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카51

큰우단일엽(3.9) [고란초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저)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있다. ----- 석위속(우단일엽, 큰우단일엽, 석위, 애기석위, 세뿔석위)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없다.     2. 포자낭군은 원형, 타원형이다.        3. 잎맥은 유리맥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 미역고사리속        3. 잎맥은 그물맥이고, 그 안에 갈라지는 유리맥이 있다. ----- 일엽초속, 밤일엽속, 창일엽속, 고란초속    2. 포자낭군은 길게 선형이거나 또는 넓게 빽빽이 붙는다.        4. 잎맥은 그물맥이고, 그 안에 유리맥이 있거나 없다. ----- 손고비속, 주걱일엽속, 콩짜개덩굴속        4. 잎맥은 유리맥으로 Y자로 분기한다. ----- 좀고사리속[석위.. 2025. 3. 10.
큰꽃옥잠난초(나리난초속, 6.7) [난과의 특징]- 잎의 밑부분은 잎싸개(엽초 = 잎집)로 된다.-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 3장(배악편, 측악편 2장), 꽃잎 3장(순판, 측화판 2장)이 떨어져 난다.   cf) 배악편 = 등꽃받침, 측악편 = 곁꽃받침, 순판 = 입술꽃잎, 측화판 = 곁꽃잎- 암술과 수술은 붙어 꽃술대(예주 : 암술과 수술이 붙은 기둥모양의 구조. 예 : 무궁화꽃)를 형성하고   암술과 암술머리는 1개.- 심피는 3개다.- 씨는 많으며 먼지같이 미세하고 배젖은 없으며 배는 분화되지 않는다.[기재문]학명은 Liparis koreojaponica Tsutsumi, T. Yukawa, N.S. Lee, C.S. Lee & M. Kato 숲속 바위 위나 쓰러진 나무줄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위인경은 달걀모양이고, 잎은 마주.. 2024. 6. 18.
큰개구리발톱(3.13, 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 2017년 신종으로 발표.개구리발톱과 유사하지만 꽃과 잎이 크며 두툼해 보인다. 학명은 Semiaquilegia quelpaertensis.논문에 의하면,종명지하경잎 열편 갈라짐꽃 크기수술개구리발톱1.5cm심열4~6.5mm8~14개큰개구리발톱3~5cm천열8~10mm16~22개또한, 종자 표면의 주름이 개구리발톱에 비해 현저히 나타난다. 개구리발톱 꽃, 열매(4.11)큰개구리발톱은 개구리발톱에 비해 근경과 꽃이 크며, 가수술 수가 많고 종자 표면이 다르다. - 개구리발톱 : 잎이 깊게 갈라지며 수술이 8~14개 이다 - 큰개구리발톱 : 잎이 얕게 갈라지고 수술이hyunsik.tistory.com 개구리발톱(3.5)'19.3.5hyunsik.tistory.com'24.3.13. 2024. 3. 21.
큰하늘지기(9.17) [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등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꽃은 양성화이다.     2. 소수의 소화는 성기게 달리며, 거의 양성화이다. -----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등    2. 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며(단, 세대가리, 파대가리속은 1~2개의 소화로 구성),        모두 양성화이다.        3. 소수는 소화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4. 화피편이 없다.                5. 암술대는 흔히 수과가 성숙하면 탈락한다.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5. 암술대는 수과가 성숙한 후에도 가.. 2024. 2. 19.
큰뚝새풀 (6.14, 뚝새풀속)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산조아재비속 : 소수는 1개의 소화가 있다. 포영은 기부가 붙지 않으며 중앙맥 부위가 용골을 만들고                         .. 2024. 2. 19.
큰원추리 (6.28, 백합과, 원추리속)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주변 만주 - 골잎원추리 :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각시원추리 : 북부 고산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 큰원추리 : 중북부의 고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개화시기가 빠르다) - 노랑원추리 : 서남 해안가 저지대 - 태안원추리 : 안면도 해안 주변의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홍도원추리(한국특산) : 홍도, 가거도, 흑산도 - 백운산원추리(한국특산) : 중남부 저지대의 숲 가장자리.. 2024. 2. 14.
큰겨이삭 (6.25)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포영은 막질이고 반짝거리며 1맥이 있다.- 소수는 소화 1개만 있으며 길이는 2~3mm로 작다.- 포영의 용골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큰겨이삭의 특징]- 지하경이 있어 군락을 형성한다.- 흰겨이삭과 유사하나 소수가 까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혼재한다.- 줄기 기부는 흰겨이삭과 달리 비스듬히 누워 자란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 2023. 6. 25.
큰참새귀리(6.19) 참새귀리는 엽초에 털이 있으나 큰참새귀리는 털이 없다.또한 소화경이 큰참새귀리에 비해 짧다.[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2022. 9. 25.
큰꽃잎차풀(차풀속, 9.1) 차풀과 큰꽃잎차풀은 모두 꽃잎이 아래로 향하고 있어 꽃을 들쳐보지 않고는 육안구분이 어렵다.개화시 수술이 붉은색이면 큰꽃잎차풀, 노란색이면 차풀로 보면 된다.[비교] 차풀, 큰꽃잎차풀차풀 (Chamaecrista nomame)아래 꽃잎은 타 꽃잎에 비해 약간 크고 길다.수술은 노란색꿀샘은 자루가 없고 적갈색이며 엽축 측면 가까운 위치에 있다.소엽의 끝이 날카롭다. 큰꽃잎차풀 (Chamaecrista nictitans)아래 꽃잎이 타 꽃잎에 비해 2배 길다.수술은 붉은색꿀샘은 버섯모양이고 자루가 있으며 엽축 중앙에 위치한다.소엽의 끝이 둥글다. 큰꽃잎차풀 신엽 (6.9, Chamaecrista nictitans (L.) Moench)'22.6.9hyunsik.tistory.com 큰꽃잎차풀 잎(7.27)'.. 2022. 9. 15.
큰산꼬리풀 (7.10/현삼과, 개불알풀속) [꼬리풀속 검색표] 출처는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이며 검색표 내용은 편집함1. 잎은 결각지고 줄기는 포복한다.     2. 잎은 혁질이고 수술은 화관 크기.  -----   부산꼬리풀(특산식물)     2. 잎은 막질이고 수술은 화관의 2배.  -----  봉래꼬리풀(넓은잎꼬리풀의 아종, 특산식물)1. 잎은 결각지고 줄기는 직립한다.    2. 포는 엽상형. 잎 표면은 거의 무모 ----- 섬꼬리풀(특산식물)    2. 포는 긴 선형. 잎 표면은 굽은 털 밀생        3. 잎은 얕게 결각진다.  -----  구와꼬리풀        3. 잎은 깊게 결각진다.            4. 식물체는 대형(45~55cm). 잎은 크고 깊게 결각.  -----  큰구와꼬리풀(특산식물)      .. 2022. 9. 7.
큰제비고깔 (8.13, 미나리아재비과) [기재문]학명은 Delphinium maackianum Regel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꽃은 7-9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작은포는 꽃자루의 중앙부에 달리며막질이고 꽃자루는 꽃대축의 윗부분과 더불어 갈색 융털이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가 꽃잎처럼 되며 위쪽의 것은거가 있고 꽃잎이 그 속에 들어 있다. 골돌은 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높이가 1m정도이고 줄기가 곧게 서며 밑부분과 꽃차례에 털이 있으나 대부분 털이 없고 상부에서 많은 .. 2018. 8. 26.
큰꾸러미풀(8.6, 포아풀속) 새포아풀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화서의 가지에 잔돌기가 있고 포영에 잔톱니가 있으며 호영에 긴 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벼과 속(포아풀속) 검색표]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겨이삭속 등    2.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1개뿐이다. ----- 새속, 갈풀속 등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2개 이상이다. ----- 귀리속 등1. 제1포영,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3.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 2017. 9. 15.
큰뚝사초 (Carex humbertiana Ohwi) '16.6.6 / 강원도 고성 2016. 7. 23.
큰청사초 (4.13) [비교] 청사초절 종의 과낭과 수과* 청사초절 주요 특징 - 정소수는 웅소수 1개, 측소수는 자소수 - 수과 끝부분의 부속체는 대부분 원반모양 - 암술머리는 3개이며 수과는 팽팽이 들어 있다.종명과낭 형상 / 길이과낭 털 유무수과 형상 / 길이수과 함몰 위치청사초도란형, 둔한 삼릉형 / -위쪽으로 조밀하게 털 있음둔한 삼릉형/ 약 1.8mm없음가지청사초좁은 난형 / 3~3.5mm로인편보다 길음잔털이 있음도란형 / 1.8~2mm없음갯바위청사초장란형 / 약  2.5mm성글게 있음타원형 / 1.3~1.6mm윗부분 2면이 약간함몰주름청사초마름모상 장타원형,둔한 삼릉형 / 약 3mm로인편보다 길음없음장타원형 / 약 2mm주로 능면 위아래모두 파임큰청사초중앙이 파인 방추형 /3mm로 인편보다 길음잔털이 밀생능각부 .. 2015. 6. 8.
큰졸방제비꽃 (5.18) 졸방제비꽃에 비해 잎이 보다 둥글고 옆꽃잎에는 털이 없다. 졸방제비꽃(4.11)민졸방제비꽃은 꽃잎 안쪽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다. '18.4.11hyunsik.tistory.com            '14.5.18 / 울릉도 2015. 1. 23.
큰하늘나리 (7.5) 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심피는 3개이고 합생하고 씨방은 상위 내지 반하위이고,3개의 자방실로 이루어짐. [백합속 열매 비교]* 열매는 날개가 발달하고 구형(최하 잎은 돌려난다) : 말나리, 하늘말나리, 섬말나리* 열매는 날개가 미발달하고 원통형(잎은 촘촘하게 어긋난다) :  솔나리, 하늘나리, 큰솔나리, 날개하늘나리,                                                                                                    땅나리, 털중나리, 중나리[비교] 큰하늘나리, 하늘나리, 하늘말나리종 명큰하늘나리(하늘나리의 변종)하늘나리(Lilium concolor Salisb.)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 2014. 9. 4.
큰달맞이꽃 (7.7) [비교] 달맞이꽃, 큰달맞이꽃종명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큰달맞이꽃(Oenothera glazioviana Micheli)줄기 및 열매의 털긴 털이 성기게 덮힌다.기부가 붉게 부푼 털이 덮고 있다.꽃 크기지름 3~5cm지름 5~7cm암술과 수술의 길이길이가 같다.암술이 수술보다 길다.[기재문]학명은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외래식물. 월년생잎은 호생하고 타원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근생엽은 도피침형이며 방사상으로 퍼진다.꽃은 7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달리고 밤에 피었다가 아침에 지며 꽃밑에 녹색포가 2개 달려 있다. 4개의 꽃받침잎은 2개씩 붙어 있는데 꽃이 필 때 뒤로 젖혀지며, 꽃잎은 4개로서 끝이 파지고, 수술은 8.. 2014. 8. 4.
큰두루미꽃 (Maianthemum dilatatum (Wood) A.Nelson & J.F.Macbr.) '14.5.17일 / 울릉도 두루미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197869 큰두루미꽃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485 잎은 밑부분의 것은 비늘같으며 정상엽은 2개로서 호생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10cm, 폭 2.5-8(10)cm이고 가장자리의 세포는 반원형이고 희미한 톱니같이 된다. 꽃은 5-6월에 피며 10여개 달리고 총상화서는 원줄기와 연속되며 길이 2-3㎝로서 백색꽃이 핀다. 소화경은 길이 3-7mm이고 화피열편은 타원형이며 길이 2mm로서 수평으로 퍼져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는 길이 0.8mm정도로서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둥근 장과는 지름 5-7mm정도로서 적색으로 익고 종자가.. 2014. 6. 21.
큰잎다닥냉이 (Cardaria draba (L.) Desv.) '13.5.9일 / 포항 큰잎다닥냉이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36 큰잎다닥냉이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096 좀다닥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939 들다닥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801 다년생 외래종 줄기 끝 다수 속생. 회색 연모. 꽃자루 가늘고 비스.. 2013. 5. 21.
큰천일사초 (Carex rugulosa Kuk. var. rugulosa) '13.4.15일 / 영덕 큰천일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881 큰천일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033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잎은 편평하고 폭 5-8mm이며 회색 또는 청록색이고 단단하다. 엽초는 잎이 없고 짙은 적갈색이며 그물같이 약간 갈라진다. 윗부분의 3-5개의 소.. 2013. 4. 16.
큰새포아풀 (Poa trivialis L.) '12.7.1일 / 단양 큰새포아풀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61 좀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26 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349 왕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505 실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431 청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 2012. 7. 1.
키큰꿩의비름 (Hylotelephium pallescens (Freyn) H.Ohba) '11.10.4일 / 예천 '11.8.23일 / 예천 키큰꿩의비름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880 키큰꿩의비름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576 큰꿩의비름 보기 : 새끼꿩의비름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460071 2011. 10. 7.
큰톱니나자스말 (Najas oguraensis) 1mm 눈금 '11.8.4일 / 안동 큰톱니나자스말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290 민나자스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7976 2011. 8. 5.
큰마름 (Trapa bispinosa) 뿔이 4개 : 네마름, 애기마름, 포평마름, 물마름, 만주애기마름 뿔이 2개 : 마름, 큰마름 큰마름은 마름에 비해 열매 너비가 길고(45mm 이상) 두꺼우며 뿔이 수평 또는 위를 향하면서 비후된 특징을 갖는다. 2010년 학국식물분류학회에서 발표됨. 큰마름 열매 보기 : akfhttp://blog.daum.net/watcher/8760521 2011. 2. 19.
큰비노리 (Eragrostis pilosa (L.) Beauv.) 엽설 및 중축에서 소수축이 갈라지는 곳에 긴털이 있다. 비노리 : http://blog.daum.net/watcher/8758413 좀새그령 : 그령 : http://blog.daum.net/watcher/6794597 참새그령 : http://blog.daum.net/watcher/8438872 2010. 12. 22.
큰물통이 (쐐기풀과) [물통이속 꽃의 특징]1. 꽃은 잡성화다(암꽃, 수꽃, 양성화).2. 암꽃에는 헛수술이 있다.3. 포는 원기둥 모양이다.[물통이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식물 작은잎물통이, 남방향유 논문)1. 암꽃의 화피편은 5개로 갈라진다. ----- 산물통이1. 암꽃의 화피편은 2 또는 3개로 갈라진다.     2. 암꽃의 화피편은 2개로 갈라지며, 잎은 난상 원형이다. ------ 물통이    2. 암꽃의 화피편은 3개로 갈라지며, 잎은 주걱형 또는 난형이다.        3. 잎은 주걱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길이는 7 ㎜이하이다. ----- 작은잎물통이(서울 및 제주의 보도블록)         3. 잎은 난형으로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고, 길이는 7 ㎜이상이다.            4. 잎 가장자리의.. 2010. 10. 19.
큰방울새란 (Pogonia japonica Rchb.f.) 큰방울새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630 방울새란 보기 : 2010. 6. 10.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Thunb.) 정소엽이 유달리 크다. 큰황새냉이 뿌리잎 보기 : 큰황새냉이 열매 보기 : 황새냉이 보기 : 꽃황새냉이 보기 : 잎은 호생하고 3-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고 거의 황새냉이와 비슷하지만 소엽이 적으며 둥글고, 특히 정소엽이 크며 폭이 2.5cm에 달하는 것이 다르다. 소엽은 끝.. 2010. 3. 5.
큰잎갈퀴 (Galium dahuricum Turcz.) 줄기에 털이 밀생 잎 : 4~6장씩 윤생. 긴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1.5~3.5cm, 폭 5~8mm로 끝은 둥글다가 아주 뾰족해지고 밑은 좁아져서 극히 짧은 대로 되며 양면에 털이 약간있고 가장자리는 다소 말림 줄기 : 30~60cm이며 줄기는 네모지고 밑을 향한 가시와 능선이 있으며 밑에서부.. 2010. 1. 16.
큰여우콩 (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큰여우콩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544 여우콩 : http://blog.daum.net/watcher/8757902 여우팥 : http://blog.daum.net/watcher/7588425 2010.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