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포자낭50

왕지네고사리 포자낭군(5.16) [특징]1.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는다2.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3. 중축의 골은 V자형.4. 포막이 넓고 포자낭군은 엽신 상반부에 붙는다. 왕지네고사리(5.3)왕지네고사리의 특징은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고,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 중축의 골은 V자형.포막이 넓다.곱새고사리의 특징은 우축에 날개가 있고 최하 소우편 중 중축에 있hyunsik.tistory.com'24.5.16. 2024. 12. 26.
응달고사리 포자낭군(5.16) [뿔고사리속 검색표]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중륵의 표면에 가시나 돌기가 거의 발달하지 않으며,    포자낭군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 응달고사리1. 잎몸은 1~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중륵의 표면에 가시나 돌기가 뚜렷이 발달하며,    포자낭군은 장타원형 ~ 선형이다.    2. 소우편이 깊게 갈라지며, 소우편의 끝이 뾰족하며, 우편의 중간 아래의 소우편은 날개로 흐르지 않으며,        우축 뒷면에 털이 많이 있다. ----- 지리산숲고사리    2. 소우편이 얕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의 끝이 둥글거나 뭉뚝하고, 소우편의 기부가 날개로 흐르며,        우축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 뿔고사리종명잎몸중륵의 표면에 가시나 돌기우측 뒷면의 털포자낭군응달고사리2~3.. 2024. 12. 26.
곱새고사리 포자낭군(5.21) 포막은 긴타원형, U자, J자형이며 표면은 수포상이며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붙는다.'24.5.21 2024. 5. 30.
지네고사리 포자낭군 [비교] 지네고사리(사다리고사리속), 드문고사리(드문고사리속) * 공통 : 우편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기부쪽이 좁아진다. * 지네고사리 - 우편과 우편 사이가 좁고 우편의 폭은 거의 일정(일부 우편만 해당). - 우편의 측맥은 열편의 가장자리까지 닿으며, 열편의 가장자리는 밋밋. - 엽병에 짧은 흰털과 막질의 인편이 붙음. - 포자낭군은 열편을 꽉 채움. * 드문고사리 - 우편과 우편 사이가 넓고 우편의 폭은 1/3 지점이 가장 넓음(일부 우편만 해당). - 우편의 측맥은 열편의 가장자리까지 닿지 않으며, 열편의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가 있음. - 엽병에 털과 인편이 드뭄. - 포자낭군은 작게 붙음. [유사종 비교] * 드문고사리 - 소우편 열편 측맥이 분지하며 엽연까지 닿지 않음. * 사다리고사리 - 포자.. 2024. 2. 17.
참나도히초미 포자낭군 '19.5.10 2024. 1. 29.
좀나도히초미 포자낭군 포자낭군은 소우편 중륵 가까이 달리며, 나도히초미와 참나도히초미는 소우편의 가장자리와 중륵 중간에 달림. '22.6.17 2024. 1. 29.
홍지네고사리 포자낭군 '23.5.10 2023. 7. 14.
쇠고비 포자낭군 '23.5.10 2023. 7. 14.
털고사리 포자낭군 '23.6.10 2023. 6. 11.
퍼진고사리 포자낭군(6.6) [특징]1. 포복지가 있다. 엽병의 중심부가 흑갈색의 큰 인편이 많이 붙는다.2. 최하 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가장 길다.3. 엽신은 3회 우상 심열~전열이며, 열편의 끝이 침처럼되거나 날카로운 톱니가 된다.4. 포자낭군은 둥근 콩팥모양이다.[관중속의 종 검색표]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14. 잎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에 황색 샘털이 있다. ----- 주저리고사리        14.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잎에 샘털이 없다.              15. 열편 톱니의 끝은 .. 2023. 6. 10.
애기족제비고사리 포자낭군(6.6) '23.6.6 2023. 6. 10.
큰족제비고사리 포자낭군(5.17) '23.5.17 2023. 5. 31.
애기꼬리고사리 포자낭군(5.25) [기재문]학명은 Asplenium tenuicaule Hayata산지의 습한 바위 겉에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착생하는 북방계 양치식물이다.높이 10~20cm 정도이며 땅속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선다. 잎은 한 종류이다. 잎자루는 길이 1.5~4cm이다.잎몸은 피침형으로 길이 2.5~6.5cm로 대부분 2회 깃꼴겹잎이지만 드물게 1회 깃꼴겹잎이며, 초질이다.중축은 앞면에 홈이 있고, 우편은 피침형에서 삼각형으로 길이 0.5~2cm이다.최종 열편은 거꾸로 된 삼각형, 능형 또는 삼각형으로 선단부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6~8개 있다.잎맥은 유리맥이다. 포자낭군은 선형 또는 타원형으로 포막은 길고 가장자리는 선형이다. 이 종은 최종 열편의 선단부에 6~8개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는 점에서 속 내 다른 분류군.. 2023. 5. 3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 [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 포자낭군(관중과/5.5)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20.4.20 hyunsik.tistory.com '16.5.5 / 대구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 2023. 5. 28.
퍼진고사리 포자낭군(5.17) [특징]1. 포복지가 있다. 엽병의 중심부가 흑갈색의 큰 인편이 많이 붙는다.2. 최하 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가장 길다.3. 엽신은 3회 우상 심열~전열이며, 열편의 끝이 침처럼되거나 날카로운 톱니가 된다.4. 포자낭군은 둥근 콩팥모양이다.[관중속의 종 검색표]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14. 잎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에 황색 샘털이 있다. ----- 주저리고사리        14.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잎에 샘털이 없다.              15. 열편 톱니의 끝은 .. 2023. 5. 22.
곰비늘고사리 포자낭군 '23.4.30 2023. 5. 1.
드문고사리 포자낭군 드문고사리 지네고사리, 사다리고사리와 달리 성장하면서 엽병에 털이 탈락하여 보이질 않는다. 우편과 우편사이가 넓고 우편의 측맥은 열편의 가장자리까지 닿지 않는다. '16.6.12 / 광주 드문고사리 신엽보 hyunsik.tistory.com '18.11.24 2022. 4. 4.
애기일엽초 포자낭군(5.15) '16.5.15 / 고창 2016. 6. 16.
십자고사리 포자낭군(관중과/5.5)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20.4.20 hyunsik.tistory.com '16.5.5 / 대구 2016. 5. 31.
고란초 포자낭군 제주고란초 (11.5) [고란초속 비교] * 제주고란초 : 잎몸이 선상 피침형이고, 평행하다가 아래가 갑자기 좁아지고, 포자낭군이 붙는 자리가 깊게 파인다. 식물 목록엔 미등록됨. * 고란초 : 잎몸이 긴타원상 피침형 hyunsik.tistory.com '14.6.27 고란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017153 2014. 11. 10.
비늘개관중 포자낭군 '14.5.17 2014. 8. 27.
탐라사다리고사리 포자낭군 '14.6.27 2014. 8. 6.
한들고사리 포자낭군 한들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34 2014. 7. 24.
풀고사리 포자낭군 '14.6.27 2014. 6. 30.
발풀고사리 포자낭군 '14.6.27 2014. 6. 28.
일색고사리 포자낭 '12.8.12일 2012. 9. 7.
공작고사리 포자낭 '12.8.12일 / 울릉도 공작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256 2012. 8. 24.
우드풀 포자낭 '12.7.1일 / 단양 참우드풀 포자낭 보기 : 산우드풀 포자낭 보기 : 만주우드풀 포자낭 보기 : 우드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601366 2012. 8. 2.
가래고사리 포자낭 포막이 없다. '12.6.20일 / 단양 가래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047493 2012. 7. 15.
거미고사리 포자낭 '12.6.17일 / 대구 2012.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