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과107

큰듬성이삭새 열매 (민바랭이새속) 학명은 Microstegium vimineum (Trin.) A.Camus var. polystachyum (Franch. & Sav.) Ohwi 이며 종소명 vimineum는 '긴 연한 가지가 있는' 의미이고 나도바랭이새의 변종이며 낮은 산지나 숲, 임도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민바랭이속 비교] 공통 : 1년초이며 기는 줄기가 있다. - 민바랭이새 :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번갈아 남. 긴 까락이 있다. - 큰듬성이삭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번갈아 남. 까락이 있다. - 나도바랭이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번갈아 남. 까락이 없다. 나도바랭이새 '18.10.8 hyunsik.tistory.com 큰듬성이삭새 열매 '22.10.23 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 열매 '22.10.23.. 2024. 1. 18.
큰개사탕수수 열매 (개사탕수수속) 학명은 Saccharum arundinaceum Retz. [비교] 큰개사탕수수, 개사탕수수 - 공통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지어 난다. - 큰개사탕수수 : 제1포영의 등 부분에 털이 많고 소수 기반의 털은 소수 길이와 같거나 짧다. - 개사탕수수 : 제1포영의 등 부분에 털이 없고 소수 기반의 털은 소수 보다 2~3배 더 길다. 큰개사탕수수 영과 '20.12.11 hyunsik.tistory.com 큰개사탕수수 '20.2.18 hyunsik.tistory.com '23.11.24 2023. 12. 25.
가는수크령 열매 (수크령속) 학명은 Pennisetum flaccidum Griseb.이고 외래식물. 수크령속은 소수의 기본구조에서 제1, 2소화가 있는데 제2소화는 양성화로 결실하고 제1소화는 퇴화하여 그 호영만이 남아 제2소화를 감싸고 있다. 강아지풀속, 좀물뚝새속, 주름조개풀속, 기장속, 피속, 참새피속, 바랭이속 등이 이에 속한다. --------------------------------------------------------------------------------------------------- 가는수크령의 소수 뭉치에는 자루가 없는 임성소수와 자루가 있는 불임성 소수 2~3개 있다. - 임성 소수 : 1개의 불임성소화가 들어 있다. - 불임성 소수 : 웅성으로 피침형 - 포영 : 제1포영은 없거나 미약하고, 제.. 2023. 11. 27.
민바랭이새 종자 (민바랭이새속) 학명은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이고 종소명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길가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 민바랭이새속에는 4종이 있는데 그 차이점이 아래와 같다. - 민바랭이새 :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길다. - 큰듬성이삭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있다. (나도바랭이새의 변종) - 나도바랭이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없다. - 산대잎바랭이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길다. 큰듬성이삭새 열매 '22.10.23 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 '15.9.6 / 완산군 민바랭이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07 http://blog.daum.. 2023. 11. 12.
그령 열매 (그령속) 학명은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이며 종소명 ferruginea는 '녹병(綠病)이 생긴 듯하다’는 의미의 라틴어로, 잎의 앞뒤 색깔이 서로 다른 데에서 유래한다. 길가, 빈터, 산지 주변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종은 작은이삭의 자루에 노란색으로 부푼 샘조직이 있고, 포영이나 호영의 맥에 샘점이 없으므로 한해살이풀인 참새그령과 좀새그령과 구별된다. '23.10.19 2023. 10. 27.
쇠보리 열매 (쇠보리속) 학명은 Ischaemum aristatum L. var. glaucum (Honda) T.Koyama 쇠보리속에는 쇠보리, 갯쇠보리, 참쇠보리(갯쇠보리 변종), 털들쇠보리 4종이 있고 국내 생태계 위해 우려종으로 지정된 서양쇠보리가 있다. 갯쇠보리에 비해 줄기의 마디에 털이 없고 소수에 털이 없으며, 호영의 까락은 포영길이와 같아 소수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는다 화서는 2개의 납작한 총으로 이루어지며 화서는 화축면이 서로 마주 붙어 하나의 원주형으로 보이며 털이 없다. 소수는 화축의 바깥쪽에 압착하며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짓는다. 장병소수는 2개의 웅성소화로 이루어지며 단병소수는 1개의 양성소화와 1개의 웅성소화가 있다. 단병소수 2개의 포영은 크기가 소수 길이와 같고 제1포영은 혁질, 제2포영은 .. 2023. 10. 27.
용수염 열매 (용수염속) 용수염 광릉용수염 비교 용수염 : 내영 용골이 밋밋하다. 소수 크기는 5mm 이하. 영과는 광릉용수염에 비해 작고 가늘다. 광릉용수염 : 내영 용골에 자모가 있어 꺼칠꺼칠하다. 소수 크기는 4~7mm [좌 : 용수염 / 우 : 광릉용 hyunsik.tistory.com 고려용수염 껍질용수염 영과 비교 [좌 : 껍질용수염 / 우 : 고려용수염] '19.8.17 hyunsik.tistory.com 광릉용수염 열매 내영은 2개의 맥이 용골부로 되어 있고 용골부에 자모가 있다. '23.8.31 hyunsik.tistory.com 고려용수염 영과 '19.8.17 hyunsik.tistory.com 용수염 (용수염속) 광릉용수염 영과 '16.8.21 / 태백 광릉용수염 영과 더보기 : 광릉용수염 보기 : http:.. 2023. 10. 21.
갯드렁새 열매 (갯드렁새속) 학명은 Diplachne fusca (L.) P.Beauv. ex Roem. & Schult. subsp. fascicularis (Lam.) P.M.Peterson & N.Snow이며 종소명 fusca는 '어두운 색깔을 띠는' 의미이다. 다년생의 외래식물. 동속인 좀갯드렁새(일년생)는 갯드렁새의 변종이며 소수, 포영 및 호영의 길이가 짧고 까락이 없어 구별된다. 유사종인 드렁새는 소수가 적자색이고 논에서 자라는 반면 갯드렁새는 바닷가 근처에 자라고 소수가 밝은색이며 호영 끝에 짧은 까락이 있다. 근연속과의 검색표 1. 일년생 또는 다년생으로 엽설은 길이 3-10(-15) ㎜이며, 예두 또는 찢어진 모양이다; 소수는 길이 5-12 ㎜이며, 소화는 5∼20개이다····················· 갯드렁.. 2023. 10. 18.
광릉용수염 열매 내영은 2개의 맥이 용골부로 되어 있고 용골부에 자모가 있다. '23.8.31 2023. 9. 4.
꼬리새 열매 '23.8.1 2023. 8. 8.
가을강아지풀 열매 제2포영은 소수보다 2/3~3/4 (강아지풀은 소수 길이와 같다) '23.8.1 2023. 8. 2.
큰조아재비 열매 '23.7.23 2023. 7. 31.
오리새 종자 '23.6.15 2023. 7. 20.
갈풀 열매, 종자(6.25) '23.6.25 2023. 7. 6.
새포아풀 열매 큰꾸러미풀과 비슷하지만 보다 작으며 화서의 가지에 잔돌기가 없고 포영에 잔톱니가 없으며 호영에 긴 털이 없는 것이 다르다. 큰꾸러미풀 열매 '22.5.18 hyunsik.tistory.com '23.5.25 2023. 7. 5.
청쌀새 열매 '23.5.25 2023. 7. 5.
호밀 열매 '23.6.11 2023. 6. 23.
진들피 종자 '23.5.14 2023. 6. 4.
참쌀새 열매 '23.5.21 2023. 5. 23.
개억새 열매 '23.2.21 2023. 2. 22.
드렁새 열매 '22.10.3 2023. 1. 12.
나도개피 열매 '22.7.14 2023. 1. 12.
쌀새 열매 '22.10.21 2023. 1. 10.
큰이삭풀 열매 '22.5.29 2023. 1. 7.
민바랭이새 열매 '22.10.23 2023. 1. 1.
나도바랭이 종자, 소수 '22.9.12 2022. 12. 20.
큰참새귀리 열매 '22.6.19 큰참새귀리 (Bromus secalinus L. 참새귀리속) 참새귀리는 엽초에 털이 있으나 큰참새귀리는 털이 없다. 또한 소화경이 큰참새귀리에 비해 짧다. '22.6.19 hyunsik.tistory.com 2022. 12. 17.
나도겨이삭 열매 '22.10.15 2022. 11. 23.
나도잔디 열매 '22.10.6 2022. 11. 18.
단망개밀 열매 '22.5.26 2022.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