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차48

처녀바디 (8.16, 당귀속) [비교] 처녀바디, 흰바디나물, 잔잎바디, 흰꽃바디나물(바디나물의 흰꽃)종명처녀바디흰바디나물잔잎바디잎  근생엽은 1회 우상복엽, 3~9개의  깃조각. 우편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2~3회 우상복엽이며  3개씩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잎의 첫번째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린다.  근생엽은 2~3회 우상복엽이며  엽병이 길고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싼다.꽃총포는 없다총포는 가늘고 길다.수개열매납작한 타원형. 유관은 늑 사이에1~2개, 합생면에 4개구형에 가깝다.구형. 유관은 늑 사이에 3개,합생면에 8개* 줄기 윗부분의 잎자루가 원통형인 반면, 바디나물(흰꽃바디나물)은  잎자루가 부풀어 배가 불룩한 보트 모양임.[당귀속의 종 검색표] 출처는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 2023. 8. 30.
초록별꽃 (3.21, 별꽃속) [비교] 별꽃, 초록별꽃* 별꽃 : 수술이 1~7개, 줄기는 간혹 자주색, 잎 길이는 1~2cm, 씨앗의 돌기는 반구형* 초록별꽃 : 수술이 5~10개, 줄기는 담록색, 잎 길이는 1.5~2.5cm, 씨앗의 돌기는 원추형[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출처는 '미기록 외래식물 모래별꽃,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의 보고'(2023년)1. 암술이 5개이다. ----- 쇠별꽃(S. aquatica)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3. 화판의 열편이 많이 갈라진다. -----왕별꽃 (S. radians)        3. 화판이 2열한다.            4. 잎이 선형이다. ----- 실별꽃(S. filicaulis)           .. 2023. 4. 6.
초석삼, 뿌리(8.28) 재배식물.'17.8.28 2022. 2. 11.
청소엽 (9.25) '21.9.25 2021. 11. 28.
참시호 (9.24) [비교] 시호, 참시호종 명시호 (Bupleurum komarovianum Lincz.)참시호(Bupleurum scorzonerifolium Willd.)잎  근생엽은 길이 10-30cm, 경생엽은 넓은 선형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4-10cm, 폭 5-15mm. 엽맥은 7~9개  근생엽은 길이 10~20cm, 경생엽은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4~6cm, 폭 3~5mm. 엽맥은 3~5개.소산경  소산경은 2-7개. 소화경 길이는 2~3mm.  소산경은 4~11개 . 소화경 길이는 1~1.5mm.소총포  소총포는 길이 2.5-4mm이고 넓은 선형 또는 긴타원형.   소총포편은 꽃보다 짧고 선상 피침형.[기재문]근생엽은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10-30cm이다. 경생엽은 길고 선형이며 점첨두이고 .. 2021. 4. 20.
추산쑥부쟁이 (10.16) [기재문]해국과 섬쑥부쟁이와 교잡종. 한반도 특산종학명은 Aster chusanensis Y.S.Lim, J.O.Hyun, Y.D.Kim & H.C.Shin잎은 단엽으로 어긋나기하며, 근생엽은 꽃이 필때 시든다. 근생엽의 길이는 3.5~7cm로 길이 2~5cm 정도의 날개가 발달한다.엽신은 도란형, 넓은 난형으로 길이는 1~3.5cm, 폭은 1~2cm이다. 엽선은 예두, 엽저는 유저, 가장자리는 2~4쌍의 톱니가 있고 털이 밀생한다.경생엽은 길이 5~16cm, 잎자루 날개는 길이는 1.~5cm이고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1cm, 폭 3~7cm이다. 예두, 유저이고 6~10쌍의 톱니가 있다. 줄기의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2~6.5cm, 폭 0.6~3.5cm이.. 2021. 2. 27.
칠면초 (Suaeda japonica Makino) 잎은 어긋나기하고 육질이며 거꿀피침모양이거나 방망이 같고 길이 5-35mm, 폭 2-4mm. 꽃은 잡성으로서 8-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수꽃과 더불어 2-10개의 꽃대가 없는 꽃이 모여 달리고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자주색으로 변한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둥근 달걀모양이고 수술은 5개로서 꽃받침보다 짧으며 암술은 1개이고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높이 15-50cm이고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털이 없다. '19.11.13 / 전남 2019. 11. 18.
청비수리 (9.2) [비수리 근연종 비교]종명꽃꽃받침잎열매잎비수리  백색이고 기판  중앙부는 자주색 줄.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짐.털이 있고, 길이 3mm.꽃받침보다1.5~2배 긺.그물맥이 있음.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잔털이 있다. 그물맥이 불분명호비수리  연한 노랑색이고  기판 중앙부는  자주색 줄.   꽃받침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통부  보다 3배정도 긺.  각 열편 3~7개의          맥이 있음.길이 3~4mm, 폭 2~3mm 꽃받침보다 매우 짧고그물맥이 있음 잎 앞면은 털이 없거나 복모가 있음.    비수리보다 잎이 넓고 측맥     사이에 그물맥이 뚜렷청비수리(땅비수리 + 호비수리)  백색이고 기판  중앙부는 자주빛.  각 열편에 3~5맥이  있음.털이 있고, 길이 3mm.꽃받침보다.. 2019. 9. 13.
청피사초 (4.3) [기재문] 학명은 Carex macrandrolepsis H.Lév.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기고, 줄기는 모여나며, 높이 20~40cm이다. 잎은 너비 2~4mm이고, 줄기보다 길다. 아래쪽의 잎집은 진한 적갈색이고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꽃차례의 포는 잎 모양이고 잎집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가장 위의 이삭에는 수꽃만 달리고, 길이 1~3cm로 가는 원기둥형이며 대가 있다. 아래의 줄기 옆에 달리는 이삭은 암꽃으로만 구성되고 타원형으로 길이 1~2cm이다. 암꽃의 인편은 연한 녹색이고, 끝은 오목하고 가운데 맥은 까락으로 된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길고 맥이 없다. 과낭의 길이는 5~6mm이며 털이 있다. 부리는 길고 끝은 갈라진다. 열매는 5~6월.. 2018. 4. 22.
참제비고깔 (5.28) [기재문]학명은 Delphinium ornatum Bouche2해살이풀. 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고 장상으로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2-3회 갈라져서선형으로 되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잎이 작다. 꽃은 7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보통 암자색이나 연한 자주색, 연한 분홍색, 흰색도 있음.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크기가 다르고 뒤쪽의 가장 큰꽃받침조각의 밑부분의 길이 1.5cm정도의 거(距)로 된다. 꽃잎은 뒤쪽에 붙어 있으며 1개 뿐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밑부분이 합쳐져서 거(距)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편평하며 암술은 1개이다.열매는 골돌로서 긴 타원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참제비고.. 2017. 6. 10.
참바늘골 (바늘골속/5.21) [비교] 참바늘골, 바늘골 종명 생활형 줄기 굵기 소수 인편색 화피편 길이 암술대 기부(부속체) 길이 참바늘골 다년초 1mm 볏짚색 수과 길이와 같거나 약간 짧다 수과 길이의 1/4~1/3 바늘골 1년초 또는 짧게 사는 다년초 0.5~1mm 연한 갈색 수과의 약 1.5배 수과 길이의 1/4 * 갯바늘골 : 방추형의 괴경이 있고 수과와 암술대 기부에 부속체가 없으며 인천 강화도 바닷가에서 발견됨 * 원산바늘골 : 키가 5~10cm으로 작은 편이고, 소수에 인편이 배열되며 수과가 진한 올리브색으로 제주도 고지대 습지에 분포 [기재문] 학명은 Eleocharis attenuata for. laeviseta (Nakai) Hara 양지바른 습한 풀밭에서 자란다.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모여나고 곧게 서며, 옆으로.. 2017. 6. 5.
처진미꾸리광이 (4.28) [벼과 속 검색표]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산새풀속, 갈풀속, 향모속 등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1개 있다.             4.  한 개의 소수에 한개의 임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4.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임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 2017. 5. 18.
처진물봉선(10.9) '16.10.9. / 통영 2016. 10. 31.
참꽃받이 (6.26) 참꽃받이 열매, 종자(12.14)꽃받이 열매, 종자(5.4)꽃받이 신엽(2.16)'23.2.16hyunsik.tistory.com 꽃받이 꽃, 종자(5.6)'20.5.6.hyunsik.tistory.com 꽃받이 표본'12.6.24hyunsik.tistory.com'22.5.4hyunsik.tistory.com'22.12.14hyunsik.tistory.com                  '16.6.26. / 제천 2016. 10. 4.
칠보치마 (7.8) 학명은 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 칠보치마 신엽(4.19)'22.4.19hyunsik.tistory.com 칠보치마 열매, 종자(8.10)'21.8.10hyunsik.tistory.com                   '16.7.8 / 남해 2016. 8. 19.
참기생꽃 꽃(6.5) [기재문]학명은 Trientalis europaea L.이며 종소명 europaea는 '유럽지역'을 의미한다.높이 5-25cm이고 실같은 백색 기는줄기가 뻗으며 밑부분에 비늘 같은 잎이 달리고 끝부분에서 5-10개의 큰 잎이돌려나기상으로 돋는다. 높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 4~20cm, 전체에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지지않는다. 줄기 아래쪽 잎은 1~3개가 어긋나며 비늘처럼 작다. 줄기 위쪽에 5~10개의 잎이 모여나며, 잎자루는 짧거나거의 없다. 잎몸은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4cm, 폭 1.0~2.5cm다.꽃은 6~7월에 줄기 끝에서 1~2개가 피며, 꽃자루는 가늘고 길이 2~3cm다. 꽃부리는 5~9갈래로 갈라지며,지름 1.5cm쯤이고 흰색 또.. 2016. 7. 24.
천도미꾸리광이 (6.6) [벼과 속 검색표]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산새풀속, 갈풀속, 향모속 등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1개 있다.             4.  한 개의 소수에 한개의 임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4.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임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 2016. 7. 14.
청쌀새 (4.10)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갯보리속 등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쇠치기풀속 등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등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 2016. 4. 26.
천일담배풀 (6.25) [기재문]학명은 Carpesium glossophyllum Maxim.다년초.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꽃무늬처럼 지면으로 퍼지는 로제트형이고 도피침상 설형이며 길이 9~15cm, 폭 2.5~3.5cm로서 둥근 끝이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좁으며 잔돌기가 산생하고 양면에 털이 많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적으며 드물게 달리고 뿌리잎보다는 작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선상 피침형이다.8~10월에 개화하고 줄기나 가지 끝에 황록색 두상화가 1개 밑을 향해 달리며 피침형의 포영이 있고 총포는 각두형(殼斗形)이며 길이 6-8mm, 나비 8-15mm이고 포편은 외편이 짧으며 밖으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있으며 중편과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털.. 2015. 8. 27.
참마(7.26) [한국산 마속의 검색표]1. 지하부는 수직으로 뻗는 괴근이며, 주아가 형성되고, 수상화서이다.    2. 잎은 삼각형, 자화경은 지그재그형태로 발달하며, 열매의 너비는 16.6−17.9mm ----- 마     2. 잎은 좁은 삼각형, 자화경은 곧게 발달하며, 열매의 너비는 24.6−29.5mm. ----- 참마1. 지하부는 수평으로 뻗는 근경이며, 주아가 형성되지 않고, 총상화서이다.    3. 잎은 1−4쌍의 측열편이 갈라진다.        4. 엽병의 기부에는 다육성 돌기가 발달하고, 잎의 측열편은 둔두,            종자는 막질 날개의 중앙에 위치 한다. ----- 단풍마        4. 엽병의 기부에는 다육성 돌기가 발달하지 않고,            잎의 측열편은 예두, 종자는 막질 .. 2015. 1. 16.
참외 수꽃, 열매(9.30 / 박과, 오이속) [기재문]학명은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재배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굽은 털이 있다. 잎겨드랑이에 덩굴손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얕게 갈라진 손바닥 모양, 밑은 얕은 심장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다. 꽃은 6~7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수꽃과 암꽃이 구분되어 있으나 한 개체에 달리는 암수한포기이며, 꽃부리는 5갈래. 암꽃은 씨방 하위이고, 열매는 원주상 타원형이며 대개 황록색, 노란색으로 7~9월에 익는데 향기가 있고 단맛이 난다. 기본종에는 열매 형태에 따라서 많은 수의 변종과 품종이 있으며, 열매의 크기, 색 및 모양, 표면의 형태 및 질감, 내과피 색 등에 의해 구분한다.  참외 꽃(8.3)[기재문]학명은 Cucum.. 2014. 11. 8.
참배암차즈기(9.13) [기재문]학명은 Salvia chanryonica Nakai근생엽은 엽병의 길이가 17-19cm이며 엽신은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짧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아심장저이고 가장지리에 끝이 짧고 뾰족한 둥근 톱니가 있으며 길이 2.5-13cm, 나비 3-11cm로서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경생엽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엽병이 짧고 작으며 대생엽의 마디사이가 짧아져서 밑부분에 모여 달리는 경향이 있다.꽃은 8월에 피고 황색이며 양순형이고 길이 3cm정도로서 각 마디에 4-6개씩 수상으로 달리며 마디사이가 길고 포는 선형이며 작고 소화경은 길이 5-6mm로서 복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양순형이며 겉에 선상의 털과 더불어 털이 다소 있고 화관 겉에도 선상의 털이 다소 있으며 통부가 꽃받침.. 2014. 9. 21.
창갯능쟁이 (창명아주, 창갯는쟁이) '14.6.1 / 서쪽섬 창명아주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946 창명아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40 참명아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396 창갯는쟁이 보기 : 2014. 8. 29.
천일사초 (Carex scabrifolia Steud.) '14.6.2일 / 서쪽 섬 천일사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493 좀보리사초 열매 보기 : 큰천일사초 열매 보기 : 천일사초와 좀보리사초 비교 : 큰천일사초 보기 : 좀보리사초 보기 : 애기천일사초 보기 : 잎은 폭 1.5-2.5mm로서 편평하며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고 적자색에서 자주색으로 되며 그물처럼 갈라진다. 5~7월에 개화한다. 소수는 3~5개로서 윗부분의 2-3개는 수꽃이고 가깝게 붙어 있으며 길이 2-4cm로서 선형이고 자소수는 1-2개가 밑부분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고 곧추서며 길이 1-2cm이고 첫째 소수는 짧은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화경보다 길지만 끝부분의 것은 매우 작고 자화영은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5mm로서 끝이 뾰족하.. 2014. 6. 30.
촛대승마 꽃(9.7, 노루삼속) [기재문]학명은 Cimicifuga simplex (DC.) Turcz.이며 종소명 simplex는 '단생의, 단일의, 무분지의' 의미.잎은 호생하며 2-3회 3개씩 갈라지고 소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3-8cm, 폭 1.5-5cm로서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위에 털이 성글게 있다.꽃은 원줄기 끝에서 길이 20-30cm에 이르는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며 많은 백색꽃이 달리고 양성화와 수꽃이 있으며 백색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길이 4mm로서 타원형이며 꽃잎은 작고 끝이 밋밋하거나 얕게 2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많고 길이 10mm로서 백색이다. 자방.. 2013. 9. 26.
청포아풀 (Poa viridula Palib.) '12.8.19일 / 고령 청포아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84 좀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26 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349 왕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505 실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431 큰새포아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62 .. 2012. 9. 13.
청닭의난초 (7.19) [비교] 닭의난초, 청닭의난초 (출처 : 난과 식물도감, 저자 이남숙)- 닭의난초 : 식물체에 털이 없으며, 잎 가장자리와 맥에 유리상의 둥근 돌기가 있다.- 청닭의난초 : 식물체에 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와 맥에 유리상의 뾰족한 돌기가 있다.[기재문]학명은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줄기 밑부분에 달린 1-2개의 잎은 초상이고 그 위의 것은 난상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길이 7-12㎝, 나비 2-4㎝ 이고 가장자리와 맥위에 털같은 돌기가 있다.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에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다.포는 잎같고 꽃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반쯤 벌어지며 긴 난형이고 길이 1㎝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 2012. 8. 15.
참김의털 (Festuca ovina var. coreana (St.-Yves) St.-Yves) '12.6.2일 / 비슬산 사방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037 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28 큰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49 2012. 7. 10.
참삿갓사초 (Carex jaluensis Kom.) '12.6.6일 / 단양 참삿갓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29 참삿갓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22 삿갓사초 보기 : 무늬사초 보기 : 산꼬리사초 보기 : 2012. 6. 7.
참새외풀 (Lindernia antipoda (L.) Alston) '11.9.11 / 정읍 2011.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