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207 호밀풀(6.24) [호밀풀속 특징]- 화서는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포엽이 없다.- 소수는 자루가 없다. - 납작한 소수의 모서리가 화축을 향한다.- 제1포영이 없거나 희미하고 제2포영은 혁질이다.- 전부 외래식물이다.참고) 갯보리속(개밀, 속털개밀 등)은 제1, 2포영이 있다[호밀풀속의 종 비교]종 명특 징호밀풀(외래) - 호영에 까락이 없으나 재배품종의 교배로 중간종들이 생김. - 제2포영은 호영 길이보다 같거나 길다.쥐보리(외래) - 호영에 까락이 있다. - 제2포영은 호영 길이보다 짧다.가지쥐보리(외래) - 쥐보리의 화서가 갈라지는 것을 가지쥐보리로 따라 구별했으나 쥐보리로 통합함댕돌보리(외래) - 제2포영이 소수 길이의 1/2독보리(외래) - 제2포영이 소수 길이보다 길다.[비교] 호밀풀.. 2025. 1. 23. 왕쌀새, 근경(5.23) [비교] 청쌀새, 왕쌀새종명청쌀새(Melica grandiflora)왕쌀새(Melica nutans L.)뿌리수염뿌리긴 근경이 있다.포영의 색보통 보라색녹색줄기뭉쳐난다느슨하게 난다.자생지낮은 산 계곡부. 보통 군락을 형성한다.주로 높은 산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갯보리속 등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쇠치기풀속 등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2025. 1. 14. 산조풀, 소수(8.3) [특징]1. 평지 또는 산지의 습기가 있는 땅에서 긴 근경을 내며 군락을 형성한다.2. 포영이 커서 소화가 매몰되어 보이질 않는다.3. 소수는 화축 작은 자루에 한 개씩 붙는다.4. 까락은 호영 등쪽 중앙부 위쪽에 3~4mm 길이로 달린다.[검색표]개방원추화서를 갖는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호영이 보이질 않는다.)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2-2.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나도기름새속 2-3. 한개의 무병소수와 2개의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수수속 : 2 . 화서의 .. 2025. 1. 9. 바랭이(8.9) [바랭이속 특징]1. 제1포영은 없거나 흔적으로 남아 있다.2. 소수는 자루가 길고 짧은 것으로 1쌍을 이룬다.3. 소수는 2개의 소화가 있으며 제1소화는 불임이고, 제2소화는 임성이다.[비교] 바랭이속 소수 모양(길이)1. 피침형 : 좀바랭이(2.2~3.2mm), 바랭이(2.5~3.5mm)2. 장타원형 : 민바랭이(1.5~2.0mm, 민바랭이 변종인 서울민바랭이와 탐라민바랭이 공통)* 좀민바랭이는 도감 정보가 없음.[비교] 민바랭이, 민바랭이 변종(탐라민바랭이, 서울민바랭이)1. 민바랭이 : 엽초 구부를 제외하고 털이 없다.2. 탐라민바랭이 : 민바랭이에 비해 식물체가 왜소하고 엽초와 엽신에 백색의 긴 털이 있다.3. 서울민바랭이 : 탐라민바랭이와 비슷하나 식물체의 털의 양이 비교적 적으며 .. 2025. 1. 9. 물뚝새(10.6, 좀물뚝새속) [비교] 물뚝새, 좀물뚝새 소수좀물뚝새 : 화서는 길이 1~3cm이고, 소수는 녹색이며 호영에 털이 있다물뚝새 : 좀물뚝새의 변종. 화서는 3~13cm이며 좀물뚝새에 비해 굵고, 소수는 흔히 자주빛을 띠며 호영에 짧은 털이 있거나 없다.[기재문]학명은 Sacciolepis indica (L.) Chase var. oryzetorum (Makino) Ohwi 논 주변이나 양지바른 습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엽신은 길이 10~20cm, 너비 3~5mm이다. 10~20cm 3~5mm 엽초는 털이 없이 밋밋하다. 엽설은 길이 0.5mm, 두꺼운 막질이다. 0.5mm 응축원추화서로 수상화서처럼 보인다. 화서는 길이 3~12cm, 폭 5mm, 자갈색을 띠기도 한다. 소수는 짧은 자.. 2025. 1. 4. 각시그령(10.6) [그령속의 종 검색표1]1.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16개 있다. ----- 좀새그령 3. 식물체는 크고, 소수에 소화가 10~40개 있다. ----- 참새그령1. 화서에 황색 선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2. 다년초이다. ----- 능수참새그령 2. 1년초이다. 3. 화서 가지짬에 긴 털이 있다. ----- 큰비노리 3. 화서 가지짬에 털이 없다. 4. 화서는 적자색이 강하고, 소수는 2mm 미만이다. ----- 각시그령 4. 화서는 암녹색이고, 소수는 2mm.. 2025. 1. 4. 뚝새풀(4.9, 뚝새풀속)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산조아재비속 : 소수는 1개의 소화가 있다. 포영은 기부가 붙지 않으며 중앙맥 부위가 용골을 만들고 .. 2024. 12. 28. 진퍼리새(10.16) [특징]1. 잎은 주로 줄기 아래쪽에 달리며 잎집이 매우 길다.2. 긴 줄기에 비해 마디가 1개다.3. 엽신 뒷면의 중맥이 도드라진다.4. 소화는 광택이 있고 매끄러우며, 개화시기에 포영과 호영은 반혁질로 보인다.[기재문] 학명은 Molinia(몰리니아) japonica Hack.이고 종소명 japonica는 '일본의' 의미이다. 몰리니아는 진퍼리새와 유사한 식물로 산과 들, 습지에서 자라며 유럽, 동아시아 원산의 식물이지만 진퍼리새와 달리 줄기가 강건하고 포기의 형태가 좋아 조경용으로 적합하다. 산지의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가 여러 개가 모여나고, 높이 30~110cm이다.잎은 주로 아래쪽에 달린다. 잎집은 입구 근처에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20~50cm이고, 너비 4~10mm이.. 2024. 10. 17. 들비노리(9.25, 그령속) [특징]1. 호영이 3맥이다.2. 화서가지가 갈라지는 지점에 털이 없다.(큰비노리는 털이 있음)3. 소수는 붉은색을 띤다.[비교] 비노리, 큰비노리, 들비노리종명비노리큰비노리들비노리화서개방형. 화서축은 무모2차 가지를 내기도 한다.화서가 수평으로 퍼진다.개방형. 화서축에 가는 털이 있다.2차 가지를 내기도 한다.개방형 또는 가끔 응축1차가지만 난다.개화기6~9월7~9월8~10월소수길이는 2.5~4.5mm이며소화는 3~10개. 암녹색길이는 3~10mm이며소화는 4~14개길이는 4.5~8mm이며소화는 5~18개. 어두운 홍자색줄기~ 60cm~ 60cm~ 30cm엽초상부는 무모이거나 몇 개의짧은 털이 있다.상부는 잔털이 있다.구부는 2~2.5mm의수염털이 있거나 없다.포영제1포영은 약 0.6mm제2포영은 1m.. 2024. 9. 27. 논피(9.22) [피속(일년초, 엽설이 없다) 종 검색표]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형, 대개 2~4mm; 줄기는 좀 퍼져나고 성글게 포기를 이룬다. 4. 화총이 말끔하게 4열로 배열되며 가지를 내지 않고 좀 떨어져 .. 2024. 9. 24. 나도논피(9.17, 9.22) [특징]1. 총은 근연종과 달리 위로 뻗는다. 2. 소수의 형질은 논피와 유사하지만 까락 매우 길며 균일하다.3.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한다.[피속(일년초, 엽설이 없다) 종 검색표]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형, 대개 2~.. 2024. 9. 24. 쥐꼬리새(쥐꼬리새속, 9.2)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 2024. 9. 7. 참새그령(9.4) [특징]1. 환상선(環狀腺)이 발달함 : 소화경 줄기, 줄기 마디 아래2. 선점이 있다 : 잎 가장자리, 포영 및 호영의 용골3. 엽설은 막질이 없고 털이 있다.[비교] 참새그령, 좀새그령종명참새그령좀새그령개화 시기 좀새그령보다 늦다 참새그령보다 빠르다화서 모양 소수의 자루가 짧아서 화서 전체가 소수로 꽉 찬 것처럼 보인다. 소수의 자루는 참새그령보다 길어서 화서 전체가 성기게 보인다. 포영, 호영 용골의 선점 좀새그령보다 크다 많다 참새그령보다 작고 적다소수 크기 길이 5~20mm, 폭 2~3mm 길이 3~8mm, 폭 1.5~2mm 소화 개수 10~40개 3~16개1, 2포영의 크기 비슷하다 제1포영은 약 1.6 mm, 제2포영은 약 1.8 mm.엽설의 털 줄지어 있다 .. 2024. 9. 4. 왕바랭이(8.9, 왕바랭이속) [바랭이속 특징]1. 제1포영은 없거나 흔적으로 남아 있다.2. 소수는 자루가 길고 짧은 것으로 1쌍을 이룬다.3. 소수는 2개의 소화가 있으며 제1소화는 불임이고, 제2소화는 임성이다.[비교] 바랭이속 소수 모양(길이)1. 피침형 : 좀바랭이(2.2~3.2mm), 바랭이(2.5~3.5mm)2. 장타원형 : 민바랭이(1.5~2.0mm, 민바랭이 변종인 서울민바랭이와 탐라민바랭이 공통)* 좀민바랭이는 도감 정보가 없음.[비교] 민바랭이, 민바랭이 변종(탐라민바랭이, 서울민바랭이)1. 민바랭이 : 엽초 구부를 제외하고 털이 없다.2. 탐라민바랭이 : 민바랭이에 비해 식물체가 왜소하고 엽초와 엽신에 백색의 긴 털이 있다.3. 서울민바랭이 : 탐라민바랭이와 비슷하나 식물체의 털의 양이 비교적 적으며 .. 2024. 8. 31. 그령, 소수(그령속, 8.22) [특징]1. 엽초 구부에 긴 털이 있다.2. 화서의 가지는 1개 또는 2개로 분지된다.3. 소수는 화서 가지 끝에 1개만 달린다.4. 소수 자루에 마디모양의 부푼 선점이 있다.5. 포영이 잘 떨어진다.6. 호영은 뚜렷한 3맥이 있다.[그령속의 종 검색표1]1.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16개 있다. ----- 좀새그령 3. 식물체는 크고, 소수에 소화가 10~40개 있다. ----- 참새그령1. 화서에 황색 선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2. 다년초이다. ----- 능수참새그령 2. 1년초이다. 3. 화서 가지짬에 .. 2024. 8. 24. 나도딸기광이(7.31) [특징]1. 화서가 심하게 늘어진다.2. 소수는 겨이삭속처럼 포영속에 소화가 매몰되며 1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형태가 비슷한 왕미꾸리광이는 미꾸리광이속이며 4~7개의 소화가 있다. 겨이삭의 소수는 퉁퉁하나, 나도딸기광이속은 납작하다3. 제1, 2포영의 길이는 같다.4. 식물체는 1.6m까지 자란다.[속 검색표]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2-2.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나도기름새속 2-3. 한개의 무병소수와 2개의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 2024. 8. 21. 가지돌피(8.17) [특징]1. 엽설이 없다.2. 화총은 2차 가지가 있으며 뻣뻣하다.3. 동속 중에서 대형이며 화총도 길다.4. 줄기는 모여 난다.5. 화서 가지 기부에 긴털이 있다.[피속 종 검색표] - 일년초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 2024. 8. 21. 왕김의털아재비(7.31) [비교] 포아풀속, 김의털속* 포아풀속 - 호영의 끝은 뭉뚝하며 까락이 없고 등쪽에 용골이 발달한다. - 호영의 기부에 긴 털이 있다.* 김의털속 - 호영은 털이 없고 끝은 까락이 된다. - 호영의 기부에 긴 털이 없다.[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2024. 8. 9. 민바랭이, 소수(10.3)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소수는 자루가 없다. -----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등 2. 소수는 자루가 있다. 3.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3. 자루 끝에 소수가 달린다. 4. 소수 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4. 소수 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3. 화축과 소수의 폭이 거의 같다. ----- 뿔이삭풀속, 쇠치기풀속 3. 화축은 소수의 폭보다 가늘다. ---.. 2024. 8. 5. 좀바랭이, 소수(8.4/바랭이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소수는 자루가 없다. -----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등 2. 소수는 자루가 있다. 3.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3. 자루 끝에 소수가 달린다. 4. 소수 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4. 소수 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3. 화축과 소수의 폭이 거의 같다. ----- 뿔이삭풀속, 쇠치기풀속 3. 화축은 소수의 폭보다 가늘다. --.. 2024. 8. 5. 눈포아풀(7.4) 눈포아풀에 대한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의 기재문이 국생종과 다소 상이하고 기재된 사진들 중에서도 달라 보이는 사진이 있어 국생종의 기재문을 기준으로 검토함 제가 관찰한 이 종은 다음과 같다- 냇가 근처의 축축한 곳에서 자생한다.- 화서 가지가 까끌거린다- 소수 길이는 약 3mm 정도이며 소화는 2개다.- 1, 2포영은 3맥이며 용골이 까끌거린다(제1포영이 3맥인 점이 특징)- 호영의 맥은 희미한 5맥이다- 유사종에 비해 키가 크고 화서와 엽설이 길다 포아풀속에서 위의 내용에 충족되는 종은 눈포아풀이다.-----------------------------------------------------------------------------------------[벼과 속(포아풀속) 검색표]1. 화서의 화축 작.. 2024. 7. 14. 산새풀(6.7, 6.19) [산새풀 특징]- 높은 산지에 분포하며 근경이 있어 군락을 형성한다.- 소수병에는 소화가 1개가 있는 소수가 한 개씩 달리고 소수는 흔히 자색을 띤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있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까락은 호영의 등 중간에서 달린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2-2.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나도기름새속 2-3... 2024. 6. 20. 산묵새 (5.25, 김의털속) [벼과의 속 검색표]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 2024. 2. 15. 큰개사탕수수 (개사탕수수속) 화서축은 무모이고 화서는 가지를 치며, 소수는 무병소수와 유병소수로 구성된다. 제1포영은 소수보다 2개 긴 견모와 함께 잔털이 있고 제2포영은 - 무병소수는 보통 무모이나 드물게 가는 잔털이 있다. - 유병소수는 잔털이 있다. 큰개사탕수수 영과 '20.12.11 hyunsik.tistory.com 큰개사탕수수 '20.2.18 hyunsik.tistory.com '166.11.18 2024. 1. 6. 좀조개풀(10.4) 학명은 Coelachne japonica Hack.이고 좀조개풀속에는 좀조개풀 1종이 있다.산지의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작은이삭은 한 가지에 1~4개가 드문드문 달리고, 1~2개의 꽃이 들어 있다.꽃이 두 개 들어 있는 작은이삭에서는 제1소화가 임성이다.제1포영보다 제2포영이 길고 각각 1개와 3개의 맥이 있다. 호영은 난형으로 맥이 없다.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경상남도 울산 등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기장대풀속에 비하여 식물체가 작고 제2포영이 막질이다.일본의 고유식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상남도 무제치늪에서 자란다. 좀조개풀 열매, 종자 (10.4, 좀조개풀속)학명은 Coelachne japonica Hack.이고 좀조개풀속에는 좀조개풀 1종.. 2023. 11. 12. 실새풀 (9.10, 산새풀속) 학명은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이며 종소명 arundinacea는 갈대를 의미한다.동속으로 산새풀, 산조풀, 갯조풀 등이 있다.여러해살이풀이며 땅속 줄기가 있다.소수는 4~6mm로 1소화가 있고 기반에는 털이 있다. 소수 길이와 같은 1, 2포영은 비슷하고 용골이 있으며호영은 길이 4.0~4.5mm로 끝은 2개의 톱니가 있고 길이 4~9mm의 까락이 나온다. 내영은 2맥이 있다.[검색표]개방원추화서를 갖는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호영이 보이질 않는다.)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 2023. 9. 23. 갯드렁새 (갯드렁새속) 드렁새(드렁새속) 드렁새 열매 '22.10.3 hyunsik.tistory.com 갯드렁새 '15.8.29 / 태안 갯드렁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287 hyunsik.tistory.com 학명은 Leptochloa chinensis (L.) Nees이며 종소명 chinensis은 '중국산의' 의미이고 hyunsik.tistory.com 갯드렁새 영과 드렁새 열매 '22.10.3 hyunsik.tistory.com '16.8.28 / 태안 갯드렁새 보기 : 좀갯드렁새 영과 보기 : hyunsik.tistory.com 하구 또는 해안매립지 등에 자라는 열대에서 아열대원산의 귀화식물이다. 드렁새속은 자생식물인 드렁새와 외래식물인 갯드렁새와 좀갯드렁새가 있다. .. 2023. 9. 19. 드렁새(9.17, 드렁새속) [갯드렁새 근연속과의 검색표] 출처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좀갯드렁새와 갯드렁새의 분류학적 실체1. 일년생 또는 다년생으로 엽설은 길이 3-10(-15) ㎜이며, 예두 또는 찢어진 모양이다; 소수는 길이 5-12 ㎜이며, 소화는 5∼20개이다. ----- Diplachne 갯드렁새속1. 다년생으로 엽설은 길이 0.5-3 ㎜이며, 가는 털이 있다; 소수는 길이 1-5 ㎜이며, 소화는 2∼5개이다. ----- Leptochloa 드렁새속[기재문]학명은 Leptochloa chinensis (L.) Nees이며 종소명 chinensis은 '중국산의' 의미이고축축한 강변, 경작지 수로 및 논에서 서식하는 일년초 또는 다년초이다.줄기는 곧추 또는 마디에서 꺾이다가 서며, 아래쪽 마디에서 뿌리를 .. 2023. 9. 17. 나도잔디 (9.10, 나도잔디속) 산지의 양지바르고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10~25cm이다. 잎집은 털이 없거나 짧은 털이 있다.몸은 길이 2~7cm, 너비 2~4mm이고, 가장자리에는 샘점과 함께 긴 털이 있다. 잎혀는 짧고 털이 있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 끝에 아주 짧은 가지가 총상으로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2~6cm이다. '23.9.10 2023. 9. 12. 애기주름조개풀 애기주름조개풀 신엽 '19.5.11 / 경남 hyunsik.tistory.com 애기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macrophyllus (Honda) Ohwi) '19.8.23 / 경남 애기주름조개풀 더보기 : hyunsik.tistory.com 애기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의 변종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와 잎이 난다. 줄기는 서며, 높이 10~20cm이다. 잎몸은 길이 1~3cm이고, 너비 3~5mm이다. 꽃차례에는 대가 hyunsik.tistory.com 다년생이며 주름조개풀의 변종이다. 주름조개풀에 비해 식물체가 소형이며 털이 거의 없고 엽신의 길이 1~3cm이며 화서에 가지가 없고 화축의 마디에 1~3개의 무병소수가 .. 2023. 9. 12.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