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벼과149

큰개사탕수수 (개사탕수수속) 화서축은 무모이고 화서는 가지를 치며, 소수는 무병소수와 유병소수로 구성된다. 제1포영은 소수보다 2개 긴 견모와 함께 잔털이 있고 제2포영은 - 무병소수는 보통 무모이나 드물게 가는 잔털이 있다. - 유병소수는 잔털이 있다. 큰개사탕수수 영과 '20.12.11 hyunsik.tistory.com 큰개사탕수수 '20.2.18 hyunsik.tistory.com '166.11.18 2024. 1. 6.
실새풀 (산새풀속) 학명은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이며 종소명 arundinacea는 갈대를 의미한다. 동속으로 산새풀, 산조풀, 갯조풀 등이 있다. 산조풀 (산새풀속) '15.9.29 / 군산 산조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192039 hyunsik.tistory.com 여러해살이풀이며 땅속 줄기가 있다. 소수는 4~6mm로 1소화가 있고 기반에는 털이 있다. 소수 길이와 같은 1, 2포영은 비슷하고 용골이 있으며 호영은 길이 4.0~4.5mm로 끝은 2개의 톱니가 있고 길이 4~9mm의 까락이 나온다. 내영은 2맥이 있다. 실새풀 산지의 숲속이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짧은 땅속줄기가 있다.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고,.. 2023. 9. 23.
갯드렁새 (갯드렁새속) 드렁새(드렁새속) 드렁새 열매 '22.10.3 hyunsik.tistory.com 갯드렁새 '15.8.29 / 태안 갯드렁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287 hyunsik.tistory.com 학명은 Leptochloa chinensis (L.) Nees이며 종소명 chinensis은 '중국산의' 의미이고 hyunsik.tistory.com 갯드렁새 영과 드렁새 열매 '22.10.3 hyunsik.tistory.com '16.8.28 / 태안 갯드렁새 보기 : 좀갯드렁새 영과 보기 : hyunsik.tistory.com 하구 또는 해안매립지 등에 자라는 열대에서 아열대원산의 귀화식물이다. 드렁새속은 자생식물인 드렁새와 외래식물인 갯드렁새와 좀갯드렁새가 있다. .. 2023. 9. 19.
나도잔디 (나도잔디속) 산지의 양지바르고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10~25cm이다. 잎집은 털이 없거나 짧은 털이 있다. 몸은 길이 2~7cm, 너비 2~4mm이고, 가장자리에는 샘점과 함께 긴 털이 있다. 잎혀는 짧고 털이 있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 끝에 아주 짧은 가지가 총상으로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2~6cm이다. '23.9.10 2023. 9. 12.
애기주름조개풀 애기주름조개풀 신엽 '19.5.11 / 경남 hyunsik.tistory.com 애기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macrophyllus (Honda) Ohwi) '19.8.23 / 경남 애기주름조개풀 더보기 : hyunsik.tistory.com 애기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의 변종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와 잎이 난다. 줄기는 서며, 높이 10~20cm이다. 잎몸은 길이 1~3cm이고, 너비 3~5mm이다. 꽃차례에는 대가 hyunsik.tistory.com 다년생이며 주름조개풀의 변종이다. 주름조개풀에 비해 식물체가 소형이며 털이 거의 없고 엽신의 길이 1~3cm이며 화서에 가지가 없고 화축의 마디에 1~3개의 무병소수가 .. 2023. 9. 12.
개억새 개억새 열매 '23.2.21 hyunsik.tistory.com 개억새 '15.9.4 / 예천 개억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44 hyunsik.tistory.com 꽃은 4~9개의 총이 장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중축은 털이 많므며 유병소수와 무병소수(억세 : 유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지어 붙는다. 제1포영과 제2포영에 털이 난다. '23.8.17 2023. 8. 22.
염주 (율무속) 율무 '19.8.11 / 경남 / 재배 hyunsik.tistory.com 염주 '18.8.18 hyunsik.tistory.com 율무는 염주의 변종. 총포엽은 염주와 달리 세로줄이 없으며 총포엽속에 2개의 불임성 소화와 1개의 임성소화가 있다. '23.8.16 2023. 8. 22.
털새 이삭털새 털 유무에 따라 많은 변종이 있다고 보고된다 있음. '18.9.6 / 경남 털새 보기 : hyunsik.tistory.com 2023. 8. 19.
향모(4.20/향모속) [벼과의 속 검색표]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 2023. 8. 10.
큰쥐꼬리새 (쥐꼬리새속) 가지쥐꼬리새 (Muhlenbergia ramosa) 쥐꼬리새속 종 검색표 1. 지하경이 아주 짧게 긴다.--------------------------쥐꼬리새 1. 지하경이 길게 긴다. 2. 줄기에 가지가 없다.---------------------------선쥐꼬리새 2. 줄기에 가지가 있다. 3. 줄기는 hyunsik.tistory.com 주로 중부 이북의 산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지름 3~5mm, 가죽질의 윤기가 나는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줄기는 높이 50~120cm, 곧게 또는 비스듬히 자라고, 종종 많은 가지를 내기도 한다. 엽초는 털이 없거나 가는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1mm 이하이다. 개방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10~30cm, 가지는.. 2023. 7. 22.
겨이삭(5.21)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포영은 막질이고 반짝거리며 1맥이 있다.- 소수는 소화 1개만 있으며 길이는 2~3mm로 작다.- 포영의 용골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겨이삭의 특징]--------------------------------------------------------------------------------------------------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2-2.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나도기름새속    .. 2023. 7. 14.
큰꾸러미풀 새포아풀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화서의 가지에 잔돌기가 있고 포영에 잔톱니가 있으며 호영에 긴 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 '23.5.10 2023. 7. 14.
좀포아풀 소수(7.2) '23.7.2 2023. 7. 12.
가는포아풀 '23.7.2 2023. 7. 8.
큰겨이삭(7.2) '23.7.2 2023. 7. 8.
우산잔디 (우산잔디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소수는 자루가 없다. ----- 염소풀속, 외대쇠치기아재비속,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2. 소수는 자루가 있다. 3.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3. 자루 끝에 소수가 달린다. 4. 소수 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4. 소수 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3. 화축과 소수의 폭이 거의 같다. ----- 뿔이삭풀속, 쇠치기풀속 3. 화축은 소수의 폭보다 가늘다. ----- 쇠풀속, 나도솔새속, 개솔새속, 솔새속 2. 꽃자루 끝에 총이 달린다. 3. 총이 윤생상 .. 2023. 7. 4.
좀포아풀(7.2) '23.7.2 2023. 7. 3.
개밀(6.11) [개밀속 검색표]1.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 구주개밀 1. 지하경이 없이 모여난다.    2. 화서는 비스듬히 서며, 내영이 호영보다 작다.        3. 엽신에 털이 없어 매끈하거나 까끌거린다.            4. 호영 등쪽이 까끌거리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짧은 털이 있다. ----- 가는개밀            4. 호영 등쪽이 강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긴털이 있다.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0~30mm ------ 속털개밀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3(~7)mm ----- 단망개밀        3. 엽신에 잔털이 있거나 짧고 가는 털이 있다.           4. 포영 맥과 자장자리에 가늘고.. 2023. 6. 28.
좀포아풀 소수(6.25) '23.6.25 2023. 6. 26.
까락구주개밀 꽃 '23.6.25 2023. 6. 26.
구주개밀 꽃 '23.6.25 2023. 6. 26.
털조릿대풀(9.21) '22.9.21 2023. 1. 15.
나도바랭이 '22.9.12 2022. 12. 20.
나도잔디 (나도잔디속) '22.10.6 2022. 11. 18.
단망개밀(소수 유모형/5.26) [개밀속 검색표]1.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 구주개밀1. 지하경이 없이 모여난다.    2. 화서는 비스듬히 서며, 내영이 호영보다 작다.        3. 엽신에 털이 없어 매끈하거나 까끌거린다.            4. 호영 등쪽이 까끌거리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짧은 털이 있다. ----- 가는개밀            4. 호영 등쪽이 강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긴털이 있다.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0~30mm ------ 속털개밀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3(~7)mm ----- 단망개밀        3. 엽신에 잔털이 있거나 짧고 가는 털이 있다.           4. 포영 맥과 자장자리에 가늘고 .. 2022. 9. 19.
큰새포아풀 습지에서 자생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축축한 임도에서도 자생하는 것 같다. 근연분류군과의검색표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없어 매끈하다.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한다 ··································································· P. bulbosa subsp. vivipara 이삭포아풀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P. annua 새포아풀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있어 거칠다.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없다. 4. 줄기의 절간 이상의 긴 지하경을 가진다. 5. 줄기의 마디는 2−3개이다. 6. 잎몸 표면과 드.. 2022. 9. 13.
방울새풀 '22.5.16 2022. 8. 9.
단망개밀(소수 유모형/5.15) 속털개밀에 비해 까락길이가 짧다. [개밀속 검색표]1.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 구주개밀1. 지하경이 없이 모여난다.    2. 화서는 비스듬히 서며, 내영이 호영보다 작다.        3. 엽신에 털이 없어 매끈하거나 까끌거린다.            4. 호영 등쪽이 까끌거리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짧은 털이 있다. ----- 가는개밀            4. 호영 등쪽이 강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긴털이 있다.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0~30mm ------ 속털개밀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3(~7)mm ----- 단망개밀        3. 엽신에 잔털이 있거나 짧고 가는 털이 있다.           .. 2022. 5. 17.
대새풀 '21.9.5 2021. 10. 17.
좀보리풀(5.18) '21.5.18 2021.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