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019

칠엽수 유목(4.26) 도시 한복판에 왠 산삼이??? 라고 잠시 생각했었다. 칠엽수 꽃(칠엽수과/4.26)국내에서 칠엽수를 '마로니에'라고도 부르는데, 마로니에는 유럽에 분포하는 칠엽수속 식물을 칭하는 프랑스어로 칠엽수와 구분하여 서양칠엽수, 가시칠엽수라고도 부른다. 칠엽수 열매는 구hyunsik.tistory.com 칠엽수 열매, 종자(8.5)칠엽수(칠엽수과/4.26)국내에서 칠엽수를 '마로니에'라고도 부르는데, 마로니에는 유럽에 분포하는 칠엽수속 식물을 칭하는 프랑스어로 칠엽수와 구분하여 서양칠엽수, 가시칠엽수라고도 부른hyunsik.tistory.com 2025. 2. 17.
통영볼레나무 품종(4.26) 대구 시내 중심가 야산에서 본 나무인데 일제시대에 이 곳이 나무 묘종을 판매했던 장소였다 한다.줄기가 가시가 있고 잎 뒷면의 인편 색으로 보아 통영볼레나무와 매우 유사하지만 보리밥나무 잎처럼 생긴 개체도 있어 통영볼레나무 품종이 아닐까 싶다.이와 달리 통영시 운전 연습장 화단에 통영볼레나무가 몇 그루 심어져 있는 거 봤고, 거제시의 호텔 울타리용으로 심어져 있는 것 봐서는 통영볼레나무는 재배식물이라는 것에 마음이 쏠리지만, 한편으로는 통영 미륵산 능선에는 수령이 오래된 통영볼레나무가 몇개체 보이며 다른 도시에는 통영볼레나무에 대한 발견 보고가 없어 통영의 특산식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24. 4.26. / 대구 2025. 2. 16.
센달나무 겨울눈(2.16, 녹나무과) * 겨울눈 인편은 적갈색이며 원두이다.* 잎은 육박나무와 유사하나 센달나무 잎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암수한그루.  - 녹나무과의 암수딴그루 : 참식나무, 새덕이, 까마귀쪽나무, 육박나무, 비목나무, 감태나무, 털조장나무, 생강나무이며                                             이 중 참식나무, 육박나무, 까마귀쪽나무 열매는 이듬해 익는다.  - 녹나무과의 암수한그루 : 녹나무, 생달나무, 센달나무, 후박나무 센달나무, 겨울눈, 수피(3.14)* 잎은 육박나무와 유사하나 센달나무 잎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암수한그루.  - 녹나무과의 암수딴그루 : 참식나무, 새덕이, 까마귀쪽나무, 육박나무, 비목나무, 감태나무, 털조장나무, 생hyunsik.tistory.com.. 2025. 2. 16.
로젯사철란 신엽(8.11) [사철란속 종 검색표 1] 출처 : 한국의 난과식물 도감(이남숙 지음)1. 꽃차례가 짧고 꽃이 여러 방향을 향해 핀다.    2. 잎은 그물맥이 뚜렷하며, 꽃은 길이 2.5~3cm이다. ----- 붉은사철란    2. 잎은 평행맥에 가까우며, 꽃은 2cm이내이다. ----- 섬사철란1. 꽃차례가 길고 꽃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핀다.    2. 입술꽃잎 밑부분의 안쪽에는 털이 없고 육상체 또는 능선이 있다.         3. 뿌리에서 나는 잎 3~6개가 줄기 밑에 나며, 입술꽃잎은 난상 타원형이고,              곁꽃받침은 난상 타원형, 뒷면 전체에 털이 많으며 암술머리부리는 1mm 이하이다. ----- 애기사철란         3. 뿌리에서 나는 잎 4~8개가 방사상으로 땅 표면 가까이 나며.. 2025. 2. 12.
백운산원추리(8.3, 8.11)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흔히 보이는 것은 백운산원추리이다.*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주변 만주 - 골잎원추리 :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각시원추리 : 북부 고산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 큰원추리 : 중북부의 고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노랑원추리 : 서남 해안가 저지대 - 태안원추리 : 안면도 해안 주변의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홍도원추리(한국특산) : 홍도, 가거도, 흑산도 - 백운산원추리(한국특산) : 중남부 저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재배종(2종) - .. 2025. 2. 12.
쓴풀 꽃(10.2, 용담과) 용담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꽃은 4장 또는 5장의 꽃잎으로 된 통꽃이다. 열매는 삭과.[비교] 쓴풀, 자주쓴풀, 개쓴풀종 명(학명)쓴풀(S. japonica )자주쓴풀(S. pseudochinensis H.Hara)개쓴풀(S. diluta var. tosaensis)공통두해살이풀이며 꽃잎 아래에 긴 털로 덮힌 꿀샘덩이가 있다.자생환경햇볕이 잘 드는 건조한 풀밭햇볕이 잘 드는 산지 숲 저지대 습지줄기5~25cm로 가장 작다.15~30cm20~70cm로 가장 크다잎길이 1~3.5cm, 폭 1~3mm의선형 또는 선상 긴 타원형길이 2~4cm, 폭 3~8mm의 피침형 또는 선상 침형길이 2~5cm, 폭 4~10mm의긴 타원상 피침형~도피침상주걱형꿀샘덩이의 털길다 길다.가장 길다꽃 색흰색보라색 백색이며 자주색 .. 2025. 2. 12.
가는잎한련초 종자(10.3) 혀꽃의 종자는 세모지고 통꽃의 종자는 네모지며 관모는 짧은 왕관모양이다.[비교] 한련초, 가는잎한련초종명한련초(Eclipta thermalis Bunge)가는잎한련초(Eclipta alba (L.) Hassk.)종자 크기길이 2.3~2.8mm, 폭 1~1.5mm 길이 2.2~2.4mm, 폭 0.8~1.3mm   총포편 모양넓은 피침형피침형 한련초, 가는잎한련초 비교혀꽃의 종자는 세모지고 통꽃의 종자는 네모지며 관모는 짧은 왕관모양이다.[비교] 한련초, 가는잎한련초종명 한련초(Eclipta thermalis Bunge) 가는잎한련초(Eclipta alba (L.) Hassk.) 종자 크기 길이 2.3~2.8mhyunsik.tistory.com'24.10.3. 2025. 2. 12.
참쑥???(5.31) [참쑥 기재문]학명은 Artemisia codonocephala Diels 잎은 어긋나기하고 중부의 잎은 2.5~3cm의 엽병을 포함하여 길이 11~14cm, 나비 8cm이며 2회우상으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의 나비 5~7mm이며 표면에 거미줄 같은 털과 많은 흰점이 있고 뒷면은 회백색으로 면모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져 선형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연한 갈색으로 피고 좁은 원뿔모양꽃차례로 잎과 같이 달리며 머리모양꽃차례는 구상 종형으로 나비 3mm이다. 총포는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하고 포편은 3~4열로 배열하며 외편은 달걀모양으로 끝은 뾰족하고 길이 1.8~2.5mm이다. 줄기는 곧추 서고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희다. '24.5.31. 2025. 2. 12.
동의나물 잎(5.31, 동의나물속) '24.5.31. 2025. 2. 12.
가는잎음나무 추정(5.31) 가는잎음나무는 음나무의 변종으로 생식지 잎이 전체의 3/4까지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좁아 구분되지만 그렇지 않는 잎이 있과 혼생하고 있어 가는잎음나무로 보기에도 애매하다.  음나무 잎 변이(8.3)음나무속에는 음나무와 가는잎음나무(털음나무는 이명) 2종이 있다.이중 가는잎음나무는 음나무에 비해 생식지 잎이 전체의 3/4까지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좁아 구분된다.아래의 사진에서 좌측hyunsik.tistory.com'24.5.31. / 영월 2025. 2. 12.
염주괴불주머니 잎(10.3) '24.10.3. 2025. 2. 12.
버들겨이삭여뀌 열매, 종자(10.18) [비교] 만주겨이삭여뀌, 버들겨이삭여뀌, 겨이삭여뀌- 버들겨이삭여뀌에 대한 기재문은 국생종에 없어 풀베개 기재문을 참조했지만- 생태와 줄기 등에 대한 기재내용이 제가 본 식물체와 달라 신뢰성이 없어 보인다.종명만주겨이삭여뀌버들겨이삭여뀌(만주겨이삭여뀌의 변종)겨이삭여뀌(한라산 습지에 분포)생태한해살이풀여러해살이풀?한해살이풀분포북부지방경기도 수원 근처한라산 습지잎길이 2-5cm, 폭 2-8mm길이 2-5cm, 폭 2-8mm길이 2-5cm, 폭 3-7mm화서  원줄기 끝에 달린다.  화서는 곧추서는 편이다.  화서 줄기에 털이 없다.  원줄기 끝과 엽액에 달린다.  화서는 숙이는 편이다.  화서 줄기에 털이 없다.  원줄기 끝과 엽액에 달린다.  화서는 곧추서는 편이다.  화서 줄기에 털이 밀생한다.열매  양.. 2025. 2. 12.
미꾸리낚시 열매, 종자(10.18) [비교] 긴/넓은잎/좁은잎/나도/털/미꾸리낚시(참고 : 한국의 들꽃)종명긴미꾸리낚시넓은잎미꾸리낚시좁은잎미꾸리낚시미꾸리낚시자생지  강원, 경기 경남의  습지에 드물게 분포  전국의 습지  전남 및 제주의 습지  전국의 길가, 하천가,  계곡 등 습지꽃  머리모양의 이삭꽃차례.  수술 7~8개, 암술대3개  머리모양의 이삭꽃차례.  수술 6-8개, 암술대 3개  짧은 이삭꽃차례에  성기게 달리며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수술 4~5개, 암술대 3개  머리모양의 이삭꽃차례  수술 8개, 암술대 1개꽃줄기  샘털이 많다  샘털이 많다  자루에 긴 샘털이 있다  샘털이 없고 아래쪽에  가시가 있다.줄기  능각을 따라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네모지고 갈고리  같은 작은 가시가 있다.  네모지고 갈고리같은  .. 2025. 2. 12.
겨풀 열매, 종자(10.16)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없다).  -----  줄속, 벼속, 겨풀속  .. 2025. 2. 11.
사위질빵 종자(11.21) [비교] 사위질빵, 좀사위질빵- 사위질빵 : 잎은 3출엽 또는 간혹 2회 3출엽, 열매에 털이 있다. 암술대 길이는 10mm 정도. 결실율이 매우 좋다.- 좀사위질빵 : 2회 3출엽, 열매에 털이 없다 하는데 털이 있다. 암술대 길이는 15~30mm 정도. 결실율이 나쁘다.[비교] 사위질빵, 작은사위질빵- 사위질빵 : 잎은 3출엽 또는 간혹 2회 3출엽, 꽃은 꽃줄기에서 5~10여개씩 핀다. 산야에서 자란다.- 작은사위질빵 : 2회 3출엽, 꽃은 꽃줄기에서 1~3개씩 핀다. 바닷가 산지에서 자란다. 사위질빵 꽃(8.25, 미나리아재비과)[비교] 사위질빵, 좀사위질빵- 사위질빵 : 잎은 3출엽 또는 간혹 2회 3출엽, 열매에 털이 있다. 암술대 길이는 10mm 정도. 결실율이 매우 좋다.- 좀사위질빵 : .. 2025. 2. 11.
바위족제비고사리(10.24) [비교] 산족제비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바위족제비고사리종명산족제비고사리(D. bissetiana (Baker) C.Chr.)광릉족제비고사리(D. saxifragi-varia Nakai)바위족제비고사리(D. saxifraga H.Itô)잎몸2~3회 우상. 길이 15~50cm,너비 10~33cm. 2~3회 우상. 곧게 선다. 길이 20~50cm.2회 우상. 아래로 처진다.길이 15~30cm, 너비 10~15cm.엽병의인편갈색이거나 흑갈색. 선형 또는피침형이며, 두 종에 비해 인편은 매우 길고 위를 향해 기울어져 붙는다.갈색이고 선형 또는 넓은 선형.엽병에 직각으로 붙고 인편의 기부가 위를 향하다 아래로 굽는다.갈색이거나 연한 갈색. 선형 또는 넓은 선형. 상부에서는 엽병에 직각으로 붙고 아래로 굽는다.자.. 2025. 2. 11.
명자순 겨울눈(10.24) 겨울눈이 흰빛을 띤다. 명자순, 수피(5.9)[기재문]학명은 Ribes maximowiczianum Kom.심산 지역에서 높이는 1m 안팎으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가지에는 털이 없다.잎은 삼각상 원형이고 3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겹톱니가 있다. 잎 길hyunsik.tistory.com 명자순 수꽃, 신엽(4.23)[기재문]학명은 Ribes maximowiczianum Kom. 심산 지역에서 높이는 1m 안팎으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가지에는 털이 없다. 잎은 삼각상 원형이고 3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겹톱니가 있다. 잎 길hyunsik.tistory.com 명자순 잎, 열매(6.17, 7.3)비교] 까치밥나무, 꼬리까치밥나무, 명자순종명까치밥나무꼬리까치밥나무명자순꽃양성화이며 꽃차례는 아.. 2025. 2. 10.
나래새 열매, 종자(10.24) 참나래새와 제주나래새는 학명과 속명이 수정됨('23.7.12)[벼과 속 검색표] * 암수꽃이 따로 피고, 총포엽이 있는 옥수수속, 율무속, 대청가시풀속은 제외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수크령속, 잔디속, 밀속, 호밀속 등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모새달속, 나도개피속, 우산잔디속, 억새속 등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 강아지풀속, 뚝새풀속, 보리속 등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2025. 2. 10.
가는장구채 열매(10.24, 석죽과, 장구채속) 가는장구채 신엽(4.12)[특징]잎은 마주나고 엽병이 있으며 엽연에 잔털이 있다. 가는장구채 신엽(5.10)[특징] 잎은 마주나고 엽병이 있으며 엽연에 잔털이 있다.  가는장구채 신엽(4.12)잎은 마주나고 엽병이 있으며 엽hyunsik.tistory.com 가는장구채 열매, 종자(8.7)가는장구채 신엽(4.12)잎은 마주나고 엽병이 있으며 엽연에 잔털이 있다. 가는장구채 열매, 종자(8.7) '22.8.7 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22.8.7.hyunsik.tistory.com'24.10.24. 2025. 2. 10.
덤불조팝나무 겨울눈(10.24) [조팝나무속 특징]1. 꽃잎은 5장이고 암술대는 5갈래로 갈라진다.2. 잎은 어긋난다.3. 열매는 씨방이 5개로 복봉선(배봉선)이 터지는 골돌과이고 암술대의 흔적이 남는다.[비교] 참조팝나무, 덤불조팝나무, 좀조팝나무종명꽃 크기잎 가장자리줄기화경열매참조팝나무10mm털이 없다. 뒤로 말린다털이 없고 능선이 뚜렷무모복봉선에만 털덤불조팝나무4~6mm털이 있다 . 말리지 않는다털이 많고 능선이 둔함유모전체에 털이 있다좀조팝나무5mm털이 없다. 말리지 않는다털이 없고 능선이 둔함무모전체에 털이 없다1. 꽃잎색은 공히 2가지 색이 있으며 고지대에선 연한적색, 낮은 지대에선 흰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2. 화서는 모두 겹산방꽃차례이고, 덤불조팝나무와 유사한 인가목조팝나무는 산방 또는 산형꽃차례이다.3. 참조팝나무는 전.. 2025. 2. 10.
산층층이, 잎, 열매, 종자(10.20) [비교] 산층층이, 탑꽃, 애기탑꽃종명산층층이(C. multicaule var. shibetchense)탑꽃(C. multicaule )애기탑꽃(C. gracile )줄기 높이15~40cm.10~30cm15~30cm잎 크기길이 2~4cm, 폭 10~25mm길이 2~5cm,폭 10~20mm길이 1~3cm,폭 8~20mm잎의 털양면에 가는 털.윗면에 털이 산생양면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잎 뒷면의 선점없음뚜렷하지 않음 없음꽃 색, 꽃부리백색 또는 담홍색,길이 8~12mm  백색, 길이 8~9mm연한 홍색, 길이 5~6mm꽃받침 길이 6-8mm.짧은 샘털이 있다.길이 6mm. 맥 위에 보통짧은 털과 퍼진 털이 있다길이 3.5-4mm.맥위에 짧은 털이 있다.소포 길이꽃자루보다 길다.꽃자루보다 짧다.꽃자루보다 매.. 2025. 2. 10.
께묵 열매, 종자(10.18, 께묵속) [비교] 께묵, 좀께묵종명께묵(H. maximowiczii Kitam.)좀께묵(H. maximowiczii Kitam. var. fauriei)생태 습지, 도랑,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산지습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총포넓은 선형으로 길이 13mm. 외편 길이 2~4mm, 내편 길이 4~6mm넓은 종형으로 길이 10mm.외편 길이 1.5mm, 내편 길이 2mm[기재문] 습지, 도랑,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40cm, 폭 5-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길이 7-14cm, 나비.. 2025. 2. 10.
칡 꽃(8.3) 2025. 2. 9.
선백미꽃 열매(7.31) [비교] 백미꽃, 선백미꽃종명백미꽃(Cynanchum atratum Bunge)선백미꽃(Cynanchum inamoenum)잎잎이 두텁고 잎 양면에 흰 털이 많이 남털이 있음꽃지름 1.4~1.8cm 흑자색 또는 녹색지름 7mm 연한 황색 또는 자주색열매 길이 7-8cm, 지름 15mm로서 잔털이 밀생길이 4-5cm, 지름 5mm로서 털이 없음 백미꽃 (7.27)[비교] 백미꽃, 선백미꽃종명백미꽃(Cynanchum atratum Bunge)선백미꽃(Cynanchum inamoenum)잎잎이 두텁고 잎 양면에 흰 털이 많이 남털이 있음꽃지름 1.4~1.8cm 흑자색 또는 녹색지름 7mm 연한 황색 또는 자hyunsik.tistory.com 선백미꽃(협죽도과/5.22)[비교] 백미꽃, 선백미꽃종명백미꽃(Cyn.. 2025. 2. 9.
새끼꿩의비름 신엽(7.31) '24.7.31. 2025. 2. 9.
백두사초(6.17) [사초속의 아속 검색표]* 사초아속 :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괭이사초아속 : 소수는 수가 많으며, 모두 양성, 무병, 화서에 수상으로 조밀하게 배열되며, 전엽이 없다.[사초아속의 절 검색표]1. 소수는 1개이고, 정생한다. ----- 산바늘사초절, 바늘사초절, 뿌리대사초절1. 소수는 2개에서 다수이고, 1개 또는 여러 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하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2. 과포는 렌즈형이고,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 줄사초절, 왕비늘사초절, 산뚝사초절 등     2. 과포는 삼릉형이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3. 과포는 부리가 거의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고, 구부는 평두 또는 짧.. 2025. 2. 9.
산장대(7.30) [비교] 산장대, 묏장대* 묏장대 : 포복경이 없고 장각과의 길이는 3 - 4cm이며 종자에는 날개가 없다(전국에 분포한다 하나 실체 불분명).* 산장대 : 포복경이 있으며 장각과의 길이는 1 - 2cm이고 종자에는 날개가 있다.[기재문]깊은 산의 습하고 그늘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가늘고 곧게 자라거나 다소 비스듬히 자라며높이 10~30cm, 털이 있거나 없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몸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2~3cm, 폭 8~15mm,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이 핀 다음에 줄기가 스러지면, 땅에 닿는잎겨드랑이에서 새싹이 난다. 꽃받침잎은 타원형, 꽃잎은 도란형으로 길.. 2025. 2. 9.
미국미역취, 지하경(5.29) [비교] 양미역취, 미국미역취종 명개화시기설상화줄기잎양미역취9~10월 개화  설상화의 화주(암술대)는  통부 밖으로 길게 초출된다.  줄기는 연모가 밀생하거나  길고 거친 털이 있다.  잎 상부에 약간의  낮은 거치가 발달미국미역취7~8월 개화  설상화의 화주(암술대)는  짧게 통부 밖으로 나온다  줄기는 털이 거의 없거나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잎 상부에 뚜렷한  거치가 발달[기재문]학명은 olidago serotina Aiton잎은 어긋나기하고 촘촘히 달리며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거나극히 짧은 엽병이 있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5~13cm, 폭 1~2cm로서 중앙 이상에 젖혀진 톱니가 있으며 중앙 이하는밋밋하고 양면과 가장자리, 특히 뒷면 맥 위.. 2025. 2. 6.
아그배나무(5.29, 사과나무속) [기재문]학명은 Malus toringo (Siebold) Siebold ex de Vriese전국에 분포.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3 ~ 6cm × 3 ~ 5cm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털이 있고 잎자루에도 털이 있으며 길이는 1 ~ 4cm이다. 새가지의 잎은 흔히 잎몸이 3~5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꽃은 5월에 피고 지름 3cm로 연한 홍색이지만 점차 백색으로 변하고 우산모양꽃차례에 4 ~ 5개씩 달리며,작은 꽃대는 길이 1.5 ~ 4cm이고 꽃잎은 타원상 또는 달걀꼴이고 길이 17 ~ 18mm로 밑부분이 짧게 뾰족하다.열매는 둥글며 지름 4 ~ 6mm로 홍색 또는 황홍색이고, 종자는 타원형이며 길이 4mm로 9 ~ 10월에 성숙한다.[유사종과 비교]꽃아그배나무(.. 2025. 2. 6.
네잎갈퀴나물 꽃, 열매(10.20) [비교] 네잎갈퀴나물, 연리갈퀴, 광릉갈퀴 종명네잎갈퀴나물 (Vicia nipponica)연리갈퀴(Vicia venosa)광릉갈퀴(Vicia venosa var. cuspidat)소엽 갯수2~3(~4)쌍2~6쌍3~7쌍소엽 크기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길이 2.5~5cm, 폭 1.5~3.0cm.뒷면의 소맥이 현저하게 두드러짐.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길이 2~7cm, 폭 2~6mm.좁은 난형.길이 2.8~6.5cm, 폭 0.7~2.4cm주1. 큰네잎갈퀴는 나비나물과 유사하지만 소엽은 2쌍이고 설악산에 분포한다.주2. 연리갈퀴의 국내 분포여부는 불투명하다. 광릉갈퀴(7.11)[비교] 네잎갈퀴나물, 연리갈퀴, 광릉갈퀴 종명네잎갈퀴나물 (Vicia nipponica)연리갈퀴(Vicia venosa)광릉.. 2025.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