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155

나도바랭이(9.12) '22.9.12 2022. 12. 20.
좀들묵새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들묵새속)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4. 26.
선나도개피(9.3, Eriochloa contracta) 선나도개피(7.27, 나도개피속, Eriochloa contracta)'22.7.27hyunsik.tistory.com 선나도개피 열매, 종자(9.3)나도개피 열매(7.14)'22.7.14hyunsik.tistory.com'21.9.3hyunsik.tistory.com'21.9.3 2021. 9. 6.
좀새그령 (그령속, 7.4) [특징]1. 환상선(環狀腺)이 발달함 : 소화경 줄기, 줄기 마디 아래2. 선점이 있다 : 잎 가장자리, 포영 및 호영의 용골3. 엽설은 막질이 없고 털이 있다.[비교] 참새그령, 좀새그령종명참새그령좀새그령개화 시기  좀새그령보다 늦다  참새그령보다 빠르다화서 모양  소수의 자루가 짧아서 화서 전체가  소수로 꽉 찬 것처럼 보인다.   소수의 자루는 참새그령보다 길어서 화서  전체가 성기게 보인다. 포영, 호영 용골의 선점  좀새그령보다 크다 많다  참새그령보다 작고 적다소수 크기  길이 5~20mm,  폭 2~3mm  길이 3~8mm, 폭 1.5~2mm 소화 개수  10~40개  3~16개1, 2포영의 크기  비슷하다  제1포영은 약 1.6 mm, 제2포영은 약 1.8 mm.엽설의 털  줄지어 있다  .. 2021. 7. 20.
넓은김의털 (6.9) 엽초부는 무모이며 엽설 가장자리에 가는 털이 있다.화서의 가지는 마디에서 1개이고 소수는 4~6개가 달리며드물게 가지가 2개가 달리는 경우 짧은 가지에 소수가 1~3개가 달린다.[김의털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벼과(2011년)1. 1년생으로 근경이 없다.    2. 호영은 긴 털이 없다. ----- 들묵색(들묵새속으로 변경)    2. 호영은 위쪽에 긴 털이 있다. ----- 큰묵새(들묵새속으로 변경)1. 다년생으로 근경이 있다.    3. 잎 폭이 0.5~3.0mm로 가늘다.         4. 잎은 아래쪽의 폭이 좁은 잎과 위쪽의 폭이 넓은 잎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사방김의털         4. 잎은 폭이 3mm이하로 같은 모양의 잎을 갖는다.             .. 2021. 4. 23.
애기겨이삭 (7.4) [기재문]학명은 Agrostis stolonifera L.이며 종소명 stolonifera는 '포복지가 있는' 의미.다년초. 하천주변, 저수지 가장자리 등 교란된 지역의 축축한 지역. 귀화종원추화서는 길이 10-20㎝로 밀착하고 폭 2-5㎝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2-2.5㎜이다.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1맥이다. 맥 위가 꺼칠꺼칠하다. 결실성 외영은 길이 2㎜로 까락이 없고, 밑부분의 캘러스에 미세한 털이 있다. 내영은 외영 길이의 1/3 이고 2맥이다. 꽃밥은 길이 1.2㎜이다.줄기는 포기져 자란다. 반지상성의 지하경이 있는데 가늘고 꽃이 진 뒤에 넓게 퍼진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기부 마디가 적어지면서 곧추서고, 기부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 2021. 3. 1.
섬조릿대 (조릿대속/10.17) [기재문] 학명은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이며 울릉도에 분포한다. 산 중턱, 숲의 길가에서 자라는 목본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길게 뻗고, 줄기는 곧게 서고, 원줄기의 높이는 1m 정도이다. 가지는 잘 갈라지지 않고, 마디에 달린 잎집 모양의 포는 떨어지지 않는다. 초상엽은 녹색이지만 점차 회백색으로 되며 포편은 젖혀지고 위로 갈수록 커진다. 잎은 2-7개씩 달리며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7-20cm, 폭 1.5-5cm로서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중맥 기부에 털이 있다. 엽초는 잔털이 있으며 견모(肩毛)가 2-3개 있는 것이 있다. 꽃은 3-4년생의 줄기옆에서 나오는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소수는 3-5개의.. 2020. 11. 20.
좀들묵새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6. 17.
좀보리풀 (5.14) 엽초는 줄기의 마디 사이 길이보다 짧고 털이 없고 등이 둥글다. 엽이(葉耳)는 거의 없고 엽설은 백색 막질로 높이 0.3-0.5㎜이다. 잎새는 길이 3-6㎝, 나비 2-5㎜이다.꽃은 5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3-5㎝, 소수가 밀집되고 곧게 선다. 소수는 각 마디에 3개씩 붙어 있으며 중앙의 것은 자루가 없고 양성화(임성)이고 옆에 있는 2개의 소수는 자루가 있고 불임성이며, 모두 1소화와 2개의 포영이 있다. 양성화는 포영이 피침형으로 끝에 까락이 있어 길이 1.2㎝이고 호영은 난상 피침형이며 5맥이 있고 길이 6-7㎜로 같은 길이의 까락이 있다. 불임성 소수는 제1포영이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같은 길이의 까락이 있으며 제 2포영은 기부로부터 까락으로 되고 호영은 난상 피침형으로 까락이 없다.줄기는 여.. 2020. 5. 28.
보리풀 (5.25) 엽초는 잎새보다 길며, 엽초 구부에 뾰족한 엽이가 뚜렷이 있고, 잎새는 길이 8-13㎝, 폭 5-8㎜, 털이 없다. 엽설은 높이 1-1.3㎜로 백색의 막질이다.꽃은 5-7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소수가 밀집되었고 길이 5-9㎝, 납작하며 기부는 가장 위쪽의 엽초에 싸여 있다. 소수는 1개의 소화로 이루어지며, 한곳에서 중앙에 자루가 없는 양성소수(임성)와 좌우에 짧은 자루가 있는 웅성소수(불임성)가 있어 3개씩 뭉쳐난다. 양성소수는 임성으로 포영은 선상 피침형으로 3맥, 끝에 긴 까끄라기가 있고 호영은 넓은 피침형, 끝에 2-3.5㎝의 까끄라기가 있다. 웅성소수는 불임성이다.줄기는 다수가 뭉쳐나며 높이 15-50㎝, 털이 없다. '20.5.25 / 전북좀보리풀 보기 : blog.daum.net/watche.. 2020. 5. 28.
애기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macrophyllus (Honda) Ohwi) '19.8.23 / 경남 애기주름조개풀 더보기 : 2019. 8. 27.
들비노리 (8.9/그령속) [그령속의 종 검색표1]1.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16개 있다. ----- 좀새그령        3. 식물체는 크고, 소수에 소화가 10~40개 있다. ----- 참새그령1. 화서에 황색 선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2. 다년초이다. ----- 능수참새그령    2. 1년초이다.         3. 화서 가지짬에 긴 털이 있다. ----- 큰비노리        3. 화서 가지짬에 털이 없다.            4. 화서는 적자색이 강하고, 소수는 2mm 미만이다. ----- 각시그령            4. 화서는 암녹색이고, 소수는 2mm.. 2019. 8. 18.
흰줄갈풀 (6.30) 갈풀의 변종 갈풀(5.9)'17.5.9 / 전주hyunsik.tistory.com 흰줄갈풀(5.30)갈풀의 변종'20.5.30hyunsik.tistory.com                   '19.6.30 / 경남 2019. 8. 1.
유럽뚝새풀 (6.30)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산조아재비속 : 소수는 1개의 소화가 있다. 포영은 기부가 붙지 않으며 중앙맥 부위가 용골을 만들고                         .. 2019. 7. 13.
여름개밀 (7.2) 학명은 Elymus shandongensis B. Salomon중국의 중남부에 넓게 분포(중국 고유종)봄철에 개화하는 개밀과 속털개밀에 비해 여름철(7~8월)에 꽃이 피는 것과 작은이삭(소수)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19.7.2 / 경남개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915 2019. 7. 11.
방울새풀 (Briza minor L.) '19.5.28 / 경남 방울새풀 더보기 : 2019. 5. 30.
넓은잎물억새 (10.5) [잎 너비 비교]- 넓은잎물억새 : 3~5cm- 물억새 : 1~3cm- 가는잎물억새 : 0.5~1cm[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여난다.짧은 지하경이 있어 줄기는 모여나는 편이다.  가는잎물억새 (9.25)[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여난다.짧은 지하경이 있어 줄기는hyunsik.tistory.com 물억새(10.4)[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 2018. 10. 10.
나도논피(9.27) [특징]1. 총은 근연종과 달리 위로 뻗는다. 2. 소수의 형질은 논피와 유사하지만 까락 매우 길며 균일하다.3.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한다.[피속(일년초, 엽설이 없다) 종 검색표]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형, 대개 2~.. 2018. 10. 1.
가지돌피(8.19) [특징]1. 엽설이 없다.2. 화총에 2차 가지가 있다. 3. 동속 중에서 대형이며 화총도 길다.4. 줄기는 모여 난다.5. 화서 가지 기부에 긴털이 있다. [피속 종 검색표] - 일년초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형, 대.. 2018. 10. 1.
가지쥐꼬리새 (8.12)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 2018. 8. 26.
산새풀 (산새풀속, 7.8) 개방원추화서를 갖는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호영이 보이질 않는다.)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2-2.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나도기름새속         2-3. 한개의 무병소수와 2개의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수수속 :    2 .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3.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포영 2개, 호영 및 내영은 1개)             3-1. 소수는 엉성하게 달리며 포영은 같은 크기이며 긴 까락이 .. 2018. 7. 19.
큰꾸러미풀(8.6, 포아풀속) 새포아풀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화서의 가지에 잔돌기가 있고 포영에 잔톱니가 있으며 호영에 긴 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벼과 속(포아풀속) 검색표]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겨이삭속 등    2.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1개뿐이다. ----- 새속, 갈풀속 등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2개 이상이다. ----- 귀리속 등1. 제1포영,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3.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 2017. 9. 15.
긴까락빕새귀리 (Bromus sterilis L.) '17.5.14 / 부안 까락빕새귀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808 http://blog.daum.net/watcher/8767903 민둥빕새귀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158 2017. 6. 2.
처진미꾸리광이 (4.28) [벼과 속 검색표]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산새풀속, 갈풀속, 향모속 등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1개 있다.             4.  한 개의 소수에 한개의 임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4.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임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 2017. 5. 18.
뿔이삭풀 (Parapholis incurva (L.) C.E.Hubb.) '17.4.16 / 부안 나도뿔이삭풀 보기 : 뿔이삭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694 2017. 5. 12.
구내풀 (4.30, 포아풀속) 학명은 Poa hisauchii Honda.실포아풀과 유사하나 가지가 많이 달리고 호영 맥에만 털이 있다. [벼과 속(포아풀속) 검색표]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겨이삭속 등    2.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1개뿐이다. ----- 새속, 갈풀속 등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2개 이상이다. ----- 귀리속 등1. 제1포영,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3.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3. 호.. 2017. 3. 14.
가는잎물억새 (9.25) [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여난다.짧은 지하경이 있어 줄기는 모여나는 편이다.[잎 너비 비교]- 넓은잎물억새 : 3~5cm- 물억새 : 1~3cm- 가는잎물억새 : 0.5~1cm 넓은잎물억새 (10.5)[잎 너비 비교]- 넓은잎물억새 : 3~5cm- 물억새 : 1~3cm- 가는잎물억새 : 0.5~1cm[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hyunsik.tistory.com [비교] 넓은잎물억새, 물억새 비교[잎 너비 비교]- 넓은잎물억새 : 3~5cm- 물억새 : 1~3cm- 가는잎물억새 : 0.5~1cm[.. 2017. 2. 22.
꼬인새 (Dantbonia spicata (L.) Roem. & Schult.) 꼬인새 (꼬인새속) 다년초. 외래식물. 포영(1, 2포영의 길이는 같다)은 소수보다 길며, 소수는 작은 소수가 2개씩 쌍으로 4~5개 정도 달리고 소화는 4~9개정도 된다. (2번째 소화는 짧은 자루가 있고, 소수 끝에 달리는 hyunsik.tistory.com '12.6.15 / 예천 '12.6.26 / 예천 [특징] : 포영이 소수보다 길다. 꼬인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405 2017. 2. 6.
가는수크령 (Pennisetum flaccidum Griseb.) '16.9.24 / 영천 가는수크령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16 http://blog.daum.net/watcher/8766933 http://blog.daum.net/watcher/8766934 가는수크령 영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716 수크령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224 2016. 10. 16.
왕김의털아재비 (6.25, 김의털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 2016.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