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마95

매발톱 꽃, 열매(미나리아재비과/5.23) [기재문]학명은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utv. & Meyer) Kitam. 근생엽은 여러 장이 모여 나며, 엽병이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겹잎이며,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다. 꽃은 노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가지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 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며, 길이 2cm, 갈색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잎은 5장, 노란색이며, 꽃받침 잎과 번갈아 늘어선다. 꽃잎 아래쪽에 거가 있는데, 끝이 안으로 구부러지고 밖으로 나온다. 수술은 많으며, 안쪽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암술은 5개다.  과실은 골돌이며, 위를 향해 달린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매끈하고 자줏빛이다. 노랑매발톱은 백두산에 자생하고 꽃잎과 꽃받침잎.. 2024. 5. 27.
모래냉이 (배추과, 모래냉이속/3.12) [기재문] 학명은 Diplotaxis muralis (L.) DC. 모래밭에 자라는 생태 특성을 살려 국명을 모래냉이로 하였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지중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높이 10~50cm, 아래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도피침형으로 길이 5~15cm, 결각상 톱니가 발달한다. 줄기잎은 거의 없거나 아래쪽에 달리며, 뿌리잎보다 작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현지에서는 개쑥갓처럼 일년내내 꽃을 볼 수 있다). 꽃받침잎은 4장, 타원형, 길이 3.5~5.5mm이며 꽃받침잎 뒷면에 소수의 긴 털이 있다. 꽃잎은 도란형, 길이 6~8cm, 폭 4~5mm, 노란색이다. 수술은 6개, 이 중 4개가 길다.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장각과, 선.. 2024. 3. 19.
미국부용 (아욱과, 무국화속) [비교] 부용, 미국부용 1. 부용은 모란처럼 겨울에도 지상부의 줄기가 살아서 겨울을 나는 키작은 떨기나무지만, 미국부용은 작약처럼 겨울에는 뿌리만 살아 있다가 매년 봄 새순이 돋는 여러해살이풀. 2. 부용의 잎은 보통 5~7갈래로 갈라져 있지만, 미국부용 잎은 갈라지지 않거나 조금 갈라진 타원형이다. 3. 꽃은 부용이 10cm 정도이며 연한 홍색의 꽃이 피지만, 미국부용은 15~20cm 정도로 엄청 크며 다양힌 빛깔의 꽃이 핀다. 목화 (아욱과, 목화속) 학명 : Gossypium indicum Lam.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3-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하고 탁엽은 삼각상 피침형으로서 엽병 및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액생하는 소화경 hyunsik.tistory.co.. 2024. 3. 6.
물양귀비 (택사과, 물양귀비속) 학명은 Hydrocleys nymphoides (Humb. & Bonpl. ex Willd.) Buchenau이며 종소명 nymphoides는 수련속을 닮았다는 의미이다. 카리브 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이다. 기는줄기가 2-4m로 자라며 큰 무리를 이루고,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잎은 부엽과 침수엽이 있는데 대부분 부엽이며, 줄기마디에서 나온다. 부엽은 난형, 넓은 난형, 타원형, 아원형으로 길이 3-13cm, 너비 3-12cm, 밑이 얕은 심장 모양이다. 잎 앞면은 진한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10-50cm이다. 꽃은 물 위에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1개가 나오거나 줄기마디에서 1-6개가 나오며, 노란색, 지름 5-8cm이다. 꽃자루.. 2024. 1. 20.
미국외풀 (현삼과, 밭뚝외풀속) 학명은 Lindernia dubia (L.) Pennell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논둑,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높이 10~30cm, 단면은 사각형이고, 옆으로 가지를 치며 펼쳐진다. 잎 가장자리는 2~3쌍의 톱니 모양이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자루는 잎보다 짧다. 꽃받침조각은 선상 송곳 모양으로 열매와 크기가 거의 같다. 꽃부리는 길이 5~10mm다. 열매는 좁은 난형으로 4~5mm, 노란색을 띠는 갈색이다. 이 종은 잎몸이 대개 도란형으로 가장자리에 뚜렷한 톱니가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 밭뚝외풀 : 잎몸이 장타원형으로 톱니가 없다 - 논뚝외풀 : 잎몸이 피침형 또는 긴 장타원형으로 둔한 톱니 - 참새외풀 : 잎몸이 장타원형~선상피침형으로 .. 2023. 9. 23.
모래별꽃(석죽과/4.6) 유럽 원산이다. 별꽃과 매우 유사하나, 가장 큰 특징으로 꽃잎이 없거나 매우 작다. 학명은 Stellaria pallida (Dumort.) Crép. [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 1. 암술이 5개이다···································쇠별꽃 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3. 화판의 열편이 많이 갈라진다······························왕별꽃 3. 화판이 2열한다. 4. 잎이 선형이다·············실별꽃 4. 잎이 난형, 좁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다···················벼룩나물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유병엽이다 5. 줄기와 화경에 털이 없다··············.. 2023. 4. 6.
무늬천남성 두루미천남성과 비슷하나 소엽의 폭이 좁고, 화서의 길이가 잎자루보다 짧아서 화서가 잎보다 아래쪽에 피는 점이 다르다. '21.5.17 2023. 3. 21.
민탐라풀 (꼭두선이과, 수염치자풀속) '22.8.19 2022. 12. 18.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초롱꽃과 더덕속) 강원도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주로 자란다.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 1-5cm, 나비 1-3.5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특히 맥 위에 많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보통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측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그 밑의 엽액에서도 계속 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길이 15mm, 나비 5mm로서 피침형이다. 화관은 종형이며 자주색이고 길이 2.5cm, 지름 1.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길이 5mm이다. 삭과는 편원추형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9-10월에 익어 끝이 3쪽으로 터져 종자를 쏟아낸다. 종자는 작고 많은데 길고 둥글며 날개.. 2022. 9. 25.
말뱅이나물 (Vaccaria vulgaris Host, 석죽과) '22.6.6 2022. 9. 21.
민산갈퀴 (Galium pogonanthum for. nudiflorum (Makino) Ohwi) 화관에 털이 있는 산갈퀴에 비해 민산갈퀴는 화관에 털이 없다. '22.5.19 2022. 9. 11.
민둥뫼제비꽃 흰꽃 (3.31) [비교] 민둥뫼제비꽃, 뫼제비꽃종명옆 꽃잎잎몸잎 뒷면민둥뫼제비꽃털이 있다 다소 긴 삼각상 난형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다자주색뫼제비꽃털이 없다 둥근 심장형이고 끝부분이 다소 둥글다녹색 [기재문]학명은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ino) F.Maek.잎은 삼각상 난형이며 윗부분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이저에 가까운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대개 자줏빛이 돌며 처음에 나오는 잎은 털이 없으나 나중에 나오는 잎은 백색털이 있고 때로는 표면에 흰색 무늬가 있으며 길이 3~6cm, 폭 2-4.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털이 있거나 없.. 2022. 7. 26.
메꽃 (6.20) [메꽃속 비교] 종명 꽃 잎 털 유무 큰메꽃 지름 5~6.5cm, 분홍색 5~15cm의 긴 타원상 삼각형~삼각형이며, 가장자리 열편의 길이는 잎의 1/3~1/2정도이다. - 메꽃 지름 4~5(~6)cm, 연한 홍색 5~15cm의 좁은 삼각형~긴 타원형이며, 밑부분의 열편은 작거나 매우 크게 발달하기도 한다. (열편 길이는 잎 길이의 1/3 이하) 전체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 애기메꽃 지름 2~3cm,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 2~6cm의 삼각형~삼각상 난형이며, 흔히 밑부분의 가장자리에 뾰족한 열편이 2~3쌍 있다. 전체에 털이 없다. 선메꽃 지름 4cm, 연한 붉은색 4~8cm의 긴 타원형이며 밑부분은 편평하거나 약간 화살촉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털이 많다. 1. 공통적으로 꽃줄기는 네모지고(선메꽃은.. 2022. 6. 17.
민개미자리 (3.29) '22.3.29 2022. 3. 30.
물상추 (Pistia stratiotes) = 물배추 6~9월에 개화. 여러해살이풀. 낮은 온도에서는 잎이 부패하여 겨울을 나기 어렵다. 열매는 작아 보기가 힘들다. '19.8.31 2022. 3. 10.
몽울토현삼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현삼속(Scrophularia L.)은 화관은 좌우상칭이며, 단지 모양의 순형화관을 가지고, 1개의 하부열편, 1쌍의 측열편과 1쌍의 상부열편으로 구성되며, 헛수술이 있고, 삭과는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으로 현삼과 내에서 근연속들과 구분되고 있다. [현삼속 비교] * 큰개현삼 : 전역 산지에 분포. 개화기는 7~9월이며 화서는 정단과 엽액에서 발달하고 꽃받침 열편은 짧고 끝이 둥근 난형 줄기에 털이 있고 7개 이상의 마디를 갖는다. * 일월토현삼 : 큰개현삼의 이명 * 섬현삼 : 울릉도 해안에만 분포하는 특산종. 개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없다. 줄기에 털이 없다. * 개현삼 : 동해안 속초 이북에 자생. 섬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있다. 줄기에 털이 없다. * 토현삼 : 특산종. 오대산 이.. 2021. 5. 4.
마늘냉이 (Alliaria petiolata ) '20.6.3 2020. 9. 9.
민들레 (국화과, 민들레속/3.14) [기재문] 학명은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이며 종소명 mongolicum는 '몽고의' 의미. 숲 가장자리, 들판, 풀밭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잎은 2~3줄로 모여나며 도피침형으로 길이 6~15cm, 폭 2.0~3.5cm, 깃꼴로 갈라지거나 드물게 갈라지지 않으며 끝의 갈래잎은 삼각형으로 크고 가장자리 갈래잎은 밑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5~7월에 머리모양꽃차례로 피는데 노란색이고, 꽃줄기 끝에 한 개씩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넓은 종 모양으로 길이 12~14mm, 조각은 3줄로 붙으며 바깥조각에 거미줄 같은 흰 털이 있고 끝에 부리 모양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4mm, 폭 1mm쯤이고, 6~8월에 익으며, 위쪽에 뾰족한 돌기가 있다. 우산.. 2020. 3. 9.
미국타래사초 (Carex muehlenbergii Schkuhr ex Willdenow var. enervis Boott) 줄기 지하경이 없고, 길이 20-90 cm. 잎 엽초는 조밀하며, 녹색, 드물게 흰색 반점이 존재; 엽신은 너비 2-4 mm, 표면에 유두상 돌기가 존재. 화서 길이 1.5–4 cm, 너비 8–12 mm; 기부 절간은 기부 소수와 길이가 같거나 짧다. 포엽 기부 포엽은 길이 2 cm 이하. 소수 3-10개, 소수당 8-20개의 비스듬히 서거나 퍼진 과낭을 가진다. 인편 자인편은 길이 2–2.5 mm, 너비 1.2–1.8 mm, 녹색, 중앙에 3개의 맥이 있고, 난형에서 난상원형, 정단부는 예두 또는 길이 0.5–1.5 mm의 까락이 있다. 과포 연녹색에서 황갈색, 복면에는 9-15개의 맥이 있고, 배면에는 맥이 없으며, 길이 2.7–3.1 mm, 너비 1.8–2.3 mm; 부리 길이 0.2–0.6 mm... 2019. 5. 22.
민털비름 (Amaranthus powellii S. Watson) [특징] 털비름과 비슷하지만 줄기와 잎에 털이 현저히 적다. 화피편 크기가 비슷하게 보여 민털비름이 아니고 털비름으로 보인다. '18.10.29 / 경남 민털비름 종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468 털비름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469 2018. 11. 12.
매자기 (Scirpus maritimus L.) '18.6.14 매자기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983 좀매자기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82 큰매자기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307 중매자기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041 형삼릉 보기 : 2018. 6. 17.
몬트부레치아 (Crocosmia X Crocosmiiflora (Lemoine) N.E.Br) '17.7.29 / 거문도 애기범부채라고도 한다. 꽃대 1개, 2-4개 가지로 갈라짐. 꽃 지름 2-3cm, 꽃자루 극히 짧고, 포엽 2개. 화피는 주홍색으로 6개, 긴타원형이며, 아래쪽에 근처에 2개의 진한 반점이 있다. 갈색 섬유에 싸인 인경으로 번식. 줄기 다수 모여남.어긋나기길이 20-50cm, 나비 2cm, 기부 겹쳐짐. 2017. 8. 20.
목포용둥굴레 (Polygonatum cryptanthum H.Lev. & Vaniot) '17.7.15 / 거제도 용둥굴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972 안면용둥굴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002 1. 식물체에 털이 없고, 화서에 2장의 포가 있다. 2. 포가 난형, 소화경의 기부에 부착 --------------------- 용둥굴레 2. 포가 피침형, 소화경의 중부나 상부에 부착 ------------ 안면용둥굴레 1. 식물체에 꽃이 달리는 줄기 하부이외에는 털이 있다. ------ 목포용둥굴레 2017. 7. 27.
민은난초 (Cephalanthera erecta var. oblanceolata N. Pearce & P.J. Cribb.) 2017. 7. 26.
묵밭소리쟁이 (Rumex conglomeratus Murray) '17.6.18 / 경남 금소리쟁이 보기 : 좀소리쟁이 보기 : 소리쟁이 보기 : 참소리쟁이 보기 : 돌소리쟁이 보기 : 가는잎소리쟁이 보기 : 2017. 7. 2.
묏미나리 (산형과, 묏미나리) 학명은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이며 종소명 sieboldii는 독일 식물학자 이름에서 유래. 산지 계곡이나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곧으며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0.5~1m, 둥글고 속이 비었으며 털이 없고 세로 주름줄과 홈이 있다. 잎은 어긋난다. 뿌리잎은 긴 난형, 밑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일찍 시들며 잎자루가 있다. 줄기잎은 2~3회 갈라진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은 거친 톱니가 있으며, 끝부분은 뾰족하고 잎자루가 짧거나 없다. 그리고 갈래 끝에 흰 점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 끝에서 겹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5장, 흰색이다. 열매는 분과, 8~10.. 2016. 10. 30.
물골취 (Saussurea stenolepis Nakai) '14.9.13 / 정선 물골취 더보기 : 물골취 뿌리잎 보기 : 물골취 열매 보기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과 더불어 길이 10-17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언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6.5-9cm로서 가장자리가 중앙까지 크게 갈라지지만 윗.. 2016. 10. 12.
민박쥐나물 (7.27) [기재문]학명은 Parasenecio hastat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3각형 또는 창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25~35cm, 폭 30~40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양쪽 열편은 다시갈라지기도 하고 엽병은 길이 9~13cm로서 보통 날개가 있다.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총포는 길이 10-12mm, 나비 5mm이고 포편은 5-8개이며소화는 6-9개이고 화관은 길이 8-9mm이다.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5~8mm, 지름 1.5mm로서 종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7mm 정도로서 백색 또는칙칙한 백색이다... 2016. 3. 16.
별나팔꽃 (Ipomoea triloba L.) '15.10.18 / 김제 / 외래식물 별나팔꽃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824 별나팔꽃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44 애기나팔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307 2015. 12. 21.
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 [특징]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있다 '15.8.27 / 태안 민바랭이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22 http://blog.daum.net/watcher/8766964 나도바랭이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772 큰듬성이삭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265262 민바랭이새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번갈아 남 긴까락이 있다 큰듬성이삭새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번갈아 남 까락이 있다 나도바랭이새 까락이 없다 2015.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