갈라짐황새승마 : 2-3회 3출복엽* 3출엽 또는 3출복엽 : 노루삼, 세잎승마, 왜승마, 황새승마. 세잎승마 신엽(5.1)[노루삼속 신엽 비교]눈빛승마 : 2~3회 3출 또는 3출 우상개승마 : 1회 3출하며 소엽은 원심형으로 5~9개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져 단풍취와 유사 나제승마 : 소엽은 23~29장으로 된 겹잎승마 : 1hyunsik.tistory.com'25.7.4... 2025. 7. 7.
섬바디(6.17) [기재문]학명은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특산식물. 햇빛이 잘 드는 산자락이나 들에 흔하게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2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3개씩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정우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가장 길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서 마침내 3출엽으로 된다. 꽃은 7월에 피고 흰색이며 지름 약 3.4mm로서 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리고 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 달리며 지름 20cm이고 총포가 거의 없으며 산경은 길이 6.5-10cm로서 털이 없다. 작은포는 가늘고 10~20개씩이며 길이 18mm로서 소산경보다 길고 꽃잎은 5장이다. 높이가 2m에 달하고 윗부분에.. 2025. 7. 6.
하늘나리(6.22) [비교] 큰하늘나리, 하늘나리, 하늘말나리종 명큰하늘나리(하늘나리의 변종)하늘나리(Lilium concolor Salisb.)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자생환경습한초원해발 800m이상 되는 높은 산에서햇볕이 잘 드는 사면이나 길가산기슭이나 낙엽수림 주변잎어긋나기 잎길이 5 - 8.5cm, 폭 5 - 10mm어긋나기 잎.길이 3.5 - 7cm, 폭 3 - 6mm큰 윤생엽과작은 어긋나기엽이 있다화피짙은 분홍색 화피에 자색 반점이 산재.길이 5 - 5.2cm, 폭 0.8 - 1.4cm황적색 화피에 반점이 연하게 있음길이 2.2 - 4cm, 폭 0.4 - 0.7cm황적색 화피에자색 반점이 밀포지하경있다없다?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심피는 3개이고 합생하고 씨방은 상위 .. 2025. 7. 5.
북분취 근생엽(6.23) 출처 : 학국특산식물도감 2017년검색표에 신종(자옥취, 함백취, 남해분취)과 미기록종(영덕취)은 포함되지 않음[취나물속의 종 검색표]1. 부속기가 총포편 끝에 있다. 근경이 없는 2년초 2. 잎은 거치가 없다. ----- 남포분취 2. 잎은 우상열편한다. 3. 거치가 결각에 있다. 총포폭은 1~1.4cm. ----- 각시취 3. 거치가 결각에 없다. 총포폭은 0.5~0.8cm. ----- 큰각시취(1. 부속기가 총포편 끝에 없다. 근경이 있는 다년초 2. 경생엽이 없거나 1~2장이다. 3. 엽병은 날개가 있어 불분명하디. 4. 근생엽은 꽃필 때 존재. 잎 이면은 거미줄 털이 존재. ----- 백설취(특산식물) .. 2025. 7. 5.
구와취 근생엽(6.23) 출처 : 학국특산식물도감 2017년검색표에 신종(자옥취, 함백취, 남해분취)과 미기록종(영덕취)은 포함되지 않음[취나물속의 종 검색표]1. 부속기가 총포편 끝에 있다. 근경이 없는 2년초 2. 잎은 거치가 없다. ----- 남포분취 2. 잎은 우상열편한다. 3. 거치가 결각에 있다. 총포폭은 1~1.4cm. ----- 각시취 3. 거치가 결각에 없다. 총포폭은 0.5~0.8cm. ----- 큰각시취(1. 부속기가 총포편 끝에 없다. 근경이 있는 다년초 2. 경생엽이 없거나 1~2장이다. 3. 엽병은 날개가 있어 불분명하디. 4. 근생엽은 꽃필 때 존재. 잎 이면은 거미줄 털이 존재. ----- 백설취(특산식물) .. 2025. 7. 5.
넓은잎기린초(7.3) [특징]1. 잎이 마주난다.(기재문에는 마주나거나 어긋난다)2. 잎 모양은 도란형~넓은 도란형이다.3. 근연종에 비해 키가 작다.4. 동해안(삼척시, 영덕군, 울진군 등)에 분포[한국산 기린초속의 종 검색표]출처 : '외부형태 형질에 근거한 한국산 돌나물과내 돌나물속과 기린초속의 분류학적 고찰'(2020년)1. 지상부는 20㎝이상이며, 취산화서에 꽃이 10개 초과로 달린다. 2. 줄기는 1-2개가 뿌리에서 나온다. 줄기 상부에서 가지는 간혹 5개 이상으로 갈라진다. ----- 가는기린초 * 큰기린초 : 가는기린초에 비해 잎이 타원형~난형~도란형이고 너비가 2~3cm로 넓고 끝이 둔하거나 둥근 것이 특징 2. 줄기는 3개 이상 뿌리에서 .. 2025. 7. 5.
갯톱풀(7.3) [비교] 톱풀속(갯톱풀, 산톱풀, 톱풀 등) 비교종명갯톱풀산톱풀톱풀잎 거치천열중열 또는 심열심열총포편3열2열2열두상화 직경9~12mm4~4.5mm7~9mm설상화 갯수7~8개5~7개5~7개설상화 길이3~4mm3mm 이하3.5~4.5mm통상화 길이3~5mm2~2.5mm2~3mm분포지바닷가나 해안지역의 모래땅높은 산의 풀밭전국의 산야[비교] 갯톱풀, 톱풀종명갯톱풀(Achillea alpina L. subsp. pulchra)톱풀(Achillea alpina L.)엽연 규칙적으로 얕은 거치가 있다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설상화 갯수7~8개5~7개줄기와 줄기잎의 털성기게 난다.다소 밀생한다.총포면3열2열 서양톱풀 꽃(5.12)[비교] 톱풀속(갯톱풀, 산톱풀, 톱풀 등) 비교종명갯톱풀산톱풀톱풀잎 거치천열중열 또.. 2025. 7. 4.
산흰쑥(6.23) [특징]- 두상화서 주변의 임성인 자성화와 중앙부에 임성인 양성화로 구성- 화탁에 털이 있다.- 두상화서는 긴 화경을 갖고 있어 아래로 처진다.- 잎은 오각상이며 2~3회 우상으로 심열하거나 전열한다.[기재문] 희귀멸종위기 식물.학명은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산지의 초지, 길가, 강가 둔덕에서 키 20~150cm가량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철에 마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4.3-14cm이고 엽병은 길이 2-6cm로서 날개가 없다. 엽신은 넓은 달걀모양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2.5-10cm로서 불규칙하게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2-3쌍으로서 정열편이 작으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날개처럼 되고 양면에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회.. 2025. 6. 25.
왕삿갓사초(6.22) [기재문]학명은 Carex rhynchophysa Fisch. 높은 산지의 습지나 북부지방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큰 포기를 형성하여 자라고, 땅속줄기가 뻗는다. 줄기는 거칠고, 높이 60~100cm. 잎은 너비 8~15mm이고 거칠다. 아래쪽의 잎집은 적갈색이고, 가로맥이 뚜렷하다. 꽃차례에서 가장 아래의 포는 잎 모양이고 짧은 잎집이 있지만, 위의 포는 잎집이 없다. 꽃은 위쪽에 달리는 몇 개의 작은이삭에는 수꽃만 달리고, 길이 3~6cm로 선형이다. 아래의 줄기 옆에 달리는 2~5개의 작은이삭은 암꽃으로만 구성되며, 원기둥 모양, 5~10cm이고, 짧은 대가 있다. 암꽃의 인편은 연한 갈색이고 중앙의 맥은 녹색이며, 끝이 약간 길어진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길고, 길이 5~6mm.. 2025. 6. 25.
큰물통이 신엽(5.31) [물통이속 꽃의 특징]1. 꽃은 잡성화다(암꽃, 수꽃, 양성화).2. 암꽃에는 헛수술이 있다.3. 포는 원기둥 모양이다.[물통이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식물 작은잎물통이, 남방향유 논문)1. 암꽃의 화피편은 5개로 갈라진다. ----- 산물통이1. 암꽃의 화피편은 2 또는 3개로 갈라진다. 2. 암꽃의 화피편은 2개로 갈라지며, 잎은 난상 원형이다. ------ 물통이 2. 암꽃의 화피편은 3개로 갈라지며, 잎은 주걱형 또는 난형이다. 3. 잎은 주걱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길이는 7 ㎜이하이다. ----- 작은잎물통이(서울 및 제주의 보도블록) 3. 잎은 난형으로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고, 길이는 7 ㎜이상이다. 4. 잎 가장자리의.. 2025. 6. 21.
피마자 신엽(5.30) 붉은피마자 열매, 종자(1.26)학명은 Ricinus communis for. sanguineus로 피마자의 변종'23.1.26.hyunsik.tistory.com'25.5.30. 고령군 2025. 6. 21.
큰바늘꽃(6.16) 바늘꽃과 특징은 꽃이 대개 4수성으로 꽃잎과 꽃받침잎이 각각 4장.[바늘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1. 주두는 4개로 깊게 갈라진다. ----- E. hirsutum 큰바늘꽃(울릉도, 삼척, 백두산 주변)1. 주두는 갈라지지 않는다 2. 잎에는 분명한 거치가 있다 3. 잎 한쪽면의 거치수가 8개 이상이고, 잎은 좁은 난 형, 피침형-장타원상 피침형이다 4. 주두는 곤봉상이다. ----- E. pyrricholophum 바늘꽃(전국) 4. 주두는 두상이다. 5. 종자의 표면에는 유두상의 돌기가 발달한다 .. 2025. 6. 21.
산꼬리사초(6.18) [특징]- 외형은 참삿갓사초(암술머리 3개)와 유사하지만 암술머리는 2개로 구분된다.- 엽신은 4~10mm로 비교적 넓다.- 포엽은 줄기보다 훨씬 길다.- 측생소수는 근접하게 조밀하게 달리고, 맨 아래 소수는 긴 자루가 있고 길게 늘어진다.- 과낭이 성숙하면 거의 수평으로 벌어진다.[기재문]학명은 Carex shimidzensis Franch. 산지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모여나고 윗부분이 거칠다. 높이는 50~100cm이다. 잎은 줄기보다 길어지고, 가장자리가 거칠며, 너비 5~9mm이다. 아래쪽의 잎집은 황갈색이고 잎몸이 짧다. 꽃차례의 포는 잎 모양이고 5~25cm로 길며 잎집이 없다. 꽃은 4~6월에 핀다. 가장 위의 이삭에는 수꽃이 대부분이지만, 끝에 암꽃이 달리기도 하며, 길이 .. 2025. 6. 20.
좀전동싸리 꽃(6.17) [특징]- 동속 중에서 개화시기가 빠르고 전초, 화관 길이가 제일 작다.- 꽃받침 열편이 넓은 삼각이다.- 종자 표면은 동속과 달리 매끄럽지 않고 미세한 유두상이다.- 바닷가 공터에 자라는 한해살이 귀화식물이다.[전동싸리속 종 검색표] 출처 : 'A New Record for Invasive Alien Plant: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Desf. (Fabaceae) in Korea' 서양전동싸리 논문(2023년)1. Flowers white ----- 흰전동싸리1. Flowers yellow. 2. Plants 20-50㎝ tall; flowers 2-3㎜ long ----- 좀전동싸리 * 꽃받침 열편은 대체로 삼각형이고 종자 표.. 2025. 6. 19.
반달콩제비꽃, 열매(6.4) [제비꽃과 특징]- 5개의 꽃잎은 모두 같은 모양이 아니며- 1개는 순판으로 발달되어 밑부분에 꿀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수술은 5개- 씨방은 상위로 1개의 방을 가지고 있는데, 그 안쪽 벽에는 다수의 밑씨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학명은 Viola verecunda var. semilunaris Maxim.콩제비꽃(Viola verecunda A.Gray)의 변종이며 개화기간이 길며,근생엽은 초승달모양이고 콩팥 모양인 콩제비꽃과 다르다. 콩제비꽃(5.9)반달콩제비꽃 (10.30, 제비꽃속)제비꽃과의 특징은 5개의 꽃잎은 모두 같은 모양이 아니며, 1개는 순판으로 발달되어 밑부분에 꿀주머니를.. 2025. 6. 15.
어저귀 신엽(5.25) [기재문]학명은 Abutilon theophrasti Medicus인도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섬유작물로 한때 밭에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경작지 주변이나 길가, 빈터 등에서 자라는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약 1.5m로 전체가 털로 덮여 있다.잎은 어긋나며 심장상 원형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다.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난 1~3cm의 꽃자루 끝에 달리며, 지름 1cm가량, 노란색이다.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로 밑부분이 합쳐져 있다.열매는 삭과로 심피가 윤상으로 나열되고 뾰족한 끝 2개가 밖으로 젖혀지는데, 9~10월에 익으면 흑색 분과가 촘촘히 선다. 줄기는 섬유재로 이용한다. 어저귀 신엽(6.18)'23.6.18. 대구hyunsi.. 2025. 6. 14.
대가래 신엽(5.25) [가래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식물 얼치기대가래 논문(2020년)1. 침수엽의 엽설은 잎 기부와 합착된다. 2. 잎은 좁은 선형이고, 너비 2㎜ 이하, 점첨두 또는 예두이며, 평저이다. ----- P. pectinatus (솔잎가래) 2. 잎은 선형이고, 너비 2-3㎜, 예두이며, 원저이다. ----- P. maackianus (새우가래)1. 침수엽의 엽설은 잎 기부와 거의 이생한다. 3. 부수엽이 발달하지 않는다(좁은잎말 제외). 4. 잎은 좁은 선형이고, 너비 1-6㎜이다. 5. 잎은 너비 3-6㎜, 둔두 또는 예두이며, 넓은 설저이고, 엽연은 예거치가 있는 파상이다. -- P. crispus (말즘) 5. 잎은.. 2025. 6. 14.
바늘청사초(5.4) [특징]- 소수 자루가 길다.- 자인편의 까락이 길다.- 과낭은 성숙하면 거의 수평으로 벌어지고 잔털이 있다.- 유사종에 비해 잎이 넓다.[기재문]다년초.학명은 Carex tsushimensis (Ohwi) Ohwi 줄기 : 근경은 없으며 줄기는 모여나고, 20~60cm, 위쪽으로 까끌거린다.잎 : 선형으로 너비 3~8mm, 기부 엽초는 갈색이고, 묵은 잎은 섬유 모양으로 갈라진다.포엽 : 잎 모양으로, 소수보다 짧고, 엽초가 있다.소수 : 정생소수는 웅성으로, 방추형, 2~5cm, 긴 자루가 있고, 웅인편은 녹색이 감도는 백색으로 까락이 있다. 측생소수는 자성으로 원주형, 2~5cm, 자루가 길다.인편 : 자인편은 녹색이 감도는 백색으로, 둔한 모양 혹은 요두이며, 과낭보다 긴 까락이 .. 2025. 6. 13.
지황(5.5, 현삼과) [기재문]학명은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중국 원산이며 밭에 약용식물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길이 10cm쯤, 노란색을 띤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30cm, 전체에 회백색 짧은 샘털이 있다.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 3~16cm, 폭 2~4cm, 밑부분은 점차 좁아지며, 끝은 둔하고,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줄기 윗부분의 잎은 꽃싸개잎처럼 된다.꽃은 6~7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 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꽃부리는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벌어지며, 샘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 긴 타원형으로 길이 .. 2025. 6. 13.
노랑갈퀴(5.19) [기재문]학명은 Vicia chosenensis Ohwi이며 종소명 chosenensis는 '조선산의' 의미. 특산식물잎은 어긋나기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으로서 끝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소엽은 긴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발달히며 화경이 길고 꽃은 5월에 피며 길이 12mm정도로서 자줏빛이 도는 황색이고꽃자루가 밑으로 처지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황색 꽃이 피기 때문에 노랑갈퀴라고 한다.열매는 협과로 선상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2~4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높이가 8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없다. 노랑갈퀴(5.1)[기재문]학명은 Vicia chosen.. 2025. 6. 1.
취명아주(5.27) [기재문]학명은 Chenopodium glaucum L. 강가, 바닷가, 경작지 주변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0~40cm, 털이 없고, 윤기가 나며, 녹색 또는 붉은 자주색의 세로줄이 있으며, 가지는 밑에서 누워 자라다가 비스듬히 선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 난형, 피침형으로 길이 2~4cm, 폭 5~20mm,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은 쐐기 모양으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큰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녹색으로 윤기가 나며, 뒷면은 회녹색 혹은 붉은 자주색이고, 흰색 가루로 덮여 있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서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화피조각은 3~4장, 좁은 타원형,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흰색 막질이다. 수술.. 2025. 5. 29.
노랑꽃창포 신엽, 뿌리(4.7) [특징]1. 화경은 3~4회 분지하고 갈라진 가지 끝에 2~3개의 꽃이 핀다.2. 잎 끝이 약간 흰다.[붓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외화피에 장식털이 없다. 2. 화경은 차상으로 분지한다. ----- 대청부채(Iris dichotoma Pall.) 2. 화경은 분지하지 않는다. 3. 내화피가 인편으로 퇴화했다. -----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3. 내화피가 있다. 4. 잎은 뒤틀려있다. ----- 타래붓꽃(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4. 잎은 반듯하다. 5. 꽃은 꽃대에 3~4개... 2025. 5. 28.
좀어리연꽃 신엽(5.22) 희귀멸종위기식물, 특산식물[기재문]학명은 Nymphoides coreana (Lev.) Hara1~2장의 잎만 물 위에 뜬다. 잎은 난상 심장형 또는 원심형이며 지름 2~6cm로서 밑부분이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는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10cm이고 원줄기의 연속으로서 밑부분이 귀처럼 넓어져 꽃차례를 감싼다.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8mm로서 백색이고 꽃자루는 길이 1-3cm이며 엽병 기부에서 속생하고 꽃받침열편은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부리는 4-5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1mm이고종자는 평활하거나 다소 두드러기같은 돌기가 있으며 윤채가 있다. 좀어리연꽃 (9.14, .. 2025. 5. 24.
울릉제비꽃, 뿌리(5.7) [기재문]울릉도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학명은 Viola ulleungdoensis M.Kim & J.S.Lee 울릉도의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없다. 높이는 12-20cm이다.뿌리줄기는 짧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난형으로 길이 5.5-8.5cm, 너비 4.5-6.0cm,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잎자루는 길이 7-9cm이다. 꽃은 4월에 피며, 자주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8-11cm이며 털이 없다.작은 포는 선형으로 길이 8-10mm이다. 꽃받침은 5개이며, 녹색이고, 털이 없다. 꽃잎은 5개, 꽃뿔은 길이 8-12mm이다. * 울릉제비꽃은 뫼제비꽃과 유사하나 부정아가 없고 개화기 이후 잎이 커지며 뫼제비꽃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 - 식물체 크기 : 뫼.. 2025. 5. 23.
우산제비꽃 꽃(5.7) [기재문]울릉도에 자생하는 특산식물.학명은 Viola woosanensis Y.N.Lee & J.Kim턱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으며 길이 1-1.3㎝이다. 잎은 삼각상 난형, 불규칙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 양 면에 털이 있다. 윗면은 짙은 녹색, 아랫면은 자줏빛을 띠며, 길이 3.6-6.4㎝, 폭 2.5-4.5㎝이다. 잎자루는 길이 2.5-2.8㎝이다.꽃은 보라색이고 길이 2-2.2㎝, 꽃줄기는 갈색을 띤 녹색이며 길이 3-7.5㎝이다. 턱잎은 길이 1.5㎝, 폭 2-2.5㎜이다. 꽃받침은 피침형, 기부쪽은 치아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4㎝, 폭 3.8㎜이다.이 식물은 울릉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남산제비꽃과 울릉제비꽃간의 교잡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추정... 2025. 5. 23.
왕둥굴레(5.7) 백합과 특징은 꽃이 대개 6갈래로 갈라졌으며, 열매는 3개의 방으로 나누어진다.[둥굴레속의 절, 계열 검색표] 출처 :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2002년)1. 잎이 호생한다. ----- 둥굴레절 2. 포가 없다. -----둥굴레계열 2. 초질 또는 막질의 포를 가진다. 3. 포가 초질, 난형 내지 피침형, 길이 1-3.5cm이고 맥이 3-5개: 화피통 안쪽에 털이 없다. 수술대에는 유두상 돌기 및 긴 털이 조밀하게 있다. ----- 용둥굴레계열 3. 포가 막질, 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 길이 최대 1.2cm로 맥이 없거나 1개 : 화피통 안쪽과 수술대 부착부위에 짧은 견모가 있다. 수술대.. 2025. 5. 23.
께묵 신엽(5.20) '25.5.20. 대구 2025. 5. 20.
유럽나도냉이 신엽(4.8) [비교] 나도냉이, 유럽나도냉이종명꽃잎열매종자색나도냉이길이 4~5mm의 도피침상줄기와 거의 평행하게 곧추섬.길이 2~5cm이며 암술대가 굵고 짧음(0.5~1.5mm)적갈색유럽나도냉이길이 5~6mm의 주걱상꽃차례의 축에 비스듬히 서서 달림.길이 2~3cm이며 암술대가 가늘고 김(1.5~3mm)흑갈색주. 유럽나도냉이 근생엽은 나도냉이에 비해 광택이 보다 난다.[기재문]학명은 Barbarea vulgaris W.T.Aiton이며 종소명 vulgaris는 '평범한, 보통' 의미.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길가, 하천 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80cm, 위쪽에서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깃꼴로 완전히 갈라지고 맨 위쪽의 작은잎은 난형이며물결 모양 톱니가.. 2025. 5. 19.
가시박 신엽(5.1) [특징]1. 단성화이고 수꽃은 긴 꽃줄기 끝에 총상꽃차례, 암꽃은 두상화이고 수꽃보다 작다.2. 환경부 지정 생태교란식물이다.[기재문]학명은 Sicyos angulatus L.덩굴성 1년초.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잎자루는 길이 3-12㎝, 연모가 밀생한다. 잎몸은 거의 원형, 5-7천열이 되며,지름 8-12㎝, 기부는 깊은 심장저이고 열편은 끝이 예두 또는 점첨두이다.6-9월에 꽃이 핀다. 꽃은 자웅동주이며 수꽃은 총상을 이루며, 길이 약 10㎝정도로 길게 된 꽃대 끝에달리며 지름 1㎝, 황백색, 꽃밥은 동합되어 한 덩어리가 되엇으며, 꽃대에는 샘털이 있다. 암꽃은 짧은 꽃대 끝에두상을 이루며 지름 6㎜, 담녹색, 1개의 암술, 씨방하위이다.열매는 자루가 없고 3-10개가 뭉쳐 나며, 긴타원모양.. 2025. 5. 18.
나래가막사리 신엽(5.1) [기재문]외래식물.학명은 Verbesina alternifolia (L.) Britton ex Kearney산지, 공원, 도로변, 하천, 습지 등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20~250cm.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긴타원모양으로 잎맥이 뚜렷하고 양면이 거칠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잔 톱니가 있고 밑 부분이좁아지면서 자루를 이룬다.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8~20cm, 폭 1.5~6cm이며 끝이 점첨두이고 잎가장자리에 예거치가 있으며, 기부는 쐐기모양이며, 양면이 거칠고 표면에 인모가 있다.꽃은 8~9월에 가지 끝마다 노란색 꽃송이가 한 개씩 달린다. 머리모양꽃차례는 다수이고, 지름 2.5~5cm이며 산방상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룬다. 총포조각은 피침형이고 털이 있고 반곡된다. 혀꽃은 2~.. 2025.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