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가263

갈기기름나물(7.29, 기름나물속) [특징]1. 기부에 엽병이 변형된 섬유가 발달2. 잎은 2회 우상복엽3. 분과는 유관이 20~28개로 늑간에 3 또는 4개씩, 접합면에 8~12개가 있다.한국산 기름나물속의 검색표 (출처는 2022년 미로기름나물, 동강기름나물 논문)* 기름나물속 특징 : 줄기는 기부에 근생엽이 변형된 섬유가 있다.1-1 근생 및 경생엽은 1~3회 우상복엽이다.       2-1 잎의 최종열편은 선형이다.             3-1 소산형화는 20~44개의 꽃으로 구성, 유관은 6개, 1개는 등쪽면에, 2개는 접합면쪽에 있다.                   4-1 잎은 2회우상복엽, 잎의 전체적인 모양은 3각형~넓은 난형,                        최종열편은 선상피침형으로 예두이지만 가시모양은 아니다... 2025. 2. 18.
구와꼬리풀, 신엽(11.15) [꼬리풀속 검색표] 출처는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이며 검색표 내용은 편집함1. 잎은 결각지고 줄기는 포복한다.     2. 잎은 혁질이고 수술은 화관 크기.  -----   부산꼬리풀(특산식물)     2. 잎은 막질이고 수술은 화관의 2배.  -----  봉래꼬리풀(넓은잎꼬리풀의 아종, 특산식물)1. 잎은 결각지고 줄기는 직립한다.    2. 포는 엽상형. 잎 표면은 거의 무모 ----- 섬꼬리풀(특산식물)    2. 포는 긴 선형. 잎 표면은 굽은 털 밀생        3. 잎은 얕게 결각진다.  -----  구와꼬리풀        3. 잎은 깊게 결각진다.            4. 식물체는 대형(45~55cm). 잎은 크고 깊게 결각.  -----  큰구와꼬리풀(특산식물)      .. 2025. 1. 14.
겹삼잎국화(7.28, 8.3, 원추천인국속) 삼잎국화의 겹꽃 삼잎국화(7.17)[기재문]학명은 Rudbeckia laciniata L.이며 종소명 laciniata는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의미.관상용으로 도로변, 정원, 민가 주변 등에 심어 기르거나 야생화하여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원hyunsik.tistory.com'24.7.28. / 상주 '24.8.3. / 군위 2024. 12. 30.
개싹눈바꽃(5.10, 투구꽃) [특징]줄기는 가늘고 길며 아래로 휘어지며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림========================================================================자료 출처 : 2024.10.30 네이처링 주관 투구꽃속 강의 자료(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국명에 들어간 투구는 서양의 투구 모양을 차용한 것이며 그 이전에는 까마귀 머리를 닮았다 하여 '초오두'라 불렸는데 '두'가 탈락되고 '초오'가 되었다 한다.특산식물[투구꽃속 비교] (출처는 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의 강의 자료)1. 덩굴성 : 국내에는 놋젓가락나물만 분포한다.종 명놋젓가락나물(A. ciliare DC.)줄.. 2024. 12. 23.
각시두메부추 추정(7.3) 꽃대 단면 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는 부추속은 아래와 같으며-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 특산식물로 울릉도에 자생. 잎폭은 5-13mm-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 : 동해안에 자생. 잎폭은 4–10mm - 각시두메부추(Allium spurium G.Don) : 청량산에 자생. 잎폭은 1.5–4mm재배종으로는 푸른두메부추가 있다.[참두메부추 특징]동해안 바닷가 곰솔숲, 소나무숲의 모래땅에 사는 북방계 여러해살이 풀무성생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햇볕이 매우 강한 양지에는 자라지 않고 반그늘을 선호한다.잎은 길이 15~25cm, 폭은 4~10mm이며 약간 꼬인다.꽃줄기는 4~8mm이며 납작하고 양쪽 중앙에 넓은 세로 홈이 있다.유사종으.. 2024. 11. 29.
긴오이풀(9.28) [비교] 긴오이풀, 가는오이풀, 자주가는오이풀종명긴오이풀가는오이풀분포속리산 이북 산지전국의 산지습지, 하천가 등수술대수술대는 꽃받침잎 길이와 비슷하다.꽃밥 크기는 수술대보다 크다.수술대는 꽃받침잎보다 1~2배 정도 길다.꽃밥 크기는 수술대보다 작다.꽃색적색백색소엽평저 또는 설저심장저* 자주가는오이풀은 가는오이풀 꽃이 짙은 적색인 것으로 구별했지만 가는오이풀로 통합됨.[기재문]학명은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습기가 많은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 80~100cm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9장으로 된 깃꼴겹잎, 잎자루가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작은잎은 선상 긴 타원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길이 8~10cm, .. 2024. 10. 20.
갯바늘골(8.31) [특징]1. 서해안 바닷가에 분포한다.2. 지하경은 길게 벋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3. 근연종에 비해 소수 및 줄기가 작다.[기재문]학명은 Eleocharis parvula (Roem. & Schult.) Bluff, Nees & Schauer 다년생이다. 지하경은 길게 벋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괴경은 방추형이고, 길이는 2-5mm이다.줄기는 길이는 3-5cm(7cm)이고, 잎보다 길이가 길다. 잎은 길이는 1.1-2.6cm이다. 소수 난형이고, 길이는 1.7-3.7mm이며, 너비는 0.9 -2.2mm이다. 인편은 옅은 황색이고, 소수당 6-10개의 인편이 달린다. 길이 1.2-2mm이고, 끝은 원두-아예두이다. 화피편은 4개이고(4~6개), 수과와 길이가 같거나 조금 길며, 하향의 잔가시가 있다... 2024. 9. 6.
그늘송이풀(8.14) [비교] 송이풀, 그늘송이풀종명송이풀그늘송이풀(송이풀의 변종)가지의 갈라짐  줄기 밑부분에서 다소 갈라짐   줄기 윗부분에서 많이 갈라짐잎차례  기본적으로 어긋나며 줄기 밑에서는 마주나기도 함  기본적으로 마주남 꽃 위치   원줄기 끝에 달림   줄기나 가지끝에 달림줄기 형태  직립  비스듬하게 자람참고) 잎이 마주나는 마주송이풀은 송이풀로 통합됨. 송이풀(7.31, 현삼과/송이풀속)[비교] 송이풀, 그늘송이풀종명송이풀그늘송이풀(송이풀의 변종)가지의 갈라짐  줄기 밑부분에서 다소 갈라짐   줄기 윗부분에서 많이 갈라짐잎차례  기본적으로 어긋나며 줄기 밑에서는 마hyunsik.tistory.com 그늘송이풀 열매, 종자(10.24)[비교] 송이풀, 그늘송이풀종명송이풀그늘송이풀(송이풀의 변종)가지의 갈라짐 .. 2024. 8. 17.
개물통이(7.4) [기재문]학명은 Parietaria micrantha Ledeb.이며 종소명 micrantha는 '꽃이 작은' 의미. 강원도 금강산과 북부지방의 그늘지고 습한 산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 잎은 어긋나기하며 막질이고 달걀모양이며 길이 8-25mm, 나비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엽병은 길이 5-20mm이고 탁엽이 없다. 꽃은 잡성으로 피며 녹색이고 잎겨드랑이에 2-3개씩 달리며 양성꽃과 수꽃의 화피가 3-4개로 깊게 갈라진다. 포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샘털이 있으며 암꽃의 화피는 통같고 열매를 둘러싼다. 수꽃은 화피가 3-4장, 수술 3-4개이다. 암꽃의 화피는 통모양으로 4장이고, 암술머리는 붓털모양이다. 열매는.. 2024. 7. 8.
갯꾸러미풀(6.12) [벼과 속 검색표]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산새풀속, 갈풀속, 향모속 등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1개 있다.             4.  한 개의 소수에 한개의 임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4.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임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 2024. 6. 27.
긴겨이삭(6.19)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포영은 막질이고 반짝거리며 1맥이 있다.- 소수는 소화 1개만 있으며 길이는 2~3mm로 작다.- 포영의 용골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긴겨이삭의 특징]- 화서는 식물체 길이의 약 1/2정도 차지하며 화서 가지는 많이 분지한다.- 다년생 식물로 중부 이북의 산지 초원에서 자란다.- 줄기는 포기져 자라고 곧추선다.- 화서 가지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기재문]학명은 Agrostis scabra Willd.이며 화서 가지에 잔가시에 있어 종소명 scabra는 '거친, 울퉁불퉁한' 의미. 중부 이북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한 군데에서 모여나오고, 높이 30~60cm이다. 잎집은 털이 없고 마디 사이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2024. 6. 22.
갑산포아풀(5.2) 고산지대 초지에 자란다.화서 기부 제1가지는 화서의 1/3~1/2정도로 길고, 절반 위쪽으로 소수가 달린다.소수는 3.5~4mm.'24.5.2 / 강원도 2024. 5. 19.
가시오갈피(4.30, 두릅나무과) 지리산 이북의 해발 500m 이상의 백두대간의 북사면에 자생.주로 뿌리에 의한 무성번식이 이루어진 관계로 개체수는 많지 않다.[기재문]학명은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높이는 2~3m. 희귀멸종위기식물. 잎은 어긋나기하며 손바닥모양의 겹잎이고, 소엽은 타원상 거꿀달걀형이며 짧은 점첨두, 예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6~12cm × 2~4cm, 표면 군데군데 털이 있고 뒷면은 어릴 때는 맥 위에 갈색 털이 있다. 가장자리에 뾰족한 겹톱니가 발달하고 잎자루 길이는 3~8cm로 가시가 많다. 산형꽃차례로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거나 또는 밑부분에서 갈라지며 꽃은 보랏빛 노란색이 돌며 7월 중순~8월 초 개화하고 꽃대는 갈라진 곳에만 밀모가 있다. 꽃.. 2024. 4. 30.
가는잎할미꽃(3.13, 미나리아재비과) [비교] 가는잎할미꽃, 할미꽃, 동강할미꽃종명가는잎할미꽃Pulsatilla cernua할미꽃Pulsatilla koreana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꽃 피는 방향아래를 향해 핀다.아래를 향해 핀다.위를 향해 피었다가 꽃대가 길어지면 옆을 향한다.꽃받침 잎 크기길이 26mm, 폭10mm 길이 35mm, 폭 12mm-열매좁은 난형이고 길이 3mm긴 난형이고 길이 5mm정도긴 난형이고 길이 5mm정도분포제주도(할미꽃은 없음)전국(제주도 제외)삼척, 평창, 정선주1. 동강할미꽃은 할미꽃과 자연적인 교잡형태와, 매우 다양한 꽃과 잎의 변이가 관찰됨.주2. 동강할미꽃은 남획과 환경변화로 개체수가 줄어들어 자생지에 종자 파종 등 복원사업 펼침.[기재문] 학명은 Pulsatilla cernu.. 2024. 3. 25.
국화잎다닥냉이(3.13) [다닥냉이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털다닥냉이(십자화과)와 들괭이밥(괭이밥과), 2016년1. 경생엽은 이저로 줄기를 감싼다.    2. 근생엽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열매 표면은 볼록한 점이 밀생한다.    2. 근생엽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은 황색이다. 열매는 평활하다. ----- 대부도냉이(L. perfoliatum)1. 경생엽은 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3. 수술은 6개이다.        4. 다년생 초본. ----- 큰키다닥냉이(L. latiflolium)        4. 2년생 초본.             5. 열매 길이는 2~3mm. -----  다닥냉이(L. apetalum)            5. 열매 길이는 4~6mm. .. 2024. 3. 24.
개구리갓 (미나리아재비과/3.14) [비교] 개구리갓, 왜미나리아재비 종명 생육지 뿌리 열매 뿌리잎 개구리갓 높은 산지 방추형 털이 없음 2회 3갈래로 갈라짐 왜미나리아재비 제주도의 저지대 수염뿌리 짧은 털이 밀생 3갈래로 갈라짐 * 개구리갓은 왜미나리아재비에 비해 매우 크며 서서 자라는 편이다. [기재문] 학명은 Ranunculus ternatus Thunb. 저지대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난형 또는 방추형으로 두껍다. 줄기는 높이 10~25cm,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가늘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의 잎자루는 길이 2~6cm, 잎몸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1~5cm, 폭 5~25mm, 3갈래로 깊게 갈라진 후 갈래는 다시 3갈래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 2024. 3. 21.
꽃갈퀴덩굴 (꼭두선이과, 갈퀴덩굴속/3.13) [기재문] 학명은 Sherardia arvensis L. 길가, 빈터 등에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뿌리는 붉은 갈색이다. 줄기는 네모지며 아래쪽부터 많이 갈라져 땅 위를 덮고 아래를 향한 가시가 있다. 잎은 4~7개가 돌려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1.0~1.5cm, 양 끝이 뾰족하다. 꽃은 5~6월에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머리 모양으로 달리며, 연한 분홍색이다. 꽃싸개잎은 8개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긴 삼각형으로 길이 3~8mm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1.5~2.0mm이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국내에는 2003년 서울 난지도에서 발견되었으며, 2006년 제주도에서도 분포가 확인되었다. 백운풀에 비해 잎이 4~7개가 돌.. 2024. 3. 19.
각시서덜취 (8.7 / 국화과, 취나물속) [비교] 서덜취, 각시서덜취, 꼬리서덜취종명잎 형대총포형대 / 포편줄수포편형태줄기 높이서덜취  광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   심장저 또는 절저  잎 끝이 뾰족하되 길어지지 않음종형/ 7~10줄  외편이 난형, 선단부가 흑자색이고    뒤로 젖혀짐30~90cm각시서덜취  광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   심장저 또는 절저.  잎 끝이 꼬리처럼 길다.배 부른 원통형/ 6~7줄  외편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뒤로 휨(녹색)30~50cm꼬리서덜취  좁은 삼각상 또는 삼각상 극형,  심장저 또는 평저원통형/ 7~9줄  외편이 난형, 선단부 흑자색이고  뒤로 젖혀짐30~50cm그외 경성서덜취(함북 경성)와 홍도서덜취(홍도, 흑산도)가 있다. [기재문]학명은 Saussurea macrolepis (Nakai).. 2024. 2. 26.
긴털비름(8.25, 비름속) [비름속의 종 검색표 1] 출처는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민털비름' 논문과 '한국의 들꽃'1. 자웅이주이다.    2. 화서의 길이는 10-20 cm이고 소포엽이 화피보다 짧다 ----- 각시비름     2. 화서의 길이는 20-50 cm이고 소포엽이 화피보다 2-3배 길다 ----- 긴이삭비름 1. 자웅동주이다(단성화 = 자웅이).    3. 열매는 익어도 열개하지 않는다.        4. 화서는 엽액에만 달린다 ----- 미국비름         4. 화서는 정단부와 엽액에 모두 달린다.            5. 열매에 주름이 뚜렷하다 ----- 청비름             5. 열매에 주름이 없거나 적다.                 6. 잎 끝이 약간 파지고 너비 2.5-4 cm이며 줄기는 비스듬.. 2023. 9. 5.
개방동사니 (8.20) [특징]1. 식물체에 약간 광택이 나고 혁질이다.2. 화서는 가지를 치고 소수 너비는 유사종에 비해 넓다.3. 수과는 넓은 도란형 삼릉형이며 오목한 면이 있다.[기재문]학명은 Cyperus compressus L. 저지대 개방된 초원에서 자라는 일년초줄기는 5~30㎝ 정도까지 자라며 아래쪽에 몇 개의 잎이 달린다. 잎은 줄기보다 작고 너비는 1~3㎜이다. 개화 시기는 8~10월이며, 최종 수상화서에서 3~10개 정도의 소수가 화서축의 끝부분에 붙고, 화서축이 거의 없거나 매우 짧고, 수과는 3릉형이다.소수는 1.0~2.5 × 약 0.3~0.4cm이고, 약 10~35개의 꽃이 핀다. 인편은 난형, 약 3.5mm 길이, 정점에 약간 반사된 짧은 까끄라기, 중맥은 두껍고, 낙엽성. 암술대는 약 1.2 mm 길.. 2023. 8. 20.
가을강아지풀(8.1) 학명 : Setaria faberi R.A.W.Herrm.강아지풀에 비해 소수는 길이 2.8~3mm, 제2포영은 제2소화(임성)보다 짧다. 화서는 굽어서 끝이 늘어진다. 경작지 주변이나 길가에 흔하게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밑부분이 휘어지며 높이 40~100cm이다. 잎집의 가장자리에 센털이 있다. 잎혀는 막질, 길이 1~2mm의 털이 줄지어 있다. 잎몸은 피침형, 편평하며, 길이 10~30cm, 폭 5~15mm, 보통 앞면에만 털이 있다. 원추꽃차례는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붙은 원주형이고 길이 5~12cm이다. 작은이삭은 난형, 길이 3mm 정도, 끝은 둔하다. 작은이삭은 2개의 낱꽃으로 되며 아래에는 뻣뻣한 가시털이 있으며 풀색 또는 연한 자주색을 띤다. 제1포영은 넓은 난형이고 3맥.. 2023. 8. 2.
가는포아풀(6.10) 학명은 Poa matsumurae Hack.다년초기재문에는 북부지방에 자라는 것으로 나와 있지만 제가 본 지역은 중부지방의 해발 약 900m 이다. 전초는 밝은녹색을 띤다. 줄기는 날개골풀처럼 납작하고 날개가 있으며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특징]다년초. 줄기 마디는 2~3개로 적다. 엽초는 매끄럽고 연모가 있다. 긴지하경을 가지고 있다.엽신 표면에 연모가 있으며 약간 거칠다. 엽설은 길이 0.8~1.4mm이고 재두이다. 줄기는 다소 눌린다.화서는 줄기에 비해 길지 않고 가지는 거칠다. 화서의 가지는 마디에서 2~5개가 나온다.화서 가지의 길이는 3.8~8.4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이 거칠다.[벼과 속(포아풀속) 검색표]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023. 6. 10.
가는미국외풀 (현삼과, 밭뚝외풀속) [특징]1. 잎 가장자리는 거치가 거의 없고 매끄럽다.2. 화경이 잎에 비해 2~3배 길며 기부에 선모가 있다.3. 아래꽃잎에 자색의 반점이 있다.4. 꽃은 엽액에서 1개, 그 다음 엽액에서 2개, 번갈아 나는 경향이 있다.[비교] 미국외풀, 가는미국외풀종명미국외풀가는미국외풀잎 거치2-3쌍의 뚜렷한 거치가 있다.거의 없다.화경잎보다 짧다.2~3배 길며 기부에 선모가 있다.[기재문]학명은 Lindernia dubia (L.) Pennell var. anagallidea (Michx.) Cooperr.습지에 자라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마주나기 잎차례이며, 잎자루는 없고, 잎새는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3-5맥이 뚜렷하며, 길이 0.6-1.8㎝,폭 0.4-1.2㎝, 잎 가장자리에 2쌍 내외의.. 2023. 2. 2.
가새쑥부쟁이(7.14) [비교] 구절초속, 참취속(쑥부쟁이속)- 구절초속 : 관모가 없다.- 참취속 : 관모가 있다.[특징]1. 동속에서 개화시기가 빠르다.2. 잎이 우상으로 갈라진다.3. 관모가 짧다.[기재문]학명 : Aster incisus Fisch. 국화과/참취속근생엽은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 죽는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길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안쪽으로 굽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위로 올라가면서 작어져서 선상 피침형으로 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2023. 1. 12.
갯바늘꽃 (8.20, 바늘꽃과, 바늘꽃속) 학명 : Epilobium parviflorum Schreb.출처 : 제 53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22)특징 : 대형이며 전초에 짧은 선모가 밀생  '22.8.20 2022. 12. 25.
가야물봉선(9.30, 봉선화과, 물봉선속) [물봉선 꽃 구조]- 꽃잎 3장 : 위꽃잎 1장, 곁꽃잎(측화판) 2장(2갈래로 갈라지며 곁꽃잎 원부가 아래꽃잎처럼 보인다)- 꽃받침 조각 3개 : 측악편 2개, 하악편 1개(깔대기 모양)-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비교] 물봉선, 꼬마물봉선 (출처는 '꼬마물봉선: 한국에서 발견된 물봉선속(봉선화과)의 1신종', 2010년)1. 꽃은 2.6-4.2cm. 하악편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거는 뒤를 향하여 1바퀴 이상 감는다.    측화판의 선단부 열편은 반원형이다. 수술은 3.2mm 이상이다.    종자는 길이 3.2-4.5mm, 지름 2.1-2.7mm이다. ---- I.textoril(물봉선)1. 꽃은 1.4-2.4mm. 하악편은 급격하게 좁아지고, 거는 아래로 쳐지며 1바퀴 이하로 감는다.    측화판.. 2022. 12. 22.
긴방울고랭이 (Scirpus wichurae Boeck. f. cylindricus (Makino) Nemoto) 방울고랭이 hyunsik.tistory.com 긴방울고랭이 방울고랭이의 변종으로 소수 모양이 긴 원주형이다. '23.8.17 hyunsik.tistory.com 방울고랭이의 변종으로 소수 모양이 긴 원주형이다. '22.10.6 2022. 11. 19.
개수염 꽃(9.22, 곡정초속) [기재문]학명은 Eriocaulon miquelianum Koern. 큰개수염과 유사하다. 일년초.잎은 밑동에서 총생하고 선형이며 끝이 차츰 뾰족해지고 길이 6-20㎝, 나비 3-4㎜이다. 엽초의 길이 3-6㎝내외이고 끝이 몽뚝하며 비스듬히 갈라진다.개화기는 7-8월. 화경(花莖)은 여러개가 나오고 4-5개의 능선이 있으며 두상화는 짧은 도원추형이고 백색이며 퍼진 총포와 더불어 지름 6-10mm이다. 총포편은 꽃잎보다 2-3배 길며 많고 끝이 뾰족하며 외포편은 크고 피침형이며 내포편은 난형으로서 화상(花床)에 털이 없고 많은 꽃이 달린다. 수꽃은 중앙에 달리며 수술은 6개이고 외화피는 구둣주걱 모양이며 서로 붙고 내화피는 통 모양으로 끝이 3갈래이며 꽃밥은 흑색이다. 암꽃은 주위에 있으며 포, 꽃받침 및.. 2022. 11. 16.
구실바위취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7.9) [기재문]학명은 Saxifraga octopetala Nakai금강산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으며 엽병은 길이 11-21cm로서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엽신은 신장형이고 폭 5-8.5cm로서 난형 또는 도란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톱니끝이 선형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고 뒷면 밑부분에 털이 약간 있다.화경은 길이 25cm정도로서 선모가 있으며 꽃은 7월에 피고 녹백색으로서 원추화서에 달리며 포는 선상 피침형, 선상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다소 있으며 녹색이고 잎같이 생겼으며 매우 작다. 소화경은 가늘고 선모가 있다.꽃받침잎은 5개이고 침형이며 길이 1.3-2mm로서 젖혀지고 꽃잎은 5개로서 백색이며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8개이고 길이 3-3.2m.. 2022. 9. 25.
구름제비란 (제비난속, Platanthera ophrydioides F.Schmidt) 거가 활처럼 휜다.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잎은 1개만이 크고 옆으로 퍼지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6㎝, 나비 2-4㎝로서 끝이 둥글며 밑부분은 둥글거나 다소 심장저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밑부분에 초상엽이 있으며 윗부분에 1-2개의 포엽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화서는 길이 3-10㎝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리고 포는 길이 5-15mm로서 피침형이며 밑부분의 것은 꽃보다 길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5-6mm로서 3맥이 있고 측열판은 젖혀지며 길이 6-7mm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다. 꽃잎은 밑부분이 삼각상 난형이며 막질이고 길이 5-6mm로서 갑자기 좁아진다. 순판은 넓은 선형이며 길이 6-8mm이고 거(距)는 길이 6-10mm로서 끝이 다소 .. 2022.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