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아139

얼치기대가래(5.22) 학명은 Potamogeton X anguillanus. Koidz이며 넓은잎말(P. Perfoliatus L)과 대가래(P. malaianus Mig)의 자연 교잡종. ​                                                                        ----- 아래는 논문에서 발췌 -----2019년 6월중순경  일본 고유종인 '얼기치대가래'가 강원도 석회암지대(영월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넓은잎말과 대가래 교잡종인것은 일본 코베대학의 이이다 사토코씨와 야스오씨가 유전자 연구를 통해서 확인됨.잎의 꼬임현상은 넓은잎말을 계승하고 기본 형태는 대가래의 형질과 수조내에서 붉은 발색을 내며,수면에서 부엽(가래과 몇 종은 물속의 잎 모양과 수면 근처에서의.. 2024. 5. 26.
유럽미나리아재비 꽃(3.14) [기재문] 학명은 Ranunculus muricatus L. 잎은 마주 나며, 아래쪽 잎 나비 3~6cm, 긴 엽병, 콩팥모양 또는 심장상원형, 3열이 되고, 둔한톱니, 털이 없다. 줄기잎 달걀모양, 3중열, 위쪽잎 짧은 엽병 있거나 없어진다. 꽃은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 지름은 6~10mm이다.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보다 짧고 반곡된다. 꽃잎 5개, 좁은 거꿀달걀모양, 길이 7mm, 광택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15~25개 모여 나고, 편평하며 길이 5~8mm. 표면에 길이 4mm의 자상돌기가 다수 있고, 끝에 길이 2~3mm의 굽은 부리 모양 의 돌기가 있다. 유럽미나리아재비 신엽(3.14) [기재문] 학명은 Ranunculus muricatus L. 잎은 마주 나며, 아래쪽 잎 나비 3~6cm.. 2024. 3. 24.
유럽단추쑥 (국화과, 유럽단추쑥속/3.14) [기재문] 학명은 Cotula australis (Sieber ex Spreng.) Hook.f.이며 종소명 australis는 '남쪽의' 의미. 두상꽃차례의 모양이 단추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한해살이 외래식물. 높이는 3~30cm이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 땅위를 기듯이 자라거나 끝에서 약간 서며 가늘고 긴털이 많다. 냄새냉이처럼 생겼으나 향기가 거의 없다. 잎의 어긋나기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길이는 1~2cm, 폭은 0.7~1cm이다. 갈래조각은 피침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꽃은 잎과 마주나게 달리는 긴 꽃대 끝에 녹황색으로 피며, 지름이 0.4~0.5cm이고 관모양꽃으로만 되어 있으며, 양성꽃과 암꽃이 함께 달린다. 양성꽃은 흰색이고 중앙부에 달리며, 암.. 2024. 3. 21.
애기석잠풀 (꿀풀과, 석잠풀속/3.12) [기재문] 학명은 Stachys agraria Schltdl. & Cham. 멕시코 원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 발견된 귀화식물이다. 한해살이,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늘고 10-45cm로 길어지고 가지를 치거나 치지 않으며, 보통 곧게 서지만 간혹 누워 자라며 짧은 털이 드물게 난다. 줄기 아래쪽에는 흔적적인 잎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의 잎자루는 1.0-2.5cm이다. 잎 모양인 꽃차례의 포는 자루가 짧거나 없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4-5월에 핀다. 윤산꽃차례는 각 마디에 6-12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통의 아랫부분은 볼록하고 겉에는 털이 있다. 꽃부리는 적자색이 돌고 때로는 흰색이며 꽃받침.. 2024. 3. 20.
알며느리밥풀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수염며느리밥풀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1. 잎은 난형 2. 포와 꽃받침에 털이 거의 없다. 3. 꽃이 화서에 엉성하게 달림. 포엽 기부에 가시가 존재. ----- 꽃며느리밥풀 3. 꽃이 화서에 밀집하게 달림. 포엽 전체에 가시가 존재. ----- 알며느 hyunsik.tistory.com 꽃며느리밥풀의 변종이며 학명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Nakai ex Beauverd' 이고 * 종소명 roseum은 '연한 홍색의'라는 뜻의 라틴어 반기생식물인 일년초이다.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산지 숲속 가장자리에 분포하며 - 꽃며느리밥풀 : 전국의 산지 숲속 가장자리 - 수염며느리밥풀 : 남부지방과 서남 군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분포하며 건조한 곳 포는 .. 2023. 9. 15.
용수염 (용수염속) 광릉용수염 영과 '16.8.21 / 태백 광릉용수염 영과 더보기 : 광릉용수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230 껍질용수염 영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694 고령용수염 영과 보기 : hyunsik.tistory.com 꽃차례는 광릉용수염과 같은 개방형(엉성한 원추형)이나 광릉용수염과 달리 내영 용골부가 매끈하다. '23.8.27 2023. 8. 31.
용설란 (용설란속, 용설란과) 학명은 Agave americana L. 꽃이 100년에 한 번 핀다 하며 잎이 용의 혀와 비슷하기 때문에 용설란(龍舌蘭)이라고 한다. '22.3.1 / 식재 2022. 12. 23.
왜개연꽃 (수련과, 개연꽃속) 개연꽃 (Nuphar japonicum DC.) '14.8.31 / 창녕 / 식재 개연꽃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69 남개연꽃 보기 : 왜개연꽃 보기 : 참개연꽃 보기 : 잎은 근생이며 침수엽과 수상엽, 2형이 있다. 침수엽은 길고 좁으며 가장자 hyunsik.tistory.com 남개연꽃 (수련과, 개연꽃속) 학명은 Nuphar pumilum var. ozeense (Miki) Hara으로 왜개연꽃의 변종으로 꽃의 암술머리가 붉은색이 남. 성숙된 잎은 길이 8~12cm, 폭 7~8cm 정도의 장 타원형이고, 미요두이며, 기부는 전저이며, 둘로 갈라진 hyunsik.tistory.com '22.8.19 왜개연꽃 수중엽 '22.8.19 hyunsik.ti.. 2022. 12. 18.
외풀 (현삼과, 밭뚝외풀속) '22.8.19 2022. 12. 18.
울진노루오줌 (노루오줌속) 학명 : Astilbe uljinensis B.U.Oh & H.J.Choi (신종) '22.6.16 노루오줌 '23.6.18 울진노루오줌 (노루오줌속) 학명 : Astilbe uljinensis B.U.Oh & H.J.Choi (신종) '22.6.16 hyunsik.tistory.com hyunsik.tistory.com 2022. 11. 22.
어수리아재비 (Tordylium maximum L. 산형과, 어수리아재비속) '22년 식물분류학회에 발표 '22.7.3 2022. 9. 23.
영암풀 ( Hedyotis chrysotricha (Palib.) Merr., Lingnan, 꼭두선이과 / 수염치자풀속)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땅을 기며, 길이 20~40 cm, 기부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고, 단면은 둥글거나 다소 네모지며, 얕은 홈이 2줄로 패이고, 능선을 따라 흰색 털이 빽빽하게 나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1.5 mm 미만으로 짧거나 없다. 잎몸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0~2.2 cm, 너비 0.7?1.5 cm, 밑은 설저 또는 둔저, 가장자리는 전연, 끝은 예두 또는 둔두, 측맥은 2-3쌍이다. 잎 가장자리를 따라 짧은 털이 나며, 잎 뒷면 맥에 털이 있거나 없다. 턱잎은 잎자루 기부에 삼각상으로 합쳐지며,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 길이 1.1~2.5 mm인 피침형 열편이 돌출한다. 꽃차례는 액생, 마디마다 2-5개의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털로 덮여 있고, 길.. 2022. 9. 19.
애기금강제비꽃 잎, 뿌리(7.9)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Nakai)잎은 원형으로 잎끝이 급하게 좁아져 뾰족해지며 누워 자리지 않고 곧곧히 서있다. 새싹의 잎은 중앙부위가 말린다.  잎의 뒷면은 색이 연하고 전체적으로 털이 있으나 특히 맥 위에 많다. 엽병은 털이 있으며 길이 8-21cm로서 윗부분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뿌리에는 부정아가 발달한다.옆 꽃잎에 털이 있으며 아랫꽃잎에는 자주색 줄무늬가 있다. 꽃받침에는 부속체가 거의 없다. 애기금강제비꽃 (Viola yazawana Makino)잎은 삼각상으로 잎끝이 급하게 좁아져 뾰족해지고, 잎가에 엉성한 굵은 톱니가 있다.  땅속줄기는 약간 굵고 옆으로 뻗는다. 뿌리에는 부정아가 발달하지 않는다. 옆 꽃잎에 털이 없다. 새싹의 .. 2022. 9. 9.
왜솜다리 (Leontopodium japonicum Miq.) 국화과 솜다리속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무렵에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4~6.5cm, 폭 5~14mm로서 엽초가 없고 표면에 면모가 있거나 없으며 뒷면에 회백색 면모가 있다. 포엽은 드물게 달리고 윗부분의 잎보다 작으며 표면에 황회색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회백색이며 두화는 잡성으로서 1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총포는 길이 4-5mm, 나비 5mm정도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축모가 밀생한다. 수과는 길이 1mm정도로서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높이 25-55cm이고 줄기는 총생하며 곧게 서고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고 윗부분까지 잎이 달리며 백색 면모로 덮여 있다. '22.7.8 2022. 9. 6.
연미붓꽃 (중국붓꽃, 붓꽃속) 학명은 Iris tectorum Maxim. 근경에서 길이 30∼40cm 되는 잎이 2줄로 달려서 처음에는 범부채 비슷하게 자란다. 꽃은 4∼5월에 피고 자주색 또는 백색이다. 3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 2∼3개씩의 꽃이 달린다. 꽃은 지름 10cm 정도이고 3개의 외화피는 넓은 원형이며 자주색 반점이 있고 밑부분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닭의 벼슬같은(애기풀처럼) 부속체가 있다. 내화피는 달걀 모양이고 밑부분이 좁다. '22.5.8 / 식재 2022. 8. 26.
유채 (배추과, 배추속/5.5) 학명은 Brassica napus L. 경생엽은 엽병이 있으며 다소 우상으로 갈라지는 것도 있고 끝이 둔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엽병에 자줏빛이 도는 것도 있다. 상부의 잎은 기부가 이상(耳狀)으로 처져서 원줄기를 감싸고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갈라지지 않으며 엽병이 없다. 총상화서는 가지와 원줄기 끝에 달리며 꽃은 4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의 배같고 길이 6mm이며 꽃잎은 끝이 둥근 도란형이고 길이 10mm이며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각과로서 끝에 긴 부리가 있고 원주형이며 완숙하면 벌어져 흑갈색 종자가 나온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상부는 분지한다. '19.5.5 2022. 5. 1.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Maxim.) 유사종으로 백운취, 남해취 등이 있다.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5~12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타원상 3각형 또는 3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화살형·심장형 또는 검모양이며 길이 5~12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선모가 밀생하며 백색이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톱니가 작아져서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되며 엽병이 없어진다. 두화는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5~30cm이며 총포는 길이 13~16mm, 지름 8~14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덮여 있고 자줏빛이 돌며 8~11줄로 배열되고 뒷면에 7맥이 있으며 외포편은 난상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예두이며 중포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내포편은 선형이다. 화관은 자줏.. 2022. 4. 7.
왜당귀 (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털이 없고 엽병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되며 삼각형이고 길이 10-25cm로서 3개씩 1-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소엽은 길이 5-10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깊게 3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총산경의 윗부분과 소산경 및 소화경의 안쪽에 잔돌기가 있으며 소산경은 길이 3-8cm로서 30-40개이고 소화경은 길이 7-18mm이며 소총포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 뒷면의 능선이 가늘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고 능선 사이에 3-4개, 합생면에 4개의 유관이 있다. 과실은 연한 붉은색의 장과이다. 높이 60-90cm이고 곧게자라.. 2022. 3. 8.
울릉연화바위솔 (Orostachys iwarenge for. magnus Y.N.Lee) '14.5.19 2022. 3. 3.
양파 (Allium cepa L.) '21.6.4 2021. 11. 7.
애기방동사니 (방동사니속 / 8.16) [유사종 검색표] 1. 수과 길이가 너비의 2배 정도이다. ----- 푸른방동사니 1. 수과 길이가 너비의 3배 정도이다. 2. 소수 인편은 2열로 붙고 편평하다. ----- 애기방동사니 2. 소수 하부 인편은 나선형으로 붙고, 소수는 비틀린다. ----- 흰방동사니 [기재문] 학명은 Cyperus pygmaeus 일년생. 근경은 실모양이다. 줄기 높이는 10-20cm이고, 단면은 납작한 삼릉형이다. 잎 줄기보다 길이가 짧고, 엽신은 너비 2-3mm이며, 단면은 편평하다. 가장자리와 잎의 뒷면 중맥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 기부의 엽초 적갈색으로 짧다. 포엽 4-7개이고, 잎모양이며, 화서보다 길이가 길다. 화서 두상으로 많은 소수들이 달린다. 소수 암적색이고,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 2021. 9. 6.
넓은잎큰조롱 (=이엽우피소, 협죽도과 백미속) 학명은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덩굴줄기는 직립하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지하경이 있다. 잎은 마주나는데 드물게 돌려나기도 한다. 잎겨드랑이에 때로 작은 턱잎처럼 생긴 잎이 있다. 잎몸은 막질, 가는 털이 있으며, 넓은 난형 내지 난상 긴 원형, 길이 4~12cm, 너비 4~10cm이다. 잎끝은 점차 짧게 뾰족해지고, 기부는 심장형이다. 꽃은 특이한 잎겨드랑이에서, 가끔은 끝부분에, 드물게는 잎겨드랑이에 산형꽃차례, 산방꽃차례, 또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직립하는데 가끔 밑에 분비샘이 있다. 화관은 소용돌이치는 모양이거나 이에 가깝다. 화통은 짧다. 열편은 뚜렷하다. 암술머리는 볼록하거나 짧은 원뿔 모양이다. 열매는 골.. 2021. 8. 29.
유카(11.1) 실유카는 잎의 가장자리에 실 모양으로 섬유질이 많이 달려 있어 유카와 구분된다.  실유카(6.13)개화시기실유카 : 초여름유카 : 가을'19.6.13hyunsik.tistory.com'20.11.1 2021. 4. 14.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Nakai) Kitam.)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4-10cm, 나비 1.5-4cm로서 밑부분이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잔털이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위로 가면서 점차 작아진다. 꽃은 8-9월에 피며 두화는 지름 12-15mm로서 원추상으로 달리고 포는 없거나 작다.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3mm이며 내포편은 침형이고 길이 6-6.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길이 8.5mm, 나비 2mm정도이다. 암술대가 2개로 갈라져 길게 뻗어 나고, 꽃밥이 암술대 둘레에 모여 있다. 수과는 원통형이며 종선이 있고 끝에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4.5mm이고 연한 갈색이다. 높이가 15-70m에 달하고.. 2021. 4. 6.
애기겨이삭 (7.4) [기재문]학명은 Agrostis stolonifera L.이며 종소명 stolonifera는 '포복지가 있는' 의미.다년초. 하천주변, 저수지 가장자리 등 교란된 지역의 축축한 지역. 귀화종원추화서는 길이 10-20㎝로 밀착하고 폭 2-5㎝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2-2.5㎜이다.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1맥이다. 맥 위가 꺼칠꺼칠하다. 결실성 외영은 길이 2㎜로 까락이 없고, 밑부분의 캘러스에 미세한 털이 있다. 내영은 외영 길이의 1/3 이고 2맥이다. 꽃밥은 길이 1.2㎜이다.줄기는 포기져 자란다. 반지상성의 지하경이 있는데 가늘고 꽃이 진 뒤에 넓게 퍼진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기부 마디가 적어지면서 곧추서고, 기부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 2021. 3. 1.
왕밀사초 (10.17) [기재문] 학명은 Carex matsumurae Franch. 잎은 편평하며 나비 8-12mm로서 표면에 2개의 줄이 있고 밑부분의 엽초는 볏짚색으로서 갈색 줄이 있으나 흑갈색의 섬유처럼 갈라져서 밑부분을 덮는다. 소수는 4-5개이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길이 3-5㎝로서 넓은 선형,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에 수꽃이 약간 달리기도 하고 원주형이며 길이 2.5-3.5㎝, 지름7mm로서 긴 대위에 서고 때로는 밑부분에서 갈라진다. 포는 녹색이며 소엽편이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4mm이며 뒷면은 연한 황록색이고 3맥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고 암술머리는 2개이지만 간혹 3개인것도 있다. 과포는 도란형이며 털이 없고 길이 4-5mm로서 연한 녹색이며 도드라진 맥이 많고 부리는 짧으며 끝이 막질이고 얕게 파.. 2020. 12. 30.
우산방동사니 (Cyperus tenuispica Steud.) 우산방동사니 열매 '20.9.24 hyunsik.tistory.com '20.9.24 일년초. 수과는 세모진 넓은 도란형으로서 백색이며 사마귀같은 잔돌기가 있고 인편 길이의 1/2정도이다. 모기방동사니 보기 : 좀모기방동사니 보기 : 2020. 10. 11.
영주치자 (마전과/8.3) [기재문] 학명은 Gardneria insularis Nakai이며 종소명 insularis는 '섬에서 자라는' 의미. 우리 나라 남부 완도, 주도, 징도, 보길도와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은 대생, 타원형,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점첨두 또는 첨두, 예저, 길이 4~9cm, 양면에 털이 없고, 중륵이 양쪽에서 돌출,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황록색, 가장자리는 밋밋, 엽병은 길이 1cm정도로 털이 없음. 꽃은 흰색으로 엽액에 1~3송이씩 달리며 길이 1~2cm의 화경과 더불어 밑으로 처지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편은 난상 원형으로서 털이 없고 화관도 5개로 갈라지며 길이 7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열매는 장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적색으로 익는다. 길이가 10m에 달하는 만경류(목질의 .. 2020. 9. 10.
애기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macrophyllus (Honda) Ohwi) '19.8.23 / 경남 애기주름조개풀 더보기 : 2019. 8. 27.
애기쉽싸리 (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19.7.30 / 경남 '19.6.21 / 경남 애기쉽싸리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10 애기쉽싸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09 잎은 대생하고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의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4-8cm, 폭 5-15m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5-3cm, 나비 1.5-5mm로서 톱니가 없는 것도 있으며 양끝이 좁다. 꽃은 7-9월에 피고 흰색이며 엽액에 몇 송이씩 밀생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고 화관은 아래위로 갈라진 순형으로서 상순이 얕게 2개로 갈라져서 곧게 서며 하순은 옆으로 퍼지고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019.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