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개연꽃 (8.6 / 수련과, 개연꽃속)
학명은 Nuphar pumilum var. ozeense (Miki) Hara으로 왜개연꽃의 변종으로 꽃의 암술머리가 붉은색이 남.성숙된 잎은 길이 8~12cm, 폭 7~8cm 정도의 장 타원형이고, 미요두이며, 기부는 전저이며, 둘로 갈라진 열편의 기부는 좁아진다. 표면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에 털이 있다. 엽병은 속이 차 있다.꽃은 7~9월에 정생하고, 직경 2~3cm정도의 컵 모양이며, 5개의 꽃받침은 광택이 있는 황색이고, 끝은 둥글고 기부는 좁아진다. 꽃잎은 여러장으로 꽃받침보다 작고, 길이 5~6mm 정도의 직사각형이며, 연한 황색이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7~9mm, 약은 3mm 정도이다. 암술머리는 8개이고, 붉은 색이며, 암술머리반 직경은 8mm 정도이다. [비교] 남개연꽃, ..
2023. 8. 6.
눈비녀골풀 (7.28)
[뿌리]1. 지하경이 짧고 불분명한 종류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 눈비녀골풀2. 지하경 절간이 긴 종류 : 비녀골풀3. 포복경과 식아가 발달하는 종류 : 청비녀골풀[잎의 격막]1. 단관질, 완전 격막형 : 눈비녀골풀, 비녀골풀, 청비녀골풀2. 다관질, 불완전 격막형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종 검색표1] 출처 : 한국식물도해도감1. 줄기는 납작하고, 날개가 있다. 잎은 납작하고, 다관질에 불완전 격말을 각는다. 2. 수술은 6개이며, 밀집화는 컵모양이다. ----- 날개골풀 2. 수술은 3개이며, 밀집화는 별모양이다. 3. 줄기는 너비 2.2~2.9mm이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위로 향한다. 잎은 너비 2.5~2.7mm. 삭과는 화..
2022. 9. 25.
남해분취(특산식물), 뿌리(6.23)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 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 함백취, 서울분취, 백운취가 있으나, 극형, 전형의 잎은 남해분취만의 특징.백운취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전남 광양군 백운산 억불봉(1,008m) 근처 암석지 사이에서 발견됨.논문 바탕으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비교] 분취, 은분취, 백운취, 남해분취 출처 ..
2020.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