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273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신엽(4.16, 5.7) [족제비고사리 근연종 비교]1. 우축 뒷면에     - 인편이 납작한 것들 : 큰족제비, 애기족제비, 족제비(실처럼 가늘고)    - 인편이 빵빵한 것들 : 광릉족제비, 바위족제비, 산족제비, 꼬리족제비(기부만 바가지 모양으로 )    - 인편이 거의 없는 것들 : 금족제비, 가는잎족제비고사리2. 엽병의 인편 (최하의 소우편 열편)    - 산족제비고사리 : 선형 또는 피침형 (안으로 말리며 밋밋하다)    - 애기족제비고사리 : 선상 피침형    - 큰족제비고사리 : 실처럼 가늘다. (톱니가 있다)[비교] 애기족제비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 큰족제비고사리종 명애기족제비고사리(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포함)산족제비고사리큰족제비고사리우축 뒷면의 인편 모양납작함올챙이배처럼 빵빵함납작함엽병색깔볏짚색황갈색 또는 갈색볏.. 2025. 1. 26.
십자고사리 신엽(4.1) 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 [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 2024. 12. 28.
왕지네고사리 포자낭군(5.16) [특징]1.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는다2.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3. 중축의 골은 V자형.4. 포막이 넓고 포자낭군은 엽신 상반부에 붙는다. 왕지네고사리(5.3)왕지네고사리의 특징은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고,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 중축의 골은 V자형.포막이 넓다.곱새고사리의 특징은 우축에 날개가 있고 최하 소우편 중 중축에 있hyunsik.tistory.com'24.5.16. 2024. 12. 26.
응달고사리 포자낭군(5.16) [뿔고사리속 검색표]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중륵의 표면에 가시나 돌기가 거의 발달하지 않으며,    포자낭군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 응달고사리1. 잎몸은 1~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중륵의 표면에 가시나 돌기가 뚜렷이 발달하며,    포자낭군은 장타원형 ~ 선형이다.    2. 소우편이 깊게 갈라지며, 소우편의 끝이 뾰족하며, 우편의 중간 아래의 소우편은 날개로 흐르지 않으며,        우축 뒷면에 털이 많이 있다. ----- 지리산숲고사리    2. 소우편이 얕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의 끝이 둥글거나 뭉뚝하고, 소우편의 기부가 날개로 흐르며,        우축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 뿔고사리종명잎몸중륵의 표면에 가시나 돌기우측 뒷면의 털포자낭군응달고사리2~3.. 2024. 12. 26.
긴꽃고사리삼(7.4, 고사리삼속)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엽의 우편 끝은 예두이고, 열편의 톱니는 날카롭다... 2024. 10. 14.
암공작고사리(9.28) [공작고사리속 종 검색표]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둥글다. ----- 암공작고사리(강원도 석회암지대)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부채모양으로 배열하고 우편은 삼각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2.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 또는 도삼각형이다. ----- 섬공작고사리(제주, 울릉도)    2. 잎몸은 부채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초승달 모양에서 긴타원형이다. ----- 공작고사리(제주, 울릉도, 경기, 강원)[특징]1. 중축의 끝에서 무성아가 달린다.2. 엽신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기재문]희귀멸종위기식물학명은 Adiantum capillus-junonis Rupr. 석회암 지대의 바위 위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착생하는 양치식물이다.  길.. 2024. 10. 10.
왜구실사리(부처손속, 8.10) [부처손속의 종 검색표]1. 영양엽은 2가지 모양으로 측면과 중앙에 각기 2줄로 배열하고, 측면의 잎이 중앙부의 잎보다 크다.-            -              -           5.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한다.                6. 포자엽은 단일 모양이고, 중앙의 잎은 대칭이며, 끝이 구부러지지 않는다.                    7. 측면의 잎은 넓은 난형으로 끝이 침상으로 되고, 길이 약 2~3mm. ----- 선비늘이끼                    7. 측면의 잎은 난형 또는 긴타원형으로 끝이 침상으로 되지 않고, 길이 약 1.5~1.8mm. ----- 왜구실사리                6. 포자엽은 2가지 모양이고, 중앙의 잎은 비대칭이며, 끝이 .. 2024. 8. 12.
민두메고사리(7.30) 두메고사리의 변종이다.[특징]1. 열편은 내장고사리와 같이 둔하다.2. 포막은 내장고사리와 달리 짧은 선형이다.3. 근경이 있어 군생한다.[개고사리과의 속 검색표]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주름고사리속 검색표]1.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상록성이며, 비늘조각은 가장자리에 돌기가.. 2024. 8. 9.
고비고사리(7.4) [비교] 고비고사리, 가지고비고사리, 개가지고비고사리종명고비고사리가지고비고사리개가지고비고사리(고비+가지고비고사리)잎맥차상 유리맥, 거치 끝까지 연결중륵 근처에서는 그물맥이고,가장자리로 가면서 유리맥이며거치까지 연결되지 않는다.중륵 근처에서는 드물게그물맥이고, 가장자리로가면서 유리맥이며 거치까지연결되지 않는다.엽연의 거치발달거치가 거의 없거나 얕다발달엽신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뒤면은 희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1~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양면에 털이 없다.1~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뒤면은 갈색의 털이 있다.  가지고비고사리(7.24)[비교] 고비고사리, 가지고비고사리, 개가지고비고사리종명고비고사리가지고비고사리개가지고비고사리(고비+가지고비고사리)잎맥차상 유리맥, 거치 끝까지 연결중륵 근처에서는 그물맥이고,h.. 2024. 7. 8.
참물부추(6.5) 하록성 여러해살풀인 양치식물.대포자엽은 바깥쪽에 20개가 있고, 소포자엽은 중심부에 약 15개 정도가 있다.대포자낭은 길이 4.8~6.2mm, 너비 2.3~3.5mm이고, 대포자는 직경 0.35~0.48mm이며소포자낭은 길이 약 0.2mm이고, 소포자는 길이 0.03~0.04mm로 대포자의 1/10 수준이다.[물부추속 종 검색표] (출처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 김무열 저)1. 대포자는 망상무늬이고 소포자는 평활하다. 잎의 피층섬유는 6다발이다. ----- 물부추1. 대포자는 망상무늬가 아니고 소포자는 침형이다. 잎의 피층섬유는 4다발이다.    2. 대포자 무늬는 침형과 닯벼슬형 2종류이다. ----- 참물부추    2. 대포자 무늬는 낮은 주름형이거나 침형 1종류이다.         3. 대포자는.. 2024. 6. 5.
흰금털고사리(5.22) [금털고사리속의 종 검색표]1. 땅속줄기와 잎자루 기부에 비늘조각은 피침형이고, 잎자루/잎몸/포막에 샘털이 많다. ----- 금털고사리1. 땅속줄기와 잎자루 기부에 비늘조각은 선상 피침형이고, 잎자루/잎몸/포막에 샘털이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2. 잎자루는 털이 거의 없이 매끄럽고, 땅속줄기와 잎자루 기부에 비늘조각은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고,        소우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고, 포막에 털이 거의 없다. ----- 가는잎금털고사리    2. 잎자루는 아래를 향한 긴털이 밀생하며, 비늘조각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소우편은 난상 삼각형이고, 포막에 긴털이 밀집해 있다. ----- 흰금털고사리종명땅속줄기와 잎자루기부의 비늘조각잎자루기부 소우편포막금털고사리  피침형  희고 짧은 털과 .. 2024. 6. 3.
곱새고사리 포자낭군(5.21) 포막은 긴타원형, U자, J자형이며 표면은 수포상이며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붙는다.'24.5.21 2024. 5. 30.
퍼진고사리 신엽(5.2) [특징]1. 포복지가 있다. 엽병의 중심부가 흑갈색의 큰 인편이 많이 붙는다.2. 최하 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가장 길다.3. 엽신은 3회 우상 심열~전열이며, 열편의 끝이 침처럼되거나 날카로운 톱니가 된다.4. 포자낭군은 둥근 콩팥모양이다.[관중속의 종 검색표]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14. 잎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에 황색 샘털이 있다. ----- 주저리고사리        14.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잎에 샘털이 없다.              15. 열편 톱니의 끝은 .. 2024. 5. 5.
참새발고사리 신엽(4.23) 엽병은 적갈색을 띠고 중축과 더불어 샘털이 밀생한다. 참새발고사리 신엽(4.15)개고사리과의 속 검색표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hyunsik.tistory.com 2024. 4. 26.
관중 엽신의 전개(4.16) '24.4.16 2024. 4. 21.
곱새고사리 신엽(4.16) [비교] 왕지네고사리, 곱새고사리 * 왕지네고사리의 특징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고,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 중축의 골은 V자형. 군락을 형성 * 곱새고사리의 특징 우축에 날개가 있고 최하 소우편 중 중축에 있는 열편이 작다. 빽빽하게 뭉쳐난다.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종 검색표] 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이고, 포막은 원형이거나 말굽모양이다. ----- 진퍼리개고사리 2. 잎몸은 3회 우상이고, 포막은 말굽모양과 갈고리모양이다. ----- 푸른개고사리 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3.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서거나 기며, 잎자루의 기부는 부풀어 오르고 통기공이 있으며 포막은 두껍다. 4. 우축은 날개가 없고 잎맥은 단순하며 포자낭군은 장.. 2024. 4. 18.
왕지네고사리 신엽(관중과/4.17) [비교] 왕지네고사리, 곱새고사리 * 왕지네고사리의 특징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고,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 중축의 골은 V자형. 군락을 형성 * 곱새고사리의 특징 우축에 날개가 있고 최하 소우편 중 중축에 있는 열편이 작다. 빽빽하게 뭉쳐난다. [관중속의 종 검색표] 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3.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4. 우편은 얕게 또는 중간 정도 갈라진다. 5. 잎몸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지 않거나 약간 좁아지며, 우편의 아랫부분이 귀모양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6. 포자낭군은 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붙는다. 7. 포막은.. 2024. 4. 18.
음양고비 신엽(4.16) [비교] 고비과, 야산고비과- 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없다.(고비, 꿩고비, 음양고비)- 야산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있다.(청나래고사리, 야산고비, 개면마)[고비과의 속 검색표]1. 성숙한 영양엽의 중축 뒷면에 털이 없다. ----- 고비속(고비, 음양고비)1. 성숙한 영양엽의 중축 뒷면에 털이 남아 있다. ----- 꿩고비속(꿩고비)속명잎몸잎몸 상태성숙 후 우편 뒷면의 털고비속1~2회 우상2가지 모양이거나 부분적 2가지 모양없음꿩고비속1회 우상뚜렷한 2가지 모양있음  꿩고비 영양엽 상부 형태 및 잎맥'23.6.2hyunsik.tistory.com 음양고비 꿩고비 영양엽 비교[음양고비] [꿩고비]hyunsik.tistory.com 꿩고비 신엽(4.22)'23.4.22h.. 2024. 4. 16.
청나래고사리 신엽(4.12) [비교] 고비과, 야산고비과- 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없다.(고비, 꿩고비, 음양고비)- 야산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있다.(청나래고사리, 야산고비, 개면마)[야산고비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엽)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있으며,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진다. ----- 청나래고사리속(청나래고사리 1종)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없이 약간 납작하고,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지 않는다.     2. 뿌리줄기는 길게 기며, 잎맥은 그물맥이고 유리맥이 거의 없고, 포자엽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우편은 염주알 모양이다. ----- 야산고비속(야산고비 1종)     2. 뿌리줄기는 짧고, 잎맥은 유리맥이고, 포자엽은 1회 우.. 2024. 4. 14.
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 [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10~30cm, 지름 2mm쯤이며, 비늘조각은 바짝 달라붙고 가장자리에 털이 없으며 쉽게 떨어진다. 잎몸은 1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길이 30~50cm로 맨 아래 깃조각이 크게 발달해 전체가 십자 모양을 이룬다. 깃조각 중축에 붙는 비늘조각은 비교적 오래 남는다. 포자낭군은 주맥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대개 일렬로 붙고, 포막은 방패형으로 일찍 떨어진다. 포자기는 7~9월이다. . 잎이 십자 모양이므로 쉽게 구분된다.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 2024. 4. 6.
파초일엽(꼬리고사리과/3.14) [기재문] 학명은 Asplenium antiquum Makino 해안가 숲속, 습한 절벽 등에서 살며 제주도에 자생하였다. 제주도 섭섬에 살기 때문에 ‘섭섬일엽’이라고도 한다. 자생지가 천연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어 있지만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절멸되었고 현재는 복원된 개체들이 생육하고 있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기종(EN)으로 평가되어 있다. 엽병은 아주 짧고, 기부에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의 길이는 4-10.5mm이고, 흑회색으로 장타원상 피침형이다. 단엽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길이 40-120cm, 너비 7-12cm로 광피침형이며, 기부는 쐐기형이다. 엽질은 혁질로 광택이 있다. 중륵은 다소 굵으며, 윗면은 평평하고, 뒷면은 다소 나왔다. 1줄이거나 또는 Y자 모양으로 갈라져서.. 2024. 3. 26.
잔털드문고사리 (처녀고사리과, 드문고사리속 /6월) [처녀고사리과의 속 검색표] = 관다발이 2개 1. 잎맥은 모두 유리한다. 2. 포막이 없다.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있고, 날개는 우편 사이에 연결되며, 포자낭군은 잎맥 위에 둥글게 붙는다. ----- 설설고사리속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없으며, 포자낭군은 잎맥을 따라 길게 붙는다. ----- 진퍼리고사리속 2. 포막이 있다. 4.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맥은 잎 가장자리까지 닿는다. 5. 잎맥은 대부분 Y자로 갈라지고, 잎 뒷면에 샘털이 없다. ----- 처녀고사리속 5. 잎맥은 단순하며, 대부분 잎 뒷면에 샘털이 있다. ----- 사다리고사리속 4.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맥은 잎 가장자리까지 닿지 않는다. 6. 잎몸은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우축 표면은 홈이 파인다... 2024. 3. 3.
가래고사리 (6.28 / 처녀고사리과, 설설고사리속) [처녀고사리과의 속 검색표] = 관다발이 2개1. 잎맥은 모두 유리한다.    2. 포막이 없다.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있고, 날개는 우편 사이에 연결되며, 포자낭군은 잎맥 위에 둥글게 붙는다.            ----- 설설고사리속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없으며, 포자낭군은 잎맥을 따라 길게 붙는다. ----- 진퍼리고사리속    2. 포막이 있다.        4.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맥은 잎 가장자리까지 닿는다.            5. 잎맥은 대부분 Y자로 갈라지고, 잎 뒷면에 샘털이 없다. ----- 처녀고사리속            5. 잎맥은 단순하며, 대부분 잎 뒷면에 샘털이 있다. ----- 사다리고사리속        4. 잎몸은 2~3회 .. 2024. 2. 26.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2.7) [족제비고사리 근연종 비교]1. 우축 뒷면에     - 인편이 납작한 것들 : 큰족제비, 애기족제비, 족제비(실처럼 가늘고)    - 인편이 빵빵한 것들 : 광릉족제비, 바위족제비, 산족제비, 꼬리족제비(기부만 바가지 모양으로 )    - 인편이 거의 없는 것들 : 금족제비, 가는잎족제비고사리2. 엽병의 인편 (최하의 소우편 열편)    - 산족제비고사리 : 선형 또는 피침형 (안으로 말리며 밋밋하다)    - 애기족제비고사리 : 선상 피침형    - 큰족제비고사리 : 실처럼 가늘다. (톱니가 있다)[비교] 애기족제비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 큰족제비고사리종 명애기족제비고사리(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포함)산족제비고사리큰족제비고사리우축 뒷면의 인편 모양납작함올챙이배처럼 빵빵함납작함엽병색깔볏짚색황갈색 또는 갈색볏.. 2024. 2. 24.
꼬리고사리 (2.12 /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기재문]학명은 Asplenium incisum Thunb. 산기슭 양지바른 곳의 땅이나 바위틈, 길가 돌담 등에 붙어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반상록성 양치식물. 땅속줄기는 짧고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서며, 갈색의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전체의 키는 10~40cm이다. 잎은 모여나며, 포자잎은 곧추서고 영양잎은 보다 작고 옆으로 퍼진다. 잎은 2회 깃꼴로 갈라지며, 도피침형, 길이 8~37cm, 폭 1.1~5.6cm이다. 깃꼴잎은 삼각상 피침형 또는 난형, 짧은 자루가 있다. 갈래조각은 타원형, 부채꼴로 얕게 3갈래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짧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갈래조각의 가운데 잎줄 가까이에 달리며 위쪽으로는 붙지 않는다. 포자는 6~9월에 익는다. 이 종에 비해 애기꼬리고사리는 잎자루가.. 2024. 2. 23.
지네고사리 포자낭군 [비교] 지네고사리(사다리고사리속), 드문고사리(드문고사리속) * 공통 : 우편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기부쪽이 좁아진다. * 지네고사리 - 우편과 우편 사이가 좁고 우편의 폭은 거의 일정(일부 우편만 해당). - 우편의 측맥은 열편의 가장자리까지 닿으며, 열편의 가장자리는 밋밋. - 엽병에 짧은 흰털과 막질의 인편이 붙음. - 포자낭군은 열편을 꽉 채움. * 드문고사리 - 우편과 우편 사이가 넓고 우편의 폭은 1/3 지점이 가장 넓음(일부 우편만 해당). - 우편의 측맥은 열편의 가장자리까지 닿지 않으며, 열편의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가 있음. - 엽병에 털과 인편이 드뭄. - 포자낭군은 작게 붙음. [유사종 비교] * 드문고사리 - 소우편 열편 측맥이 분지하며 엽연까지 닿지 않음. * 사다리고사리 - 포자.. 2024. 2. 17.
큰개고사리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학명은 Diplazium mesosorum (Makino) Koidz. 희귀멸종위기식물.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 2024. 2. 14.
청나래고사리 (4.17 / 야산고비과, 청나래고사리속) [비교] 고비과, 야산고비과- 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없다.(고비, 꿩고비, 음양고비)- 야산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있다.(청나래고사리, 야산고비, 개면마)[야산고비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엽)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있으며,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진다. ----- 청나래고사리속(청나래고사리 1종)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없이 약간 납작하고,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지 않는다.     2. 뿌리줄기는 길게 기며, 잎맥은 그물맥이고 유리맥이 거의 없고, 포자엽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우편은 염주알 모양이다. ----- 야산고비속(야산고비 1종)     2. 뿌리줄기는 짧고, 잎맥은 유리맥이고, 포자엽은 1회 우.. 2024. 2. 13.
큰족제비고사리 신엽 (5.11, 관중과, 관중속) [족제비고사리 근연종 비교]1. 우축 뒷면에     - 인편이 납작한 것들 : 큰족제비, 애기족제비, 족제비(실처럼 가늘고)    - 인편이 빵빵한 것들 : 광릉족제비, 바위족제비, 산족제비, 꼬리족제비(기부만 바가지 모양으로 )    - 인편이 거의 없는 것들 : 금족제비, 가는잎족제비고사리2. 엽병의 인편 (최하의 소우편 열편)    - 산족제비고사리 : 선형 또는 피침형 (안으로 말리며 밋밋하다)    - 애기족제비고사리 : 선상 피침형    - 큰족제비고사리 : 실처럼 가늘다. (톱니가 있다)[비교] 애기족제비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 큰족제비고사리종 명애기족제비고사리(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포함)산족제비고사리큰족제비고사리우축 뒷면의 인편 모양납작함올챙이배처럼 빵빵함납작함엽병색깔볏짚색황갈색 또는 갈색볏.. 2024. 2. 6.
참나도히초미 포자낭군 '19.5.10 2024.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