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식물69

비쭈기나무 잎(차나무과/3.12) 잎은 2줄로 어긋나기로 두꺼우며 가죽질이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형의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둔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1)4.5 ~ 8(9)cm, 폭은 2 ~ 3.5(4)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진록색에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3~10mm로서 털이 없다. 2024. 4. 11.
개족도리풀(3.14) [족도리속 비교] * 악편이 뒤로 말린다 : 자주족도리풀, 털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 - 자주족도리풀 : 잎이 자주색 - 털족도리풀 : 잎전체에 털이 많으며 엽병에도 털이 있고, 악통 입구가 흰색 고리모양. - 각시족도리풀 : 잎뒷면과 엽병에 털이 없으며, 악편이 뒤로 젖혀져 악통에 밀착 * 잎에 무늬가 있다 : 개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 개족도리풀 : 잎이 두껍고 무늬가 선명. 잎 표면 맥위와 엽연에 짧은 털이 있으나 이면에는 털이 거의 없다. 화주 끝이 뾰족. - 무늬족도리풀 : 잎이 얇고 무늬가 희미하고, 분류군 중 가장 작으며 악통과 악편에 미세한 흰점이 있다. * 악통이 제껴지지 않고 잎에 무늬가 없다 : 족도리풀, 금오족도리풀 - 족도리풀 : 악편은 폭보다 길이가 짧다 - 금오족도리풀 : 악편.. 2024. 4. 7.
솜나물(3.13) [기재문] 학명은 Leibnitzia anandria (L.) Turcz.이며 종소명 anandria는 '수술이 없는' 의미.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꽃줄기는 곧추서며, 봄에 나오는 것은 높이 10~20cm, 가을에 나오는 것은 높이 60cm까지도 자라며, 털로 덮인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잎자루는 길이 2~4cm이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5~15cm, 1.5~4.5cm, 거미줄 같은 털로 덮인다. 가을에 나오는 잎은 더 크며, 잎자루는 길이 2.5~8.5cm, 잎몸은 길이 6~15cm, 폭 4.0~6.5cm다. 3~5월에 피는 꽃은 두상화로 1개가 달리며, 지름 1.5~2.0cm이다. 9~10월에 피는 꽃은 폐쇄화로 펴지지 않는다. 모인꽃싸개는 통 모양, 조각은 넓은 .. 2024. 4. 7.
초령목 잎(목련과, 목련속) 초령목은 우리나라의 전라남도 흑산도와 제주도의 바닷가 근처에 매우 드물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는 16m정도로 자라는 늘푸른 큰키나무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가죽질의 장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에 광택이 있습니다. 꽃은 2-4월에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흰색으로 달리며, 향기가 있다. 열매는 장타원형 또는 타원형의 골돌로 익는다. 초령목은 한자로 ‘招靈木’, ‘신령을 부르는 나무’라는 의미로 일명 ‘귀신나무’라고 불리기도 한다. 초령목은 ‘부처님께 바치는 나무’ 혹은 ‘불전에 올리는 나무’라고도 불리며, 목련과 나무 중에 가장 먼저 꽃이 피는 나무다. '24.3.12 2024. 4. 7.
왕초피나무 수피(3.12) '24.3.12 / 식재 2024. 4. 7.
개가시나무(3.14) [특징] 어린가지, 잎자루 및 잎 뒷면에 황갈색 털이 밀생하고 열매 꼭지 주변에 갈색 털이 있다. 멸종위기식물임. 학명은 Quercus gilva Blume 잎은 가죽질이고 도피침상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둔하며, 가장자리 상반부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갈색의 별 모양 털이 밀생한다. 잎자루에도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꽃차례에 활갈색 털이 밀생한다. 수피는 흑갈색 또는 회흑색이며 오래되면 불규칙한 조각으로 벗겨진다. 개가시나무 및 열매 (11.4) [특징] 어린가지, 잎자루 및 잎 뒷면에 황갈색 털이 밀생하고 열매 꼭지 주변에 갈색 털이 있다. 멸종위기식물임. 학명은 Quercus gilva Blume 잎은 가죽질이고 도피침상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hy.. 2024. 4. 4.
밤일엽(3.14) [기재문] 학명은 Neolepisorus ensatus (Thunb.) Ching. 희귀멸종위기식물. 숲속의 그늘지고 습한 곳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지름 3~4mm, 옆으로 길게 뻗는다. 비늘조각은 땅속줄기와 잎자루 아래쪽에 모여나며, 삼각상 피침형, 길이 5mm 정도, 갈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10~30cm, 잎몸보다 짧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25~40cm, 폭 4~7cm,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좁아져서 날개처럼 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다. 잎 뒷면과 중앙맥에 작은 비늘조각이 있고, 중앙맥은 양쪽으로 뛰어나오며, 측맥은 뚜렷하다. 포자낭군은 둥근 타원형, 지름 3~5mm, (1~)2~4줄로 달린다. 포막은 없다. 포자는 6~9월에 .. 2024. 3. 31.
제주산버들 (3.14) 제주산버들 겨울눈(3.14) 희귀멸종위기식물. 한라산 해발 1,200~1,600m 근처의 바위가 많은 계곡 상부의 도랑을 따라 드물게 자라는 높이 50cm 정도 자라는 낙엽 작은떨기나무이다. 다른 버드나무속 식물에 비해 키가 낮게 자 hyunsik.tistory.com '24.3.14/ 식재 2024. 3. 31.
시로미(3.14) 시로미 열매, 종자 시로미 (시로미과, 시로미속/7.27) [기재문] 학명은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Koch이며 종소명 nigrum는 '검은'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 고산지대의 정상부에서 자라는 상록 작은떨기나무(관목으)로 hyunsik.tistory.com 시로미 수꽃(3.14) 시로미 (시로미과, 시로미속/7.27) [기재문] 학명은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Koch이며 종소명 nigrum는 '검은'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 고산지대의 정상부에서 자라는 상록 작은떨기나무(관목으)로 hyunsik.tistory.com 시로미 (시로미과, 시로미속/7.27) [기재문] 학명은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K.. 2024. 3. 31.
중의무릇(3.14) '24.3.14 '24.3.13 2024. 3. 29.
뱀톱(3.14) 뱀톱 전초, 잎(3.13) [뱀톱속의 종 검색표] 1. 잎 사이에 무성아가 달리며 흙에서 자란다. 2.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3.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중앙에서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 잎의 hyunsik.tistory.com '24.3.14 2024. 3. 29.
노루귀 '24.3.14 2024. 3. 29.
유럽단추쑥(3.13) 유럽단추쑥 (국화과, 유럽단추쑥속/3.14) [기재문] 학명은 Cotula australis (Sieber ex Spreng.) Hook.f.이며 종소명 australis는 '남쪽의' 의미. 두상꽃차례의 모양이 단추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한해살이 외래식물. 높이는 3~30cm이며 밑에서 가지가 hyunsik.tistory.com 유럽단추쑥 열매(3.13) 양성꽃과 암꽃이 함께 달린다. - 양성꽃 : 흰색이고 중앙부에 달리며 열매 가장자리에 날개가 없다 - 암꽃 : 녹색을 띠고 주변부에 달리며 열매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유럽단추쑥 (국화과, 유 hyunsik.tistory.com '24.3.13 2024. 3. 28.
난쟁이아욱(3.13) [비교] 난쟁이아욱, 애기아욱, 둥근잎아욱 종명 생육 꽃과 꽃받침 엽병 열매와 꽃받침 난쟁이아욱 1년생~다년생 연한 분홍색이며 꽃잎이 꽃받침보다 2~3배 길다. 털이 있다. 12~15개 분과. 꽃받침은 열매를 다소 감싼다. 애기아욱 1년생 흰색이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길다 연모가 있다. 10개 분과. 꽃받침은 열매를 감싸기 않고 밖으로 젖혀진다. 둥근잎아욱 1년생 흰색이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거의 같거나 약간 길다 잎 근처에 털이 있다. 8~11개 분과. 꽃받침에 긴 털이 있고 열매를 감싼다. 1. 난쟁이아욱이 주로 보이며 애기아욱과 둥근잎아욱은 보기가 힘들다. 2. 애기아욱은 1년생이 아니고 2년생으로 보인다. [기재문] 학명은 Malva neglecta Wallr. 한해살이, 두해살이 및 여러해살이.. 2024. 3. 28.
갯대추나무 수피(갈매나무과, 3.14) [기재문] 학명은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이며 종소명 ramosissimus는 '가지가 많은'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이며 바닷가에 자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지질이고, 달걀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와 폭이 각 3.5 ~ 6cm × 2.5 ~ 4.5cm로, 아랫부분에 3개의 큰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고, 잎자루 길이는 3 ~ 8cm이며 어린나무에 턱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 취산꽃차례는 일년생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대는 짧고 갈백색 털이 밀생하며, 꽃은 연한 녹색으로 지름 5mm로 6월에 피고, 꽃부분은 5수성이다. 열매는 건과로 구형이며 지름 12 ~ 20mm로,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날개로 되고 백갈색 복모가 있으며 9 ~ 10월에 .. 2024. 3. 28.
밀사초(3.14) '24.3.14 2024. 3. 27.
수염이끼(처녀이끼속/3.13) [처녀이끼과 속 검색표] 1. 뿌리줄기는 갈색 털이 드물게 있으며, 포막은 2개의 판막으로 되어 있다. ----- 처녀이끼속 1. 뿌리줄기는 흑갈색 털이 빽빽이 붙으며, 포막은 컵모양이거나 깔때기 모양이다. 2. 포막은 반 정도만 열편 안으로 들어가 있다. ----- 괴불이끼속 2. 포막은 열편 안으로 거의 들어가 끝에서 두 갈래지거나 약간 파인다. ----- 누운괴불이끼속 속 명 뿌리줄기 지름 포막 위맥 처녀이끼속 0.2~0.3mm 2개의 판막 없음 괴불이끼속 0.4~0.6mm 컵모양 또는 깔대기 모양 있거나 없음 누운괴불이끼속 0.3~1mm 컵모양 없음 [처녀이끼속의 종 검색표] *공통사항 : 포막은 2개의 판막으로 되어 있고 포자낭군턱은 포막 안에 있다 1. 최종열편의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 2024. 3. 27.
후추등(3.12) '24.3.12. 2024. 3. 26.
나도물통이(3.12) '24.3.12 2024. 3. 26.
갯무 꽃(3.12) 갯무 신엽 갯무 열매(5.17) '21.5.17 hyunsik.tistory.com '24.3.12 hyunsik.tistory.com 갯무 열매, 종자(5.17) 갯무 꽃(3.12) '24.3.12 hyunsik.tistory.com '21.5.17 hyunsik.tistory.com '24.3.12 2024. 3. 26.
산쪽풀(3.4) 산쪽풀 열매 (대극과, 산쪽풀속) 학명은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꽃은 3~5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난 긴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수꽃이삭은 아래쪽에, 암꽃이삭은 위쪽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 익 hyunsik.tistory.com '24.3.14 / 제주도 2024. 3. 26.
변산바람꽃(3.14) '24.3.14 2024. 3. 26.
세복수초(3.14) '24.3.14 2024. 3. 26.
시로미 수꽃(3.14) 시로미 (시로미과, 시로미속/7.27) [기재문] 학명은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Koch이며 종소명 nigrum는 '검은'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 고산지대의 정상부에서 자라는 상록 작은떨기나무(관목으)로 키는 10~20cm이다. 줄기가 옆으로 뻗 hyunsik.tistory.com 시로미 열매(시로미과/7.27) '14.7.27 / 한라산 hyunsik.tistory.com '24.3.14 / 식재 2024. 3. 25.
갯질경 꽃(3.12) 갯질경 신엽(4.22) 갯질경(7.16) '23.7.16 hyunsik.tistory.com '19.4.22 hyunsik.tistory.com 갯질경 열매, 종자(10.23) '16.10.23 / 신안 hyunsik.tistory.com '24.3.12 2024. 3. 25.
뚜껑별꽃(3.12) 뚜껑별꽃 (앵초과, 뚜껑별꽃속/7.6) 전라남도와 제주도의 들판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오전에 개화하여 오후에 시든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달걀모양, 좁은 피침형이고 밑이 둥글며 잎 뒷면에 보라색 반점이 hyunsik.tistory.com '24.3.12 2024. 3. 25.
장딸기(3.14) 경생옆에 털이 없으면 '제주장딸기'라 하는데 장딸기로 통합됨. 장딸기(3.21) '23.3.21 hyunsik.tistory.com 장딸기(5.2) '15.5.2 / 군산 hyunsik.tistory.com 장딸기 열매, 종자(5.17) '23.5.17 hyunsik.tistory.com 장딸기 열매, 종자(5.26) '22.5.26 hyunsik.tistory.com 장딸기 열매(6.19) '15.6.19 / 군산 hyunsik.tistory.com '24.3.14 2024. 3. 24.
암대극(대극과, 대극속/3.12) [기재문] 학명은 Euphorbia jolkinii Boiss. 바닷가 암석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40~80cm,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빽빽하게 달린다. 잎몸은 끝이 둔하고 아래쪽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4~7cm, 폭 0.8~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위쪽에 돌려난 잎은 다른 잎보다 넓고 짧다. 꽃이 필 때 모인꽃싸개잎이 노란색을 띠고, 열매가 익을 때 붉은색으로 변한다. 꽃은 5월에 배상꽃차례로 피며,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6mm쯤으로 겉에 돌기가 많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자생한다. 전체가 대형이고 줄기 아래쪽이 목질화된다. 암대극(4.7) '22.4.7 hyunsik.tistory.com 암대극.. 2024. 3. 22.
세복수초 꽃 (3.13)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검색표] 1. 줄기는 불분지하고,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악편은 좌우대칭형으로 평균 8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 ----- 복수초 1. 줄기는 분지하고, 꽃과 잎이 함께 발달하고, 악편은 방사상칭형으로 평균 5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있다 . 2. 잎 이면과 엽병은 무모이고, 악편의 길이는 화피편의 길이보다 짧다. 3. 분지된 줄기에는 인엽이 없고, 엽선은 예두이다. ----- 개복수초 3. 분지된 줄기에는 인엽이 있고, 엽선은 점첨두이다. ----- 세복수초 [복수초속의 검색표] 1. 개화 시 잎보다 꽃이 먼저 나온다. 줄기는 분지하지 않으며,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 꽃은 1개이며, 꽃받침은 꽃잎보다 길고 8장이다. .. 2024. 3. 21.
벌깨냉이 (배추과/3.13) [기재문] 학명은 Cardamine glechomifolia H.Lev.이며 종소명 glechomifolia는 '벌꽃속 잎과 비슷한' 의미. 근생엽의 형태가 벌깨덩굴의 어린잎과 비슷하기 때문에 벌깨냉이라고 한다. 산지 숲속의 그늘져 축축한 곳에서 키 15~30cm쯤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전체에 짧은 털이 난다. 뿌리는 수염뿌리로 기는줄기의 마디나 덩이줄기의 표면에서 난다. 줄기는 땅 위를 기거나 곧추서며,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다. 뿌리잎의 잎몸은 단엽과 겹잎이 있으며, 겹잎은 3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되고, 가운데 끝의 작은잎이 가장 크며, 1쌍의 옆에 붙는 작은잎은 작다. 가운데 끝의 작은잎은 둥근 신장형으로 너비 2cm 정도이고,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2024.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