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3

갯무 꽃(3.12) 갯무 신엽 갯무 열매(5.17) '21.5.17 hyunsik.tistory.com '24.3.12 hyunsik.tistory.com 갯무 열매, 종자(5.17) 갯무 꽃(3.12) '24.3.12 hyunsik.tistory.com '21.5.17 hyunsik.tistory.com '24.3.12 2024. 3. 26.
올괴불나무 꽃(3.11) '24.3.11 2024. 3. 23.
회양목 꽃(3.11) [비교] 회양목, 꽝꽝나무, 좀꽝꽝나무종명회양목꽝꽝나무(Ilex crenata Thunb.)좀꽝꽝나무(Ilex crenata var. microphyll)과속명회양목과, 회양목속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꽃암수한그루암수딴그루암수딴그루잎잎은 길이 12 ~ 17mm잎은 길이 15 ~ 30mm잎은 길이 8~14mm* 그 외에 원예종인 일본꽝꽝나무(콘벡사꽝꽝나무)가 있다.[회양목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잎 이면과 소지에 털이 있다.     2. 잎은 타원형. -----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2. 잎은 아원형. ----- 섬회양목(Buxus.. 2024. 3. 23.
차나무 꽃 차나무 (차나무과, 동백나무속) 학명은 Camellia sinensis L.이며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의' 의미.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2m이다.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로 두껍고,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5~9cm, 폭 2~4cm이며 가장자리 hyunsik.tistory.com '23.10.15 2024. 2. 27.
[꽃 비교] 보리밥나무, 큰보리장나무 (10.15) [보리수나무속 비교 그림](출처 : Analysis and evaluation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olymorphism in the hybridization of Elaeagnus ×maritima and E. ×submacrophylla, 2023년)보리장나무                 녹보리똥나무                    보리밥나무                  큰보리장나무          통영볼레나무주1. 녹보리똥나무는 보리장나무와 보리밥나무 잡종주2. 큰보리장나무(E. x submacrophylla Servett.)는 보리밥나무와 통영볼레나무(재배종) 잡종으로 통영에 분포.주3. 왕볼레나무(E. nikaii Nakai)는 큰보리장나무의 이명[보리수나.. 2024. 2. 27.
큰보리장나무 꽃(10.15) [보리수나무속 비교 그림](출처 : Analysis and evaluation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olymorphism in the hybridization of Elaeagnus ×maritima and E. ×submacrophylla, 2023년)보리장나무                 녹보리똥나무                    보리밥나무                  큰보리장나무          통영볼레나무주1. 녹보리똥나무는 보리장나무와 보리밥나무 잡종주2. 큰보리장나무(E. x submacrophylla Servett.)는 보리밥나무와 통영볼레나무(재배종) 잡종으로 통영에 분포.주3. 왕볼레나무(E. nikaii Nakai)는 큰보리장나무의 이명[보리수나.. 2024. 2. 27.
숫잔대 꽃 (초롱꽃과, 숫잔대속/10.7) 학명은 Lobelia sessilifolia Lamb.이며 종소명 sessilifolia는 `대가 없는 잎`의 뜻으로 잎에 엽병이 없음을 나타낸다. 강한 햇볕이 드는 계곡의 습지나 냇가 근처 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옆으로 눕는다. 줄기는 외대로 곧추서며 높이 4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조금 빽빽하게 달리고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길이 4~7cm, 폭 0.5~1.5cm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또는 드물게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자루는 5~12mm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깊게 갈라진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은 2갈래, 아랫.. 2024. 1. 18.
속단 꽃 (꿀풀과, 속단속/8.12) 꿀풀과 특징은 줄기가 네모지고 잎은 마주나며 꽃부리는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벌어진다. 반면, 잎이 마주나는 석죽과 특징은 줄기가 둥글고 암술은 1개이고, 삭과는 다수의 종자가 들어 있다. 학명은 Phlomis umbrosa Turcz.이며 종소명 umbrosa는 '음지를 좋아하는' 의미. 속단속에는 속단 이외에도 북부지역에 자생하는 큰속단과 산속단이 있다. [기재문]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상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큰 것은 길이 13cm, 나비 10cm 또는 그 이상되는 것도 있으나 위로 갈면서 작아지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피며 붉은빛이 돌고 윤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마주나기하여 전체가 큰 원뿔모양꽃차례로 되며.. 2023. 12. 5.
통영볼레나무 꽃 (10.15 /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 [보리수나무속 비교 그림](출처 : Analysis and evaluation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olymorphism in the hybridization of Elaeagnus ×maritima and E. ×submacrophylla, 2023년)보리장나무                 녹보리똥나무                    보리밥나무                  큰보리장나무          통영볼레나무주1. 녹보리똥나무는 보리장나무와 보리밥나무 잡종주2. 큰보리장나무(E. x submacrophylla Servett.)는 보리밥나무와 통영볼레나무(재배종) 잡종으로 통영에 분포.주3. 왕볼레나무(E. nikaii Nakai)는 큰보리장나무의 이명[보리수나.. 2023. 10. 28.
나제승마 꽃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미나리아재비과 특징은 꽃잎, 꽃받침, 암술, 수술이 떨어져 달린다. 학명은 Actaea austrokoreana (H.W.Lee & C.W.Park) Cubey이다. 숲 사면 또는 계곡을 따라 그늘지고 축축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 특산식물 잎은 대개 3장으로 줄기 아래쪽으로 발달하며, 작은잎은 23~29장으로 된 겹잎이다. 가운데 작은잎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7~10cm, 잎줄은 3개 있고, 잎줄 위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9월 중순~10월에 줄기 끝에 달려 아래로 휘는 10~20cm 길이의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잎은 1장, 수술은 18~27개, 암술은 1~3개이다. 꽃 색은 흰색이다. [촛대승마와 나제승마 비교] 1. 소화경 길이(나제승마가 짧다) - 촛대승마 : 4~8mm - 나제승마 : .. 2023. 10. 14.
[꽃 비교]쥐손이풀, 세잎쥐손이(9.1) [비교] 이질풀, 세잎쥐손이, 쥐손이풀종명이질풀세잎쥐손이쥐손이풀꽃색홍색, 홍자색 또는 백색연한 홍색연한 홍색꽃 크기지름 10~15mm지름 10~15mm지름 10mm화경의 샘털샘털이 있다.샘털이 없다.샘털이 없다.꽃받침의 샘털샘털이 있다.샘털이 없다.샘털이 없다.꽃이 달린 갯수 꽃줄기에 2개 달린다.꽃줄기에 보통 2개 달린다.꽃줄기에 보통 1개 달린다.경생옆의 갈라짐3~5갈래(흔히 흑색무늬가 있다)보통 3갈래보통 5갈래[좌 : 쥐손이풀 / 우 : 세잎쥐손이]23.9.1. 2023. 9. 2.
쥐손이풀 세잎쥐손이 꽃 비교 꽃잎은 세잎쥐손이(심장형)가 쥐손이풀(도란형)에 비해 보다 넓고 길다. 꽃잎의 진분홍색 줄무늬는 세잎쥐손이가 많다(세잎쥐손이는 5개, 쥐손이풀은 3개 정도) [좌 : 쥐손이풀 / 우 : 세잎쥐손이] '23.9.1 2023. 9. 2.
까마귀밥나무 꽃(4.16) '23.4.16 2023. 8. 10.
팽나무 양성화(4.15) [느릅나무과 잎의 특징]1. 잎은 어긋난다.2.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발달3. 잎 밑부분은 좌우비대칭(이저)이고 쐐기형의 경향이 있다.4. 맥이 많으며 잎 끝이 뾰족하다(참느릅나무 제외)5. 잎질이 딱딱하고 억센 느낌이다.참고) 자작나무과 잎의 밑부분은 원저 또는 심장저의 경향이 있다.[비교] 팽나무속, 푸조나무속- 팽나무속 : 수꽃은 가지 아래쪽에, 양성화는 가지 끝쪽에 달린다. 잎은 좌우비대칭이고 잎맥이 거치에 도달하지 못한다.                    핵은 그물 같은 무늬가 있다.- 푸조나무속 : 수꽃은 가지 아래쪽에, 암꽃은 가지 끝쪽에 달린다. 잎은 대칭이고 잎맥이 거치에 도달한다.                        핵은 그물 같은 무늬가 없다.[비교] 팽나무속, 푸조나무속의 잎.. 2023. 8. 10.
나도송이풀 꽃, 열매(10.21) '21.10.21 2023. 8. 9.
융단사초 꽃, 근경 '23.4.26 2023. 7. 25.
별꽃 종자 및 꽃(4.16) [비교] 별꽃, 초록별꽃* 별꽃 : 수술이 1~7개, 줄기는 간혹 자주색, 잎 길이는 1~2cm, 씨앗의 돌기는 반구형* 초록별꽃 : 수술이 5~10개, 줄기는 담록색, 잎 길이는 1.5~2.5cm, 씨앗의 돌기는 원추형[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출처는 '미기록 외래식물 모래별꽃,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의 보고'(2023년)1. 암술이 5개이다. ----- 쇠별꽃(S. aquatica)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3. 화판의 열편이 많이 갈라진다. -----왕별꽃 (S. radians)        3. 화판이 2열한다.            4. 잎이 선형이다. ----- 실별꽃(S. filicaulis)           .. 2023. 7. 24.
나도물통이 꽃 '23.4.16 2023. 7. 24.
야광나무 꽃(4.20) 게시된 사진에는 꽃받침통과 열편에 털이 없다. [비교] 아그배나무, 야광나무종 명아그배나무야광나무꽃의 지름 2~3cm 3~3.5cm수술의 길이꽃잎 크기와 비슷꽃잎의 1/2 정도잎어린 잎은 결각이 있고 엽저는 대칭.결각이 없으며 엽저가 비대칭.엽병 길이1~2.5cm2~5cm탁엽 길이4~6mm3mm꽃받침통과 열편열편에 털이 밀생.꽃받침통과 열편 모두 털이 밀생.종자 길이2.5~3mm이며 내과피에 싸여 있다3~5mm이며 내과피에 싸여 있다사과나무속 : 야광나무섬개야광나무속 : 섬개야광나무, 둥근잎개야광(=개야광나무, 삼척시 덕항산에 자생) [기재문]학명은 Malus baccata Borkh.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 ~ 10c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잔.. 2023. 7. 24.
범부채 꽃, 열매(7.22 / 붓꽃과, 붓꽃속) 학명 Iris domestica (L.) Goldblatt & Mabb.이며 종소명 domestica는 '국내의', '재배하는' 의미이며 희귀멸종위기 식물.삭과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3cm 정도이고 종자는 검은색에 윤기가 난다. 애기범부채(7.29, 몬트부레치아, 애기범부채속)학명은 Crocosmia X Crocosmiiflora (Lemoine) N.E.Br               '17.7.29 / 거문도hyunsik.tistory.com 범부채 열매, 종자 (9.13 / 붓꽃과, 붓꽃속)학명 Iris domestica (L.) Goldblatt & Mabb.이며 종소명 domestica는 '국내의', '재배하는' 의미이며 희귀멸종위기 식물이다. 삭과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3cm 정도이고 종.. 2023. 7. 24.
쥐방울덩굴 꽃(쥐방울덩굴과, 7.7) '22.7.7 2023. 7. 20.
패랭이아재비 꽃(6.15) '23.6.15 2023. 6. 30.
때죽나무 꽃(5.3) [때죽나무속 종 검색표]1. 잎은 난형에서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2-8cm이고, 잎 이면은 연녹색이다. -----때죽나무 (S. japonicuse)1. 잎은 난형에서 난상 원형에서 아원형이며, 길이 10-20cm이고, 잎 이면은 성상모가 밀생한다.     2. 잎의 선단은 얕은 치아상이며, 화관의 판통은 판연보다 짧다. ----- 쪽동백나무 (S. obassia)     2. 잎의 선단은 높고 불규칙한 치아상이며, 화관의 판통은 판연보다 길다. ----- 좀쪽동백나무(S. shiraianus)* 좀쪽동백나무는  전체에 별 모양의 털이 밀생하며 지리산에 분포한다. 때죽나무 겨울눈 (12.20, 2.7 /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학명은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이며 종소명.. 2023. 6. 27.
까락구주개밀 꽃 '23.6.25 2023. 6. 26.
구주개밀 꽃(6.25) '23.6.25 2023. 6. 26.
참죽나무 꽃(6.16) [비교] 가중나무(가죽나무), 참죽나무종명과속명잎성별가중나무(가죽나무)소태나무과 가중나무속홀수 우상복엽, 소엽은 6~13쌍암수딴그루참죽나무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짝수 우상복엽, 소엽은 5~9쌍암수한그루  참죽나무 열매, 종자(1.28)[비교] 가중나무(가죽나무), 참죽나무종명과속명잎성별가중나무(가죽나무)소태나무과 가중나무속홀수 우상복엽, 소엽은 6~13쌍암수딴그루참죽나무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짝수 우상복엽, 소hyunsik.tistory.com'23.6.16 2023. 6. 21.
자두 열매, 잎 '23.6.16 자두나무 꽃 '23.3.25 hyunsik.tistory.com 2023. 6. 17.
박쥐나무 꽃(6.6) [비교] 박쥐나무, 단풍박쥐나무 (출처 : 한반도 수목지 10)종명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단풍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잎의 열편 3∼5 개이고, 천열잎의 열편은 3∼5개이고, 중열꽃화서당 1~5개가 달린다.화서당 1~3개가 달린다.소화경 길이길이 5.3∼19.9 mm길이 5.4∼9.9mm수술대 길이3.5∼9.6 mm3.6∼6.6 mm암술대 길이1.8∼3 cm1.3∼2 cm꽃받침 열편 길이0.6∼1 mm 0.5∼0.6 mm분포지전역전남, 경남, 제주의 산지 단풍박쥐나무, 박쥐나무 잎 비교 (9.4)[비교] 박쥐나무, 단풍박쥐나무 (출처 : 한반도 수목지 10)종명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 2023. 6. 9.
전호아재비 꽃(5.15) 전호아재비 신엽(4.13)'22.4.13hyunsik.tistory.com 전호아재비(4.20)'19.4.20hyunsik.tistory.com 전호아재비 꽃(4.22)'19.4.22hyunsik.tistory.com'23.5.15. 2023. 6. 4.
섬오갈피나무 암꽃(6.1) [오갈피나무속 종 검색표] 출처 :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심피가 5개     2. 양성화. 화주는 1개.  ----------------------------------------  가시오갈피나무     2. 자웅이주. 화주는 5개.  -------------------------------------  오가나무1. 심피가 2개     2. 자웅이주. 화서가 전년지에 생긴다.  --------------------  섬오갈피나무     2. 양성화. 화서가 금년지에 생긴다.         3. 소화경은 1.2mm로 거의 없다.  -----------------------  오갈피나무         3. 소화경은 6.5mm이다.               4. 잎 이면의 중륵과 2차맥에.. 2023.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