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다, 라107

도깨비부채(7.3, 범의귀과) [기재문] 학명은 Rodgersia podophylla A.Gray. 희귀멸종위기식물 잎은 손모양겹잎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5소엽으로서 큰 것은 지름 5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것은 1-4개의 소엽으로 된다. 소엽은 거꿀달걀모양이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길이 15-35cm, 폭 10-25cm로서 뒷면 맥위에 엽병의 윗부분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취산형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루며, 꽃차례는 길이 20-40cm이고 젓꼭지모양의 털이 있으며 가지끝이 처음에는 말려 있다. 꽃받침조각은 4-8개이고 길이 2-4mm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8-15개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암술대는 2개이다. 근경은 비대하고 옆으로 뻗는다.  도깨.. 2024. 11. 29.
덩이뿌리개별꽃(괴경이 구형) -> 덩굴개별꽃의 이명(4.12)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 논문에 따르면 덩굴개별꽃의 괴경은 방추형과 순무형인데, 순무형 중에서 끝이 뭉뚱한 것은 구형으로 보이는 변이가 관찰된다. 이를 덩이뿌리개별꽃으로 불렸으나 덩굴개별꽃 이명으로 처리함. 태백개별꽃 뿌리(4.12)괴경은 가는 방추형으로 3–56개가 달리며, 지상부 줄기는 1–43개로 괴경을 통해 이웃하여 연결되어 있다. 태백개별꽃 (석죽과, 개별꽃속/3.31) 큰개별꽃(화경과 꽃받침에 털이 없음)과 유사하지hyunsik.tistory.com 덩굴개별꽃 뿌리(4.12)굵은 방추형의 뿌리를 갖는다. (다화)개별꽃 뿌리(4.12) 뿌리는 긴 방추형 모양이다. 개별꽃(4.2) [개별꽃속의 검색표]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2024. 4. 18.
둥근빗살괴불주머니 꽃 (양비귀과, 둥근빗살괴불주머니속/3.12) 괴불주머니류 : 괴경과 지하경이 없다. 현호색류 : 괴경과 지하경이 있다. [기재문] 학명은 Fumaria officinalis L.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35cm, 가지를 많이 치고 옆으로 퍼지듯 자라는데 갈라진 가지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3회 깃꼴겹잎이다. 잎몸은 빗살처럼 깊게 갈라지는데 마지막 갈래조각은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꽃은 4~5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는데, 여러 개가 가지 끝에 모여 달려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부리의 주둥이 부분은 진한 홍자색을 띤다. 뒤쪽 꽃뿔은 짧고 뭉툭하다. 꽃받침조각은 2개, 톱니가 약간 있다. 꽃잎은 4개, 부분적으로 붙어서 통 모양을 이루는데 끝이 약간 벌어진다. 수술은 6개이고 3개씩 붙어 있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2024. 3. 20.
덧나무 꽃(인동과, 딱총나무속/3.12) [비교] 말오줌나무, 지렁쿠나무, 덧나무, 딱총나무 1. 털이 잎 양면에 있다. ----- 지렁쿠나무(강원도) 1. 털이 잎에 없다. 2. 잎의 거치가 안으로 굽는다. 3. 화서가 밑으로 처진다. 소엽은 10~15cm. ----- 말오줌나무(울릉도) 3. 화서가 밑으로 쳐지지 않는다. 소엽은 7~10cm. ----- 덧나무(제주도) 2. 잎의 거치가 안으로 굽지 않는다. ----- 딱총나무 [기재문] 학명은 Sambucus racemosa L. subsp. sieboldiana (Blume ex Miq.) H.Hara이며 종소명 racemosa는 '총상화서로 달린' 의미. 제주특별자치도 및 전라남도 해안가에 분포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2 ~ 4쌍이며(5~9장) 거꿀피침형이고 .. 2024. 3. 20.
땅두릅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 꽃자루 길이 등은 확인할 수 없어 화서의 분지가 1~2회로 보여 땅두릅으로 동정함 학명은 Aralia cordata Thunb. [비교] 독활, 땅두릅 독활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 땅두릅의 변종 - 꽃자루 길이 : 평균 6~7mm - 꽃차례 분지 횟수 : 3~4회 - 암술대 : 얕게 갈라짐 땅두릅 (Aralia cordata Thunb.) - 꽃자루 길이 : 6~12mm - 꽃차례 분지 횟수 : 1~2회 - 암술대 : 깊게 갈라짐 독활 열매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 두릅나무과 특징은 큰 잎은 겹잎으로 대개 어긋난다. 암술은 1개이고 꽃은 5갈래로 갈라졌으며 산형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장과이나 드물게는 씨 1개가 들어 있는 핵과.. 2024. 2. 14.
뚜껑별꽃 (앵초과, 뚜껑별꽃속/7.6) 전라남도와 제주도의 들판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오전에 개화하여 오후에 시든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달걀모양, 좁은 피침형이고 밑이 둥글며 잎 뒷면에 보라색 반점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보라색 또는 붉은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2-3cm로서 포가 없다. 꽃받침조각은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6mm로서 1맥이 있고 꽃부리는 지름 1~1.3cm로서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며 열편은 도란상 원형이고 가장자리는 잔털이 있다. 수술은 5개로서 꽃잎과 마주나기하며 수술대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지름 4mm로서 밑부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익으면 중앙부에서 옆으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리고 종자는 흑갈색이며 지름 1mm정도.. 2023. 7. 7.
다도해산들깨 (11.20 / 꿀풀과, 쥐깨풀속) 남부해안 남사면의 노출된 바위지대(비가 오면 고이는 곳)에 자생하는 특산식물.다도해산들깨는 가는잎산들깨와 유사하지만 줄기에 길고 퍼진 곧은 부드러운 털과 뒤로 젖혀지는 굽은 털이 함께 난다.(가는잎잎산들깨는 젖혀지는 굽은 털만 존재) 잎 양면에 선점이 있다. 다도해산들깨 (9.7 / 꿀풀과, 쥐깨풀속)다도해산들깨 (꿀풀과, 쥐깨풀속)남부해안 남사면의 노출된 바위지대(비가 오면 고이는 곳)에 자생하는 특산식물. 다도해산들깨는 가는잎산들깨와 유사하지만 줄기에 길고 퍼진 곧은 부드러운hyunsik.tistory.com'22.11.20 2022. 12. 1.
다북바위솔 (10.6) '22.10.6 2022. 11. 20.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둥굴레 검색표에 따르면 '잎 뒷면에 유두상 돌기가 있거나 털이 없고, 줄기에 뚜렷한 능각이 있고 수술대에 돌기가 있으며 꽃의 수는 2개 이상' 이라 하는데 이 둥굴레는 기재문과 동일한 형질을 보이긴 하나 꽃의 수는 1개이다. '22.5.1 2022. 8. 19.
대택사초 (6.16) 중북부 고산습지 근경이 길게 뻗으며 번식 정소수는 웅소수, 측소수는 자소수가 1~2개 달리며 과낭의 인편이 매우 길다. 수과의 결실률은 좋지 않다.. 유사종으로 포엽의 엽초가 뚜렷이 긴 실이삭사초가 있다. '22.6.16 2022. 6. 24.
당근 꽃(6.12) 학명은 Daucus carota subsp. sativa (Hoffm.) Arcang.이며 산당근의 아종이다. 산당근 산당근 열매 산당근 '23.6.22 hyunsik.tistory.com '23.8.2 hyunsik.tistory.com '23.6.22 hyunsik.tistory.com 당근 신엽(2.1) '20.2.1 hyunsik.tistory.com '18.6.12 2022. 4. 11.
다도해비비추 (8.7 / 백합과, 비비추속) [비비추속 검색표 1] 출처 : 한국산 비비추속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논문(2017년)1. 꽃은 10cm이상이며 향기가 있고 오후에 개화한다. ----- 옥잠화1. 꽃은 7cm이하이며 향기가 없고 오전에 개화한다.     2. 화경은 종주선이 있다.        3. 꽃은 두상형 총상화서로 모여 달린다. ----- 일월비비추        3. 꽃은 수상형 총상화서로 달린다.            4. 잎의 길이는 7.2~16.5cm, 너비는 4.0~11.0cm이고, 측맥은 5~9(~10)쌍이며,                엽저는 심장저, 얕은 심장저, 원저이다. ----- 좀비비추            4. 잎의 길이는 3.6~10.0cm, 너비는 1.0~6.2cm이고, 측맥은 4~5(~7)쌍이며,     .. 2022. 3. 25.
둥근네잎갈퀴 꽃, 열매, 뿌리(8.1) [비교] 네잎갈퀴, 둥근네잎갈퀴* 네잎갈퀴 : 잎맥은 1개. 분열과는 짧은 털이 있고, 잎은 둥근네잎갈퀴와 비슷하나 폭이 좀더 좁다.* 둥근네잎갈퀴 : 잎맥은 1개이나 줄기 아래에 있는 잎은 잎맥이 3개인 경우가 있다.                            분열과는 짧은 유두돌기가 있고 과경이 짧다. 둥근네잎갈퀴(6.5)[비교] 네잎갈퀴, 둥근네잎갈퀴* 네잎갈퀴 : 잎맥은 1개. 분열과는 짧은 털이 있고, 잎은 둥근네잎갈퀴와 비슷하나 폭이 좀더 좁다.* 둥근네잎갈퀴 : 잎맥은 1개이나 줄기 아래에 있는 잎은 잎맥이hyunsik.tistory.com'21.8.1 2021. 8. 11.
등심붓꽃 꽃(붓꽃과, 등심붓꽃속/5.18) [비교] 연등심붓꽃과 등심붓꽃 연등심붓꽃은 꽃이 연보라색이고 화관의 밑부분이 긴 항아리 모양이며 열매와 씨가 등심붓꽃보다 크다. [기재문] 학명은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잎은 밑부분에 많이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4~10cm, 폭 2~3mm이며 경생엽 밑부분은 엽초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양쪽 가장자리가 원줄기로 흐르며 윗부분은 뾰족하고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1.5cm정도이며 원줄기 끝에 달린 2-3cm길이의 포 사이에서 2-5개의 꽃이 나와 산형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3~4cm정도로서 밑에는 소포가 있다. 화피는 밑부분이 짧은 통같으며 겉에 백색 선모가 있고 열편은 5개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021. 7. 10.
닥풀 (8.19, 아욱과/무궁화속) [기재문]학명은 Hibiscus manihot L. 일년초. 재배식물.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엽신은 5-9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다.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중심부는 흑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엽상포이지만 위로 갈수록 포가 작아진다. 꽃밑에 있는 소포는 4-5개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과 더불어 나중에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며 복와상으로 겹쳐지고 많은 세로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흑자색이고 수술은 단체(單體)이며암술대는 5개로 갈라지고 흑자색이다.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5개의 둔한 능선과 더불어 굳센 털이 있고 종자는 원숭이의 머리와 같은 모양이다.높이 1-1.5m이고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 2021. 3. 27.
들하늘지기 (8.3) [비교] 들하늘지기, 진도하늘지기들하늘지기는 줄기 단면이 5−6개의 홈이 있는 원형이고, 화경이 짧으며(9−48 cm) 화기가 6−7월이고,건조한 초지에 자라며, 소수가 10개 미만 달리는 단순한 화서인 반면에,진도하늘지기는 줄기 단면이 얕은 홈이 있는 타원형이고, 화경이 길며(57−93 cm) 화기가 7−8월이고축축한 저지대 산지습지에 자라며, 20개 이상의 소수가 여러 번 갈라지는 복잡한 화서인 점에서 뚜렷이 구별된다.[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등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꽃은 양성화이다.     2. 소수의 소화는 성기게 달리며, 거의 양성화이다. ----- 골풀아재비속(Rhynch.. 2020. 8. 11.
당양지꽃 (장미꽃, 양지꽃속) 학명은 Potentilla rugulosa Kitag. 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으로 소엽은 3~9개이고 상부의 3소엽은 크기가 비슷하나 하부의 것은 소형이다. 소엽은 난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끝 또는 상부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작은포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달걀모양, 부악편은 꽃받침과 동형으로 약간 작고 꽃잎은 5개로 거꿀달걀모양이며 수술은 다수이다. 과실은 수과로 융털이 있다. 줄기는 홍자색 또는 홍갈색을 띠고 전체에 누운털이 있다. 바위에 자생하는 양지꽃속 중에는 당양지꽃, 돌양지꽃 및 참양지꽃이 있으며 그 차이는 아래와 같다. - 당양지꽃(Pot.. 2020. 4. 12.
등골나물아재비 (11.21, 등골나물아재비속) [기재문]한해살이풀. 학명은 Ageratum conyzoides L.잎은 마주나기 잎차례이며 윗부분에서 어긋나기 잎차례가 되기도 한다.잎몸은 달걀모양-긴타원모양, 길이 2-6㎝, 폭 1-4㎝, 끝이 둔두이며, 기부는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잎 가장자리는 끝이 둥근 거치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3㎝로 털이 있다.꽃은 7-10월에 피며, 머리모양꽃차례는 다수이며 백색 또는 담자색으로 편평꽃차례를 만든다.총포는 종형으로 총포조각은 이열(列)로 배열하며,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점첨두이고 동형(同形)이며, 3맥이 있고 거의 털이 없다.혀꽃은 없고, 통상화는 끝이 5열되고 암술머리는 깊게 이열되어 꽃부리 밖으로 초출된다.수과는 5각이 지며, 길이 2㎜, 흑색이고 관모는 5개, 까락 모양이다.식물 전체에 털.. 2019. 11. 28.
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19.9.20 / 경남 들깨 열매 보기 : 새들깨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49 털들깨 보기 : 2019. 10. 26.
논두렁사초 (9.27) '19.9.27 / 전남논두렁사초와 줄사초 비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70줄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870 2019. 10. 1.
들비노리 (8.9/그령속) [그령속의 종 검색표1]1.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16개 있다. ----- 좀새그령        3. 식물체는 크고, 소수에 소화가 10~40개 있다. ----- 참새그령1. 화서에 황색 선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2. 다년초이다. ----- 능수참새그령    2. 1년초이다.         3. 화서 가지짬에 긴 털이 있다. ----- 큰비노리        3. 화서 가지짬에 털이 없다.            4. 화서는 적자색이 강하고, 소수는 2mm 미만이다. ----- 각시그령            4. 화서는 암녹색이고, 소수는 2mm.. 2019. 8. 18.
대구사초 (5.24) '19.5.24 2019. 5. 27.
대동여뀌 (6.6) [특징]1. 잎은 넓은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2. 잎 앞면과 뒷면 맥에 털이 있다.3. 화서 길이는 1.5~2cm로 짧은 편이다.4. 엽초에 털은 다소 성글게 나 있다.5. 기는 근경이 있다.[기재문]학명은 Persicaria koreensis (Nakai) Nakai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3-8cm, 폭 5-10mm로서 양끝이 좁으며 표면이 밋밋하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없다. 엽초모양의 탁엽은 길이 5-12mm로서 짧은 복모와 연모(緣毛)가 있고 마르면 녹색이 된다.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이삭꽃차례는 길이 1.5-2cm로서 꽃이 밀착하며 화피는 꽃은 2mm정도이며 백색~적자색이고 5장이다. 수술은 7~8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 2018. 11. 8.
덤불쑥 (5.23) 덤불쑥 : 유사종에 비해 잎이 매우 크며 변위의 폭도 크다. 중앙부의 잎에 가탁엽이 있다. 주로 중부지방 이북의 길가나 풀밭 및 숲 가장자리산쑥 : 중앙부의 잎에 가탁엽이 없다. 울릉도, 독도의 길가나 농경지, 해안가 및 숲 가장자리참쑥 : 중부지방 이북. 잎은 가탁엽이 있고 표면에 백색 선점이 있다.                             '17.5.23 / 정선 2018. 11. 4.
둥근오리방풀 (오리방풀로 통합됨) 오리방풀와 달리 잎끝이 뾰족하게 나오지 않는다. '17.10.3 / 정읍 오리방풀 보기 : 흰오리방풀 보기 : 지리오리방풀 보기 : 2018. 7. 16.
단삼 (Salvia miltiorrhiza Bunge) '18.6.6 / 경남 약재로 재배한다. 2018. 6. 30.
돌동부 (Vigna vexillata var. tsusimensis Matsum.) '17.9.10 / 영광 [특징] 용골판이 꼬부라지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열매, 잎, 줄기, 꽃받침) 잎에 옅은 무늬가 있다. 돌동부 열매 보기 : 돌동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371 동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972 http://blog.daum.net/watcher/8768344 2017. 9. 21.
덩굴팥 (Vigna umbellata (Thunb.) Ohwi & Ohashi) 좀돌팥으로 보여 재검토 필요 '17.8.28 / 전주 새팥 보기 : 좀돌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283 2017. 9. 8.
단풍잎복분자 '17.5.9 / 태안 2017. 6. 5.
덕산풀 (Scleria rugosa var. onoei (Franch & Sav.) Yonek. '16.10.23 가시개올미에 비해 전초에 잔털이 없다. 가시개올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755 무등풀 보기 : 애기덕산풀 보기 : 구실개올미 보기 : 2017.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