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식물35 두메부추(8.11, 특산식물) 꽃대 단면 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는 부추속은 아래와 같으며-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 특산식물로 울릉도에 자생. 잎폭은 5-13mm-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 : 동해안에 자생. 잎폭은 4–10mm - 각시두메부추(Allium spurium G.Don) : 청량산에 자생. 잎폭은 1.5–4mm재배종으로는 푸른두메부추가 있다.[비교] 두메부추, 참두메부추 (사진 출처는 국립수목원 웹진, 2024년 9월호)두메부추 꽃(A~E)참두메부추 꽃(E~J)잎 단면화피편 색수술의 모양화경 단면* 화경의 날개는 참두메부추가 발달하고, 수술대 기부는 두메부추가 보다 넓다.* 두메부추는 울릉도 특산식물이고, 참두메부추는 강원도 동해 해안가 솔밭.. 2025. 3. 21. 섬노루귀 잎(10.16 /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섬노루귀 꽃(5.18)[기재문]학명은 Hepatica maxima Nakai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 사방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큰 것은 길이 8cm, 폭 15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3개hyunsik.tistory.com'20.10.16. 2022. 5. 12. 섬바디(10.16) '20.10.16 2022. 5. 11. 섬쑥부쟁이 꽃(10.17) [비교] 섬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자료 출처 : 국생종 종자정보, 한국의 들꽃, 한국특산식물도감)종명섬쑥부쟁이(=부지깽이나물)(Aster pseudoglehnii Y.S.Lim, 울릉도 특산식물)까실쑥부쟁이(Aster ageratoides Turcz.)분포울릉도, 포항 등 동해안전국 산지줄기잎 길이 ~20cm. 뒷면에 선점이 있고 엽연은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길이 ~14cm. 엽연은 비교적 고른 거치가 있다.꽃 지름 15mm. 혀꽃(백색)이 통꽃모음보다 작거나 비슷하다. 지름 20m. 혀꽃(하늘색)이 통꽃모음보다 길다.총포 통형이며 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녹색. 포편은 3~4열로 배열(한국의 들꽃) 외총포와 내총포 크기가 다르다.(한국특산식물도감) 계란모양이며 포편은 3줄로 배.. 2022. 5. 9. 섬시호 꽃(5.19) 섬시호 열매(7.2)등대시호 열매 (10.10 / 미나리과, 시호속)학명은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희귀멸종위기식물. 개시호 열매'22.10.27hyunsik.tistory.com 섬시호 열매'21.7.2hyunsik.tistory.com'23.10.10hyunsik.tistory.com 개시호 열매,hyunsik.tistory.com'14.5.19 2022. 3. 3. 분단나무 잎(5.18, 산분꽃나무속) [산분꽃나무속 특징] 수술이 5개[비교]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종명가막살나무(Viburnum dilatatum Thunb. ex Murray)산가막살나무(Viburnum wrightii Miq.)분포 주로 남부지역의 산지 전국의 높은 산지에 드믈게 자람잎 넓은 도란형 ~ 원형. 양면에 성상모가 있으며 특히 맥위에 밀생. 뒷면은 미세한 선점이 밀생하며 기부에는2~3개의 큰 선점이 있다. 넓은 도란형 ~ 도란형. 잎끝은 꼬리처럼 뾰족하다.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간혹 긴털이 있다. 뒷면 전체에 희미한 선점이 있다.열매 길이 7~8mm이며 종자는 6~7mm 길이 6~9mm이며 종자는 4~6mm겨울눈 길이는 3~5mm. 인편은 긴 털이 밀생. 길이는 5~7mm. 인편은 대개 털이 없으나 간혹 긴 털이 밀생... 2022. 3. 2. 섬남성 (5.18) [비교] 둥근잎천남성, 천남성, 점박이천남성* 둥근잎천남성 : 잎은 1장. 위경(줄기)는 잎자루 길이보다 짧고, 무늬가 없으며 잎 가장자리가 밋밋한 전연이다.* 천남성 : 둥근잎천남성의 아종이며 잎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점박이천남성 : 잎은 2장. 위경(줄기)는 잎자루 길이보다 길고, 위경(줄기)에 흑자색 점박이 무늬가 있다.[천남성속 검색표 1]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2017년, 김무열 저)1. 소엽은 3장. ----- 큰천남성 (A. ringens)1. 소엽은 5장 이상. 2. 육수화서의 끝은 채찍형. 3. 불염포는 자색. ----- 무늬천남성 (A. thunbergii / 해남, 완도) 3. 불염포는 녹색. ----- 두루미천남성 (A. heterophyllu.. 2022. 3. 1. 섬고사리, 포자낭군(5.18) '14.5.18. 2022. 2. 27. 섬피나무(5.17) [비교] 피나무, 뽕잎피나무종명피나무뽕잎피나무꽃3~20개씩 산방화서로 달린다.3~5개씩 취산화서로 달린다.포 길이5cm2~3cm열매가 달리는 잎 길이열매가 달리지 않는 잎과 같다?.3~4cm로 다른 잎보다 작다피나무 열매는 난형 또는 구형이며 표면에 성상모가 밀생한다. 섬피나무 : 잎 뒷면 맥겨드랑이에 백색 털이 밀생뽕잎피나무 : 꽃이 피는 줄기의 잎이 3cm 이하털피나무 : 잎 양면 전체에 흰색 긴털이 있다. => 피나무로 통합됨.* 피나무는 잎의 크기 및 털의 유무 및 종류, 열매의 모양에서 큰 폭의 변이가 있어 섬피나무, 뽕잎피나무 및 털피나무에 대해 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음.'14.5.17 2022. 2. 26. 두메오리나무(5.18 =>덤불오리나무) [오리나무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아린은 2~3개. 눈은 둔두. 2. 잎은 타원형이고 첨두이다. 3. 엽저는 설저. ----- 오리나무 3. 엽저는 원저. ----- 떡오리나무 2. 잎은 원형이고 원두이다. 3. 구과가 있는 잎은 8cm 이하. ----- 물오리나무 3. 구과가 있는 잎은 8cm 이상. ----- 수우물오리(물갬나무, 특산식물)1. 아린은 여러 개. 눈은 점첨두. 2. 측맥은 5~12쌍. 잎의 중앙이 가장 넓다. 3. 소지는 검은색. ----- 설령오리나무(덤불오리나무로 통합) 3. 소지는 갈색. 4. 털이 잎이면에 있다. 구과는 1.5cm 이하... 2022. 2. 26. 진퍼리고사리 (처녀고사리과, 진퍼리고사리속) [처녀고사리과의 속 검색표] = 관다발이 2개(개고사리과도 관다발이 2개) 1. 잎맥은 모두 유리한다. 2. 포막이 없다.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있고, 날개는 우편 사이에 연결되며, 포자낭군은 잎맥 위에 둥글게 붙는다. ----- 설설고사리속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없으며, 포자낭군은 잎맥을 따라 길게 붙는다. ----- 진퍼리고사리속 2. 포막이 있다. 4.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맥은 잎 가장자리까지 닿는다. 5. 잎맥은 대부분 Y자로 갈라지고, 잎 뒷면에 샘털이 없다. ----- 처녀고사리속 5. 잎맥은 단순하며, 대부분 잎 뒷면에 샘털이 있다. ----- 사다리고사리속 4.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맥은 잎 가장자리까지 닿지 않는다. 6. 잎몸은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2022. 2. 25. 섬남성(5.17) [비교] 둥근잎천남성, 천남성, 점박이천남성* 둥근잎천남성 : 잎은 1장. 위경(줄기)는 잎자루 길이보다 짧고, 무늬가 없으며 잎 가장자리가 밋밋한 전연이다.* 천남성 : 둥근잎천남성의 아종이며 잎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점박이천남성 : 잎은 2장. 위경(줄기)는 잎자루 길이보다 길고, 위경(줄기)에 흑자색 점박이 무늬가 있다.[천남성속 검색표 1]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2017년, 김무열 저)1. 소엽은 3장. ----- 큰천남성 (A. ringens)1. 소엽은 5장 이상. 2. 육수화서의 끝은 채찍형. 3. 불염포는 자색. ----- 무늬천남성 (A. thunbergii / 해남, 완도) 3. 불염포는 녹색. ----- 두루미천남성 (A. heterophyllu.. 2022. 2. 25. 우산제비꽃(5.17) '14.5.17. 2022. 2. 25. 섬단풍나무(10.16) '20.10.16. 2021. 4. 8. 굴거리나무 '20.10.17 2021. 4. 7. 공작고사리 (공작고사리속/10.15) [공작고사리속 종 검색표]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둥글다. ----- 암공작고사리(강원도 석회암지대)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부채모양으로 배열하고 우편은 삼각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2.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 또는 도삼각형이다. ----- 섬공작고사리(제주, 울릉도) 2. 잎몸은 부채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초승달 모양에서 긴타원형이다. ----- 공작고사리(제주, 울릉도, 경기, 강원)[기재문]학명은 Adiantum pedatum L. 산지 숲속에서 여러해살이풀 자라는 하록성 북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곧추서거나 옆으로 짧게 벋으며, 갈색의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잎자루는 길이 20~40cm, 적갈색으로 광택이 있다. 잎.. 2021. 4. 7. 넓은잎쥐오줌풀 '20.10.16 '20.10.17 2021. 4. 7. 해국 (10.16, 10.17 / 국화과, 참취속) [기재문]학명은 Aster spathulifolius Maxim.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과 샘털이 많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60cm, 아래쪽은 나무질이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모여나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잎몸은 주걱형 또는 도란형, 길이 3~20cm, 폭 1.5~5.5cm,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은 7~11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지름 3.5~4.0cm인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연한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길이 8~15mm, 모인꽃싸개 조각은 선형, 3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 우산털은 갈색이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참취속 식.. 2021. 4. 7. 새들깨(10.16, 10.17 / 꿀풀과, 소엽속) [특징]1. 잎 밑부분은 편평하고 흔히 톱니가 없다.2. 꽃은 백색 또는 연한 적자색이며 꽃부리는 길이 4~5mm이며 수술은 꽃부리 밖으로 나온다.3. 들깨에 비해 소형이며 줄기에 아래 방향으로 굽은 짧은 털이 있다.'20.10.16 '20.10.17 2021. 4. 6. 골고사리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기재문] 학명은 Asplenium komarovii Akasawa 희귀멸종위기식물이며 변산일엽이라고도 한다. 숲의 그늘진 곳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비스듬히 서고, 잎은 홑잎으로 모여난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고 갈색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비늘조각은 피침형이고 막질이며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털이 난다. 잎몸은 넓은 선형, 길이 15~50cm, 폭이 4∼10cm, 갈라지지 않고 가죽질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심장형, 좌우가 귓불처럼 벌어진다. 잎맥은 가늘고 Y자 모양으로 한두 번 갈라지며 끝이 가장자리 바로 밑까지 간다. 포자낭군은 선형이며, 측맥에 평행으로 2개씩 마주난다. 포막은 길이 7~25mm, 막질이다. '20.10... 2021. 4. 5. 큰두루미꽃 '20.10.16 2021. 1. 12. 왕밀사초(10.16) 밀사초(5.17) '23.5.17 hyunsik.tistory.com 왕밀사초 열매(7.2) '21.7.2 hyunsik.tistory.com '20.10.16 2021. 1. 11. 왕호장근(10.16) 왕호장근(10.15)왕호장근 열매, 종자(10.15)'20.10.15.hyunsik.tistory.com'20.10.15.hyunsik.tistory.com 왕호장근 열매, 종자(10.15)'20.10.15.hyunsik.tistory.com'20.10.16. 2020. 12. 31. 산고사리삼(10.17)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공통엽병)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 [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엽의 우편 끝은 예두이고, 열편의 톱니.. 2020. 11. 30. 왕호장근(10.15) 왕호장근(10.16)왕호장근(10.15)왕호장근 열매, 종자(10.15)'20.10.15.hyunsik.tistory.com'20.10.15.hyunsik.tistory.com 왕호장근 열매, 종자(10.15)'20.10.15.hyunsik.tistory.com'20.10.16.hyunsik.tistory.com 왕호장근 열매, 종자(10.15)'20.10.15.hyunsik.tistory.com'20.10.15. 2020. 11. 23. 미역고사리(10.15) [비교] 미역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종명 분포 키 포자낭군 위치 열편 미역고사리 울릉도 15~30cm 측열편 가장자리와 증륵 중간에 선상피침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 좀미역고사리 강원도, 경북 10~25cm 측열편 가장자리에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뭉뚝 좀미역고사리 (4.22) [비교] 미역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종명 분포 키 포자낭군 위치 열편 미역고사리 울릉도 15~30cm 측열편 가장자리와 증륵 중간에 선상피침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 좀미역고사리 강원도, 경북 10~25cm hyunsik.tistory.com '20.10.15 2020. 11. 13. 섬꼬리풀 신엽(10.17) '20.10.17. 2020. 11. 6. 일색고사리(10.16) [관중과의 속 검색표] 1. 포막은 둥근 방패형이고, 중앙에 부착점이 있다. 2. 잎맥은 규칙적으로 복잡한 그물맥을 이룬다. ----- 쇠고비속(관다발 6개) 2. 잎맥은 거의 유리맥이다. ----- 십자고사리속(관다발 3개) 1. 포막은 콩팥모양으로 중심부까지 갈라져서 그 아래 부착된다. 3. 소우편, 열편은 아래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쇠고사리속(관다발 5개) 3. 소우편, 열편은 위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관중속(관다발 7개) 속명 잎몸 잎맥 포막 쇠고비속 1회 우상 대부분 그물맥 둥근 방패형 십자고사리속 1~2회 대부분 유리맥 둥근 방패형 쇠고사리속 2~4회 우상 유리맥 콩팥모양 관중속 2~4회 우상 유리맥 콩팥모양 [기재문] 학명은 Arachniodes standishii (T.. 2020. 11. 4. 자리공 '14.5.16 / 울릉도 2015. 6. 8. 섬현삼 현삼속(Scrophularia L.)은 화관은 좌우상칭이며, 단지 모양의 순형화관을 가지고, 1개의 하부열편, 1쌍의 측열편과 1쌍의 상부열편으로 구성되며, 헛수술이 있고, 삭과는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으로 현삼과 내에서 근연속들과 구분되고 있다. [현삼속 비교] * 큰개현삼 : 전역 산지에 분포. 개화기는 7~9월이며 화서는 정단과 엽액에서 발달하고 꽃받침 열편은 짧고 끝이 둥근 난형 줄기에 털이 있고 7개 이상의 마디를 갖는다. * 일월토현삼 : 큰개현삼의 이명 * 섬현삼 : 울릉도 해안에만 분포하는 특산종. 개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없다. 줄기에 털이 없다. * 개현삼 : 동해안 속초 이북에 자생. 섬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있다. 줄기에 털이 없다. * 토현삼 : 특산종. 오대산 이.. 2015. 5. 1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