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풀 열매, 종자(10.16)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없다). ----- 줄속, 벼속, 겨풀속 ..
2025. 2. 11.
나래새 열매, 종자(10.24)
참나래새와 제주나래새는 학명과 속명이 수정됨('23.7.12)[벼과 속 검색표] * 암수꽃이 따로 피고, 총포엽이 있는 옥수수속, 율무속, 대청가시풀속은 제외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수크령속, 잔디속, 밀속, 호밀속 등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모새달속, 나도개피속, 우산잔디속, 억새속 등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 강아지풀속, 뚝새풀속, 보리속 등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2025. 2. 10.
참새그령 전초, 열매, 종자(9.13)
좀새그령 종자는 참새그령보다 약간 가늘고 길어 보인다. [특징]1. 환상선(環狀腺)이 발달함 : 소화경 줄기, 줄기 마디 아래2. 선점이 있다 : 잎 가장자리, 포영 및 호영의 용골3. 엽설은 막질이 없고 털이 있다.[비교] 참새그령, 좀새그령종명참새그령좀새그령포영, 호영 용골의 선점 좀새그령보다 크고 많다참새그령보다 작고 적다소수 크기길이 5~20mm, 폭 2~3mm 길이 3~8mm, 폭 1.5~2mm 소화 개수10~40개3~16개1, 2포영의 크기비슷하다제1포영은 약 1.6 mm, 제2포영은 약 1.8 mm.엽설의 털줄지어 있다한줄이다.소수의 밀집소수의 자루가 짧아서 화서 전체가 소수로 꽉 찬 것처럼 보인다 소수의 자루는 참새그령보다 길어서화서 전체가 성기게 보인다. [벼과의 속 검색표]1...
2024. 12. 29.
갯보리 소수, 종자(7.31)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소수는 자루가 없다. ----- 염소풀속, 외대쇠치기아재비속,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2. 소수는 자루가 있다. 3.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3. 자루 끝에 소수가 달린다. 4. 소수 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4. 소수 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갯보리속(개밀류) 특징] : 소수는 여러 개의 소화가 2열로 배..
2024. 8. 7.
갯보리, 열매, 종자(7.17)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소수는 자루가 없다. ----- 염소풀속, 외대쇠치기아재비속,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2. 소수는 자루가 있다. 3.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3. 자루 끝에 소수가 달린다. 4. 소수 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4. 소수 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갯보리속(개밀류) 특징] : 소수는 여러 개의 소화가 2열로 배..
2024. 8. 7.
갈풀 소수, 소화, 열매, 종자(6.24)
[갈풀속의 특징]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2)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나래새속, 겨이삭속, 나도겨이삭속, 산새풀속 -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수는 1개뿐이다. 갈풀속, 향모속, 새속, 흰털새속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수는 2개 이상이다. 기장대풀속, 귀리속, 은털새속, 좀새풀속, 물대속3) 갈풀속에는 갈풀, 흰줄갈풀(갈풀의 변종), 카나리새풀(외래), 애기카나리새풀(외래), 날개카나리새풀(외래)가 있다.[갈풀의 특징]1) 다년생 식물로 습지에서 자란다.2) 긴 근경이 있어 무리지어 자란다. 3) 소수는 납작하고 2개의 포영은 같은 모양크기이며 상반부에 좁은 날개가 있다.4) ..
2024. 6. 26.
가는수크령 열매, 종자 (10.29,수크령속)
학명은 Pennisetum flaccidum Griseb.이고 외래식물.수크령속은 소수의 기본구조에서 제1, 2소화가 있는데 제2소화는 양성화로 결실하고제1소화는 퇴화하여 그 호영만이 남아 제2소화를 감싸고 있다.강아지풀속, 좀물뚝새속, 주름조개풀속, 기장속, 피속, 참새피속, 바랭이속 등이 이에 속한다.---------------------------------------------------------------------------------------------------가는수크령의 소수 뭉치에는 자루가 없는 임성소수와 자루가 있는 불임성 소수 2~3개 있다.- 임성 소수 : 1개의 불임성소화가 들어 있다.- 불임성 소수 : 웅성으로 피침형 - 포영 : 제1포영은 없거나 미약하고, 제2포영은 장타..
2023.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