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나103

넓은잎기린초(7.11) [특징]1. 잎이 마주난다.(기재문에는 마주나거나 어긋난다)2. 잎 모양은 도란형~넓은 도란형이다.3. 근연종에 비해 키가 작다.[한국산 기린초속의 종 검색표]출처 : '외부형태 형질에 근거한 한국산 돌나물과내 돌나물속과 기린초속의 분류학적 고찰'(2020년)1. 지상부는 20㎝이상이며, 취산화서에 꽃이 10개 초과로 달린다.    2. 줄기는 1-2개가 뿌리에서 나온다. 줄기 상부에서 가지는 간혹 5개 이상으로 갈라진다. ----- 가는기린초    2. 줄기는 3개 이상 뿌리에서 나온다.        3. 지상부는 월동하지 않는다. 절간(마디간 거리)의 길이가 잎의 길이와 같거나 길다.            잎의 기부는 유저이며, 꽃잎은 장타원형 혹은 피침형이다. ----- 기린초            (.. 2025. 3. 20.
난쟁이현호색(5.2) '현호색속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에 의하면 탐라현호색은한라산 저지대 수림하에서 자생. 인편엽에서 4~6개의 줄기가 나와 사방으로 기다가 높이 9~19cm의 지상부를 형성.잎은 2~3회 3출엽이며 소엽은 원형, 코스모스잎형, 댓잎형 등 엽형의 변이가 심하다. 꽃은 4~12개가 길이 5~12cm 총상화서를 형성하는데 화서에는 털이 밀생. 포는 길이 3~10mm, 폭3~6mm인장상형으로 선단이 깊고 잘게 갈라진다.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으로 배주가 2열로 배열.난장이현호색은경기도 현등산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인편엽 기부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4~23cm의 지상부를 형성. 잎은 3출엽 또는 2회3출엽.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 등 형태적인 변이가 심하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나 백색 반점이 .. 2025. 1. 1.
나도털이슬(8.3) [털이슬속 특징]- 꽃받침 조각과 꽃잎이 2개이다.- 꽃은 총상꽃차례이며 암술이 1개,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갈고리같은 털이 밀생한다.[털이슬속 비교]1. 꽃잎이 흰색, 꽃받침이 녹색 : 털이슬, 쇠털이슬 - 털이슬 : 잎저가 원형모양, 열매는 세로홈이 뚜렷하다. 줄기는 밑을 향한 부드러운 털이 있다. - 쇠털이슬 : 잎저가 심장모양, 열매는 세로홈이 뚜렷하지 않다. 줄기 전체에 긴 털과 짧은 샘털이 많이 난다.                      꽃줄기와 꽃자루에 짧은 샘털이 빽빽하게 난다.2. 꽃받침이 붉은색 : 말털이슬, 붉은털이슬, 개털이슬, 쥐털이슬 - 말털이슬 : 꽃잎은 흰색, 꽃자루와 꽃차례에 샘털이 많다. 열매는 세로홈이 있다. 줄기는 털이 없다. - 푸른말털이슬 : 줄기는 털이 없.. 2024. 8. 13.
나도씨눈란(7.31, 씨눈난초속) [비교] 나도씨눈란, 씨눈난초종명 나도씨눈란(H. monorchis) 씨눈난초(H. lanceum var. longicrure) 잎 2~3장이며 긴타원형. 길이 8~10cm.3~5장이며 피침형. 길이 4~22cm.곁꽃잎 크기꽃받침보다 길다.꽃받침보다 짧다.입술꽃잎가운데 갈래는 곁갈래보다 매우 길다.가운데 갈래는 곁갈래보다 매우 짧다분포강원, 전남 지리산강원, 경기, 경북, 경남 가야산, 전남 지리산, 제주[기재문]희귀멸종위기식물.학명은 Herminium monorchis (L.) R.A.Br이며 종소명  monorchis는 하나(mono)와 난초(orchis)의 합성어로 땅속에 육질로 된 구근이 지난해의 구근에서 하나가 덜어져나오는데서 유래.고산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둥글게 굵어지.. 2024. 8. 8.
나도딸기광이(나도딸기광이속, 7.31) [특징]1. 화서가 심하게 늘어진다.2. 소수는 겨이삭속처럼 포영속에 소화가 매몰되며 1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형태가 비슷한 왕미꾸리광이는 미꾸리광이속이며 4~7개의 소화가 있다.     겨이삭의 소수는 퉁퉁하나, 나도딸기광이속은 납작하다3. 제1, 2포영의 길이는 같다.4. 식물체는 1.6m까지 자란다.[속 검색표]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2-2.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나도기름새속        2-3. 한개의 무병소수와 2개의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 2024. 8. 6.
날개하늘나리(7.4) 잎은 참나리를 닮았고 줄기는 능각이 발달함.[기재문]학명은 Lilium pensylvanicum Ker Gawl.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해발 1,400m의 높은 산 능선부에서 생육하며 7~8월 위를 향하는 꽃이 핀다. 줄기에 날개 모양의 종선이 있다. 우리나라 강원도 일대에 주로 분포하며,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기종(EN)으로 평가되어 있다. 높이는 20~90cm이다. 비늘줄기는 지름이 3~5cm인데 중앙 윗부분에 환절이 있으며 여기에서 가지가 옆으로 뻗는다. 원줄기에 날개 모양의 종선이 있고 능선 위에는 보통 잔돌기가 있다. 잎은 피침형으로 3~5개의 잎맥은 가장자리와 더불어 잔돌기가 있으며 잎자루 없이 어긋나게 달린다. 꽃은 1~6개가 원줄기 끝에 산형으로 위를 향해 달.. 2024. 7. 17.
넓은잎피사초(5.23) 중부지방 고산의 활엽수림 아래 축축한 곳에 서식한다.근경은 길게 뻗으며 목질화되고, 줄기는 측생하며 30~45cm이고 눌린 삼릉형이다. 줄기 아래쪽은 갈색 엽초로 싸이는데 엽초는 약간 섬유상으로 갈라진다.잎 너비는 6~8mm.소수는 2~3개로 떨어져 달리며 꽃은 성글게 달리고 자루는 포엽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자인편은 연한 쇠갈색으로 3맥이 있고 중앙맥은 짧은 까락으로 이어진다.과낭은 황록색으로 자인편보다 길고, 비스듬히 서며 도란상 타원형이다.피사초는 북부지방 초원지대에 자라며 실피사초(피사초의 변종)와 유사하나 근경이 없다. 실피사초(4.8)높은 산 초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학명은 Carex longerostrata var. pallida (Kitag.) Ohwi.이다북부지방 높은산 초원지대.. 2024. 5. 28.
녹빛실사초(3.14) [기재문] 학명은 Carex pisiformis Boott var. sikokiana (Franch. & Sav.) T.Koyama 잎은 나비 2㎜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거나 작은 잎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붉은 광채가 있고 갈라지지 않는다. 소수는 3-5개가 서며 정소수는 수꽃으로서 길이 1-3cm이고, 측소수는 암꽃이며 원주형이고 길이 1.5-4cm로서 짧은 대가 있다. 포는 잎같으며 소수보다 길고 밑부분이 통같으며 자화영은 도란형으로서 흔히 붉은빛이 돌고 끝이 둥글지만 까락끝으로 된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굵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길이 2.5-3mm로서 둔하게 세모진 도란형이고 부리의 양쪽 가장자리가 약간 거칠며 끝이 얕게 갈라짐.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고 도란형이며 .. 2024. 3. 25.
나제승마 (9.4/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숲 사면 또는 계곡을 따라 그늘지고 축축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 특산식물잎은 대개 3장으로 줄기 아래쪽으로 발달하며, 작은잎은 23~29장으로 된 겹잎이다. 가운데 작은잎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7~10cm, 잎줄은 3개 있고, 잎줄 위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9월 중순~10월에 줄기 끝에 달려 아래로 휘는 10~20cm 길이의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잎은 1장, 수술은 18~27개, 암술은 1~3개이다. 꽃 색은 흰색이다. 촛대승마 : 소화경(4~8mm)이 길다 / 나제승마 : 소화경(1.0~2.5mm)이 짧다 크기 60 - 200 cm; 소엽수 19 - 68; 소엽의 윗표면 무모; 화서축은 직립; 소포는 소화경의 기부에 있다 ------------------ 촛대승마 크기 40 - 80 cm;.. 2023. 9. 4.
노루참나물 (8.22, 참나물속) '23.8.22 2023. 8. 29.
남개연꽃 (8.6 / 수련과, 개연꽃속) 학명은 Nuphar pumilum var. ozeense (Miki) Hara으로 왜개연꽃의 변종으로 꽃의 암술머리가 붉은색이 남.성숙된 잎은 길이 8~12cm, 폭 7~8cm 정도의 장 타원형이고, 미요두이며, 기부는 전저이며, 둘로 갈라진 열편의 기부는 좁아진다. 표면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에 털이 있다. 엽병은 속이 차 있다.꽃은 7~9월에 정생하고, 직경 2~3cm정도의 컵 모양이며, 5개의 꽃받침은 광택이 있는 황색이고, 끝은 둥글고 기부는 좁아진다. 꽃잎은 여러장으로 꽃받침보다 작고, 길이 5~6mm 정도의 직사각형이며, 연한 황색이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7~9mm, 약은 3mm 정도이다. 암술머리는 8개이고, 붉은 색이며, 암술머리반 직경은 8mm 정도이다. [비교] 남개연꽃, .. 2023. 8. 6.
남개구리밥 (11.5, 분개구리밥속) 분개구리밥속 식물의 특징은 가장 작은 꽃을 피우는식물체이며 엽상체에 뿌리가 없다.우리나라는 분개구리밥속에 남개구리밥(Wolffia globosa)과 분개구리밥(Wolffia arrhiza (L.) Wimm.)  2종이 있으나 유럽에서는 2종 이외에  W. australiana와 W. columbiana 총 4종이 있다. [개구리밥과 속 비교표]구분개구리밥속분개구리밥속좀개구리밥속뿌리5~12개 없다1개해당 종 개구리밥, 점개구리밥분개구리밥, 남개구리밥좀개구리밥, 나도좀개구리밥,동아좀개구리밥[유럽의 Wolffia(분개구리밥속) 식별 키]1. 엽상체는 너비보다 길이가 1.3-2.5 배, 깊이가 너비보다 1.5-3.0배 더 크며, 가장 넓은 너비는 수면에 있다.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가 거의 보.. 2023. 7. 19.
나도미국타래사초(6.22) [괭이사초아속의 하위 분류군 검색표]출처 : 나도미국타래사초, 줄무늬미국타래사초 논문(2024년 식물분류학회)1. 소수의 맨끝의 화총(Spike)은 자웅성(gynecandrous)이고, 측화총은 자웅성이거나 웅자성. ----- 타래사초절1. 소수의 맨끝의 화총은 웅자성(androgynous)이고, 측화총은 웅자성, 수꽃이거나 자웅성.    2. 과낭(Perigynia)은 대부분 폭보다 2배이상 길고 밑부분이 가장 넓다. ----- 양덕사초절    2. 과낭은 대부분 폭보다 2배이하 길고 가운데 부분이 가장 넓다.        3. 화서(Inflorescences)는 보통 분지하며, 적어도 기부에서는 보통 15개 이상의 화총이 있다.             암꽃 인편은 노랗거나 갈색이다. ----- 나도미국.. 2023. 6. 23.
나제승마 (숙은촛대승마) 신엽 숙은촛대승마라 불렸음. '23.4.30 2023. 5. 1.
넓은잔대 (10.13, 초롱꽃과, 잔대속) 학명은 Adenophora divaricata Franch. & Sav.이며 종소명 divaricata는 '넓게 분지하는' 의미[잔대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잎은 심장형. 엽병 길이는 2cm 이상    2. 꽃은 3.5~4cm. 화관의 길이가 폭과 같거나 짧다.  -----  도라지모시대(A. grandiflora Nakai, 강원도)    2. 꽃은 3.5cm 이하. 화관의 길이가 폭보다 길다.        3. 선체(밀반)는 원통형. 꽃은 엉성하게 달린다.            4. 악통에 털이 없다.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전국)            4. 악통에 털이 있다.  ----- 그늘모시대(A. remotiflora var.. 2023. 1. 27.
눈비녀골풀 (7.28) [뿌리]1. 지하경이 짧고 불분명한 종류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 눈비녀골풀2. 지하경 절간이 긴 종류 : 비녀골풀3. 포복경과 식아가 발달하는 종류 : 청비녀골풀[잎의 격막]1. 단관질, 완전 격막형 : 눈비녀골풀, 비녀골풀, 청비녀골풀2. 다관질, 불완전 격막형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종 검색표1] 출처 : 한국식물도해도감1. 줄기는 납작하고, 날개가 있다. 잎은 납작하고, 다관질에 불완전 격말을 각는다.    2. 수술은 6개이며, 밀집화는 컵모양이다. ----- 날개골풀    2. 수술은 3개이며, 밀집화는 별모양이다.         3. 줄기는 너비 2.2~2.9mm이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위로 향한다. 잎은 너비 2.5~2.7mm.             삭과는 화.. 2022. 9. 25.
나도어저귀 (아욱과, 나도어저귀속 / Anoda cristata) '22.8.20 2022. 9. 16.
나도송이고랭이 (6.30) [비교] 세모고랭이, 송이고랭이, 좀송이고랭이종명세모고랭이(S. triqueter)송이고랭이(S. triangulata)좀송이고랭이(S. mucronata)줄기단생한다.총생한다.총생한다.지하경길다짧다짧다.화서가지가 있다.가지가 없다가지가 없다.소수길이 6~12mm, 둔두길이 10~20mm, 예두길이 6~12mm, 둔두인편길이3~4mm3.8~5mm3~3.6mm주1. 나래송이고랭이(Schoenoplectiella mucronata)는 좀송이고랭이 줄기 능선에 날개가 발달주2. 나도송이고랭이(Schoenoplectiella×trapezoidea (Koidz.) J.Jung & H.K.Choi)는 좀올챙이골과 송이고랭이의       잡종으로 여겨진다.  줄기 단면은 4-5각형이고 면의 너비는 각각 다른 부정형이.. 2022. 9. 11.
노랑선씀바귀 (4.29) '22.4.29 2022. 8. 4.
노랑할미꽃 (Pulsatilla koreana for. flava (Y.N.Lee) W.T.Lee) '22.4.10 / 식재 2022. 7. 1.
나도미국외풀 (8.4) => 미국외풀 학명은 Lindernia. dubia subsp. major (Pursh) Pennell이고 미국외풀의 아종.미국외풀에 비해 잎의 거치가 미약하다.'19.8.4 2022. 3. 27.
노랑꽃창포 (5.12) [붓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외화피에 장식털이 없다.     2. 화경은 차상으로 분지한다. ----- 대청부채(Iris dichotoma Pall.)    2. 화경은 분지하지 않는다.        3. 내화피가 인편으로 퇴화했다. -----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3. 내화피가 있다.            4. 잎은 뒤틀려있다. ----- 타래붓꽃(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4. 잎은 반듯하다.                 5. 꽃은 꽃대에 3~4개. 식물체는 60~150cm 이다.                     6. 꽃은 자주색이다.      .. 2022. 3. 6.
노간주비짜루 (6.25, 백합과 비짜루속) [비짜루속 검색표] 출처는 한국산 비짜루속 식물의 분류학적 고찰 논문(2012년)1. 엽상지가(잎처럼 생긴 가지) 곧음    2 .꽃자루 길이가 8.1mm 이상. 열매 크기는 8~10mm ----- 방울비짜루    2. 꽃자루 길이가 7.1mm 이하. 열매 크기는 5~8mm ----- 망적천문동1. 엽상지가 낫처럼 휨    3. 꽃자루 길이가  3.0~6.8mm. 암꽃의 화피편은 밖으로 휨 ----- 천문동    3. 꽃자루 길이가  0.6~2.7mm. 암꽃의 화피편은 곧음        4. 꽃자루 길이가 약 0.87mm. ----- 비짜루        4. 꽃자루 길이가 약 1.61mm. ----- 노간주비짜루(비짜루와 유사하나 꽃자루가 2배 길다)[마디당 엽상지의 수]방울비짜루망적천문동천문동비짜루노간.. 2022. 2. 3.
넓은김의털 (6.9) 엽초부는 무모이며 엽설 가장자리에 가는 털이 있다.화서의 가지는 마디에서 1개이고 소수는 4~6개가 달리며드물게 가지가 2개가 달리는 경우 짧은 가지에 소수가 1~3개가 달린다.[김의털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벼과(2011년)1. 1년생으로 근경이 없다.    2. 호영은 긴 털이 없다. ----- 들묵색(들묵새속으로 변경)    2. 호영은 위쪽에 긴 털이 있다. ----- 큰묵새(들묵새속으로 변경)1. 다년생으로 근경이 있다.    3. 잎 폭이 0.5~3.0mm로 가늘다.         4. 잎은 아래쪽의 폭이 좁은 잎과 위쪽의 폭이 넓은 잎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사방김의털         4. 잎은 폭이 3mm이하로 같은 모양의 잎을 갖는다.             .. 2021. 4. 23.
넓은잎갯돌나물(8.23) [돌나물속의 종 검색표1] 출처 : "자생 미기록종 돌나물과 서산돌나물 분포 보고"(2024년)1. 잎은 불임 줄기에서 윤생한다.(영양엽은 윤생한다)    2. 잎은 불임 줄기에서 3윤생, 난상 타원형~장타원형 ----- 돌나물(S. sarmentosum)    2. 잎은 불임 줄기에서 4 또는 5윤생, 상부는 주걱형 ----- 잎꽃돌나물(S. kiangnanense, 홍도)1. 잎은 불임 줄기에서 대생 또는 호생한다.(영양엽은 대생 또는 호생한다)    3. 잎은 주걱모양이고 도란형 또는 아구형이고 편평하다.        4. 주아가 보통 엽액에 달린다. ----- 말똥비름(S. bulbiferum)        4. 주아가 엽액에 없다.            5. 잎은 대생. ----- 둥근잎비름(S... 2020. 9. 13.
남해분취(특산식물), 뿌리(6.23)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 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 함백취, 서울분취, 백운취가 있으나, 극형, 전형의 잎은 남해분취만의 특징.백운취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전남 광양군 백운산 억불봉(1,008m) 근처 암석지 사이에서 발견됨.논문 바탕으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비교] 분취, 은분취, 백운취, 남해분취 출처 .. 2020. 8. 29.
남구절초 (11.21) [구절초속 비교]* 가는잎구절초 : 산구절초로 통합* 바위구절초 : 북부지방의 높은 산에 자생하며 전체에 회색 털이 있다.* 포천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주로 강변에서 자라며 산구절초에 비해 잎이 보다 잘게 갈라지며 줄기에 털이 없다.* 산구절초 : 산에 자라며 줄기에 누운 털이 있다.* 한라구절초 : 한라산에 자라며 잎에 광택이 있다.* 남구절초 : 남쪽 섬에 자라며 잎이 두껍고  넓은 난형이며 표면에 윤택이 있고 잎끝 부분은 얕게 갈라진다.* 울릉국화 : 울릉도 해안가 주변에서 자라며 잎은 깊게 비교적 가늘게 갈라지고 갈래는 피침형으로 두껍고                    광채가 나며  땅속줄기가 있다.                           '19.11.21 / 경남구절초 보기 : h.. 2020. 1. 7.
털넓은잎꼬리풀, 열매 (9.18) => 넓은잎꼬리풀 [기재문]학명은 Pseudolysimachion kiusianum (Furumi) Holub 남산 및 무등산에서 자라고 주로 금강산 이북에 분포한다.잎은 대생하며 삼각상 난형 또는 좁은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5-8cm, 폭 3-6cm로서 표면에 털이 산생하거나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5cm이다.꽃은 7-8월에 피며 하늘색이고 총상화서는 단순하며 길이 10-25cm로서 부드러운 짧은 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4mm로서 꽃받침보다 길며 2-4개의 세포로 된 퍼진 털이 있다.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화관은 지름 6-9mm이며 암술대는 길이 7-10mm이다. 높이.. 2019. 11. 20.
네잎갈퀴 (6.14, Galium trachyspermum A.Gray) 엽병이 없고 잎은 1맥이며 줄기는 무모이거나 털이 많다. 열매는 돌기형가시가 있다.참갈퀴덩굴, 산갈퀴와 유사하다.산갈퀴는 줄기에 강모가 있다.   '18.6.14 / 경남네잎갈퀴 더보기 :참갈퀴덩굴 보기 :산갈퀴 보기 : 2019. 11. 3.
큰갈퀴덩굴 =>나도갈퀴덩굴(Galium aparine L.) 2016년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병해충에 해당하는 잡초로 지정갈퀴덩굴과 차이- 꽃색 : 흰색(큰갈퀴덩굴), 연녹색(갈퀴덩굴)- 줄기에서 잎이 뭉쳐나오는 곳 : 흰색 털이 밀집됨(큰갈퀴덩굴), 눈에 띄는 털이 없음(갈퀴덩굴)                            '19.5.15 / 전북갈퀴덩굴 보기 : 2019.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