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식물/양치식물(제주도)16

밤일엽(3.14) [기재문] 학명은 Neolepisorus ensatus (Thunb.) Ching. 희귀멸종위기식물. 숲속의 그늘지고 습한 곳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지름 3~4mm, 옆으로 길게 뻗는다. 비늘조각은 땅속줄기와 잎자루 아래쪽에 모여나며, 삼각상 피침형, 길이 5mm 정도, 갈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10~30cm, 잎몸보다 짧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25~40cm, 폭 4~7cm,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좁아져서 날개처럼 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다. 잎 뒷면과 중앙맥에 작은 비늘조각이 있고, 중앙맥은 양쪽으로 뛰어나오며, 측맥은 뚜렷하다. 포자낭군은 둥근 타원형, 지름 3~5mm, (1~)2~4줄로 달린다. 포막은 없다. 포자는 6~9월에 .. 2024. 3. 31.
수염이끼(처녀이끼속/3.13) [처녀이끼과 속 검색표] 1. 뿌리줄기는 갈색 털이 드물게 있으며, 포막은 2개의 판막으로 되어 있다. ----- 처녀이끼속 1. 뿌리줄기는 흑갈색 털이 빽빽이 붙으며, 포막은 컵모양이거나 깔때기 모양이다. 2. 포막은 반 정도만 열편 안으로 들어가 있다. ----- 괴불이끼속 2. 포막은 열편 안으로 거의 들어가 끝에서 두 갈래지거나 약간 파인다. ----- 누운괴불이끼속 속 명 뿌리줄기 지름 포막 위맥 처녀이끼속 0.2~0.3mm 2개의 판막 없음 괴불이끼속 0.4~0.6mm 컵모양 또는 깔대기 모양 있거나 없음 누운괴불이끼속 0.3~1mm 컵모양 없음 [처녀이끼속의 종 검색표] *공통사항 : 포막은 2개의 판막으로 되어 있고 포자낭군턱은 포막 안에 있다 1. 최종열편의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 2024. 3. 27.
버들참빗(3.13)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기재문].. 2024. 3. 18.
버들참빗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11.5)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기재문].. 2024. 2. 19.
부처손 (부처손과, 부처손속/11.4) [기재문] 학명은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산지의 바위에 붙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비늘잎으로 덮여 있고 끝이 땅 위로 올라와 곧추선다. 줄기는 땅속줄기에서 1개씩 나오며, 2~3번 가지를 치고 난상 긴 타원형으로 잎이 성글게 붙는다. 배 쪽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잔 톱니가 약간 있다. 등 쪽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배 쪽 잎보다 작다. 포자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1mm쯤,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포자낭이삭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길이 0.5~2.5cm, 사각기둥 모양이다. 바위손에 비해 잎이 모여나지 않으므로 구분되며, 개부처손에 비해 잎 밑부분.. 2024. 1. 29.
부처손(11.5) [부처손속의 종 검색표] 1. 영양엽은 2가지 모양으로 측면과 중앙에 각기 2줄로 배열하고, 측면의 잎이 중앙부의 잎보다 크다. 2. 줄기는 한 묶음의 헛줄기에서 여러 개가 방사상으로 나온다. ----- 바위손 2. 줄기는 벋는 줄기에서 1개씩 나온다. 3. 줄기는 곧게 자라다가 위에서 수회 가지를 친다. 4. 측면의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맨 아래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 개부처손 4. 측면의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 부처손 3. 줄기는 땅위를 기며 불규칙하게 가지를 친다. 5.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한다. 6. 포자엽은 단일 모양이고, 중앙의 잎은 대칭이며, 끝이 구부러지지 않는다. 7. 측면의 잎은 넓은 난형으로 끝이 .. 2022. 3. 26.
솔잎란 '18.11.5 / 제주도 2019. 1. 11.
돌토끼고사리(11.3) 돌토끼고사리란 돌틈에서 자라는 토끼고사리란 뜻이다. [잔고사리과의 속 검색표] 1. 포자낭군은 컵모양 또는 주머니모양의 진정한 포막이 있다. 2. 포자낭군은 잎 가장자리에 붙고, 포막과 연결되어 컵모양을 이룬다. ----- 잔고사리속 2. 포자낭군은 잎 가장자리에서 다소 안쪽에 붙고, 포막의 양측과 기부가 잎에 붙어 주머니모양을 이룬다. ----- 돌잔고사리속 1. 포자낭군은 포막이 없거나 잎 가장자리의 맥을 따라 연결된 위포막에 덮힌다. 3. 포자낭군은 잎맥의 끝에 달리며, 포막이 없다. ----- 점고사리속 3. 포자낭군은 잎 가장자리의 맥을 따라 연결된 위포막에 덮힌다. ----- 고사리속 [돌잔고사리속의 종 검색표] 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우편자루가 거의없다. ----- 돌잔고사리 .. 2019. 1. 9.
석위 '18.11.5 / 제주도 2019. 1. 5.
제주고란초 (11.5) [고란초속 비교] * 제주고란초 : 잎몸이 선상 피침형이고, 평행하다가 아래가 갑자기 좁아지고, 포자낭군이 붙는 자리가 깊게 파인다. 식물 목록엔 미등록됨. * 고란초 : 잎몸이 긴타원상 피침형으로 아래가 넓고 둥글게 좁아지고 포자낭군이 붙는 자리가 얕게 파인다. * 층층고란초 : 고란초가 상록성이고 잎이 단엽이거나 2~3개로 갈라지는 반면, 층층고란초는 하록성이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진다. * 큰고란초 : 고란초와 유사하나 잎몸이 중부에서 가장 넓은 장타원형이고, 기부에서 3개로 갈라지는 경우는 없고, 잎밑이 쐐기형인 점에서 구분됨. 제주도에 분포한다고 알려졌으나 확인되지 않고 있음. 고란초 (고란초과, 고란초속/3.21) [고란초속 비교] * 제주고란초 : 잎몸이 선상 피침형이고, 평행하다가 아래가 갑.. 2018. 12. 19.
꼬리쇠고사리 '18.11.4 / 제주도 꼬리쇠고사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70 [쇠고사리] : 경남, 제주도 우편은 3~7쌍. 잎몸은 2회로 갈라지고 끝이 정우편이 된다. 포자낭군은 소우편 가장자리에 붙고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꼬리쇠고사리] : 전남, 경남, 제주도 우편은 3~5쌍. 잎몸은 2회로 갈라지고 끝이 정우편이 되며 맨 아래 우편에 짧은 자루가 있는 1쌍의 긴 소우편이 있다.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과 자장자리의 중간에 붙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큰쇠고사리] : 전남, 경남, 제주도 우편은 8~11쌍. 잎몸은 2회로 갈라지고 끝은 정우편을 만들지 못한다.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과 자장자리의 중간에 붙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좀쇠고사리] : 전.. 2018. 12. 5.
반쪽고사리 '18.11.5 / 제주도 2018. 12. 1.
긴잎도깨비쇠고비 [특징] 포막 가장자리가 약간 갈라지고 가운데가 검은색이나 익으면 전체가 검은색을 띠고 우편 기부가 쐐기 모양 경향이 있다. 1. 우편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얕은 물결모양이다. 2. 우편은 난상 피침형이고, 기부가 둥글며, 포막은 중심부가 검은색을 띤다. ----- 도깨비쇠고비(해안형) 2. 우편은 피침형이고, 기부가 쐐기모양이며, 포막은 전체가 검은색을 띤다. ----- 긴잎도깨비쇠고비(산지형) 1. 우편의 가장자리는 톱니가 발달한다. ----- 참쇠고비, 윤쇠고비, 쇠고비, 산쇠고비, 반들산쇠고비 '18.11.3 / 제주도 2018. 11. 28.
일색고사리(11/4) '18.11.4 / 제주도 2018. 11. 27.
더부살이고사리 (무성아) [관중과의 속 검색표] 1. 포막은 둥근 방패형이고, 중앙에 부착점이 있다. 2. 잎맥은 규칙적으로 복잡한 그물맥을 이룬다. ----- 쇠고비속 2. 잎맥은 거의 유리맥이다. ----- 십자고사리속 1. 포막은 콩팥모양으로 중심부까지 갈라져서 그 아래 부착된다. 3. 소우편, 열편은 아래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쇠고사리속 3. 소우편, 열편은 위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관중속 속명 잎몸 잎맥 포막 쇠고비속 1회 우상 대부분 그물맥 둥근 방패형 십자고사리속 1~2회 대부분 유리맥 둥근 방패형 쇠고사리속 2~4회 우상 유리맥 콩팥모양 관중속 2~4회 우상 유리맥 콩팥모양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중축은 길게 뻗어 끝부분에 무성아가 생긴다. 우편 기부 윗쪽에 삼각상 귀가 있으며, 뒷면.. 2018. 11. 20.
솔잎란 '14.7.28 / 제주도 2014.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