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하66

황새냉이(3.7) [비교] 좁쌀냉이, 황새냉이(출처 : 한국의 들꽃, 일본 자료, 황새냉이속 논문)종명좁쌀냉이(Cardamine fallax)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근생엽 소엽의 부속물탁엽 같은 부속물이 엽액에 간혹 있다.경생엽의 소엽선형~좁은 긴 타원형이며 자루가없거나뚜렷하지 않다.선형~도피침형~긴 타원형~난형~원형이며 소엽의 자루는 1~2mm.열매 크기 / 종자 길이길이 1~2cm, 폭 0.6~0.9mm / 0.6~1mm길이 1.2~2.8cm, 폭 1~1.5mm / 0.9~1.5mm뿌리직근이 발달수염뿌리가 발달주1) 일반적으로 좁쌀냉이 줄기가 황새냉이에 비해 털이 많으나 털의 유무는 생육환경에 따라 변이가 심하므로        두 종을 구분짓는 형질로 사용할 수 없다.  주2) 큰황새냉이(C. sc.. 2025. 3. 10.
함백취(7.31) '21년 신종으로 발표.학명은 Saussurea albifolia M. J. Nam & H. T. Im 충북,경북,강원의 백두대간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적으로 백운취, 분취, 은분취와 유사하며, 변이의 폭도 넓다. 줄기는 가지를 잘 치며, 화서는 산방화서이고, 총포는 종형으로 14-16mm × 8-12mm이다. 총포편의 가장자리 중간-상부는 어두운 보라색이고, 잎 기부는 파상이거나 심장형이다. 잎 표면은 흰색 털로 덮여있다. 함백취 신엽(취나물속, 6.17)'21년 신종으로 발표.학명은 Saussurea albifolia M. J. Nam & H. T. Im 충북,경북,강원의 백두대간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적으로 백운취, 분취, 은분취와 유사하며, 변이의 폭도 넓다.  줄기는hyunsik.tist.. 2024. 8. 7.
흰무늬엉겅퀴 (국화과, 흰무늬엉겅퀴속 / 재배식물) 학명은 Silybum marianum Gaertn. 잎은 타원형으로, 잘게 찢어진 긴 가시가 있고, 이저, 잎맥에 연한 은흰색점이 있다. 머리모양꽃차례, 직경 5cm 정도크기. 총포조각이 크고 긴 가시가 있다. 밀크씨슬로 불리우며 간영양제로 복용하기 위해 재배하고 있다. '16.5.13 2024. 3. 1.
흰무릇(8.23) 무릇의 변종으로 흰꽃이 피는 무릇인데 흰꽃이 피는 다른 식물처럼 무릇으로 통합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23.8.23 2023. 8. 24.
흰꽃바디나물(9.21, 바디나물 이명) [비교] 처녀바디, 흰바디나물, 잔잎바디, 흰꽃바디나물(바디나물의 흰꽃)종명처녀바디흰바디나물잔잎바디잎  근생엽은 1회 우상복엽, 3~9개의  깃조각. 우편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2~3회 우상복엽이며  3개씩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잎의 첫번째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린다.  근생엽은 2~3회 우상복엽이며  엽병이 길고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싼다.꽃총포는 없다총포는 가늘고 길다.수개열매납작한 타원형. 유관은 늑 사이에1~2개, 합생면에 4개구형에 가깝다.구형. 유관은 늑 사이에 3개,합생면에 8개* 줄기 윗부분의 잎자루가 원통형인 반면, 바디나물(흰꽃바디나물)은  잎자루가 부풀어 배가 불룩한 보트 모양임.[당귀속의 종 검색표] 출처는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 2023. 3. 5.
흰바디나물 (8.14, 당귀속) [비교] 처녀바디, 흰바디나물, 잔잎바디, 흰꽃바디나물(바디나물의 흰꽃)종명처녀바디흰바디나물잔잎바디잎  근생엽은 1회 우상복엽, 3~9개의  깃조각. 우편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2~3회 우상복엽이며  3개씩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잎의 첫번째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린다.  근생엽은 2~3회 우상복엽이며  엽병이 길고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싼다.꽃총포는 없다총포는 가늘고 길다.수개열매납작한 타원형. 유관은 늑 사이에1~2개, 합생면에 4개구형에 가깝다.구형. 유관은 늑 사이에 3개,합생면에 8개* 줄기 윗부분의 잎자루가 원통형인 반면, 바디나물(흰꽃바디나물)은  잎자루가 부풀어 배가 불룩한 보트 모양임.[당귀속의 종 검색표] 출처는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 2023. 2. 17.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 '22.5.22 '22.5.19 2022. 9. 2.
흰산박하 (Rabdosia inflexa (THUNB.) HARA for.albiflora Y.LEE.for.nov.) '21.10.22 2022. 1. 1.
해란초아재비, 열매(8.8) 학명은 Kickxia elatine (L.) Dumort[해란초아재비 근연속과의 검색표] (출처는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해란초아재비'(2021년)1. 줄기는 포복성이다.    2. 줄기에서 뿌리를 내리지 않는다; 잎은 극형 또는 화살촉 모양이다. ----- Kickxia 해란초아재비속(해란초아재비)    2. 줄기에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신장형 또는 원형이다. ----- Cymbalaria 덩굴해란초속(덩굴해란초)1. 줄기는 직립성이다.    3. 악의 옆편 길이는 서로 같지 않다. ----- Linaria 해란초속(해란초, 좁은잎해란초, 애기금어초)    3. 악의 열편 길이는 서로 같다.        4. 화관 기부는 거가 발달한다. ----- Nuttallanthus 솔잎해란초속(솔잎해란초).. 2021. 8. 19.
흰큰구슬붕이(4.24) '20.4.24. / 경남 2020. 5. 30.
흰줄갈풀 (6.30) 갈풀의 변종 갈풀(5.9)'17.5.9 / 전주hyunsik.tistory.com 흰줄갈풀(5.30)갈풀의 변종'20.5.30hyunsik.tistory.com                   '19.6.30 / 경남 2019. 8. 1.
해녀콩 (11.5, 해녀콩) [특징]1. 모래가 많은 해변에서 자란다.2. 잎질은 두껍다.3. 종자는 독이 있다.[기재문]국명은 종자가 독이 있어 먹을 수 없으나 해녀들이 이 콩을 삶아서 낙태용으로 썼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희귀멸종위기식물학명은 Canavalia lineata (Thunb.) DC. 섬 지역의 모래가 많은 해변에서 드물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엽병이 길며 3출엽으로서 질이 두껍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이며 정소엽은 도란상 원형 또는 거의 원형이고 길이 6-12cm, 나비 4-10cm로서 두꺼우며 표면에 복모가 드문드문 있다. 탁엽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5mm로서 떨어지고 밑부분이 자라서 선으로 된다. 총상꽃차례는 액생하며 화경이 길고 마디가 굵어져서 선질(腺質)로 되며.. 2018. 11. 16.
한라돌쩌귀 (11.14) 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투구꽃속 비교] (출처는 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의 강의 자료)1. 덩굴성 : 국내에는 놋젓가락나물만 분포한다.종 명놋젓가락나물(A. ciliare DC.)줄바꽃(A. alboviolaceum Kom.)참줄바꽃(A. neotortuosum Nakai)가는줄돌쩌귀(A. volubile Pall.)화경의 털잔털퍼진 털 밀생퍼진 털 밀생긴 털열매(골돌) 5개, 털이 없다.3개. 짧은 털이 있다.5개. 털이 없다.5개. 털이 없다.잎 갈라짐전열세열(2회)세열(2회)세열(2회)분포전국 숲 가장자리북부지방강원 이북강원 이북 2. 꽃받침 상악이 오리형 : 진범과 흰진범은 유사하여 꽃색보다는 암술의 유모 또는 골돌의 유.. 2018. 11. 10.
홀아비꽃대 (5.13) [비교] 홀아비꽃대, 옥녀꽃대 (출처 : 2017년 한국특산식물도감, 김무열 저)종 명중앙 수술의 약잎의 거치포홀아비꽃대약이 없다.예리하다.거치가 없다.옥녀꽃대약이 있다.둔하다.2~3개의 거치가 있다.       '12.5.13 / 가평 2017. 5. 29.
호장근 (Fallopia japonica (Houtt.) RonseDecr.) '14.7.27 / 제주도 감절대 보기 : 왕호장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265 2016. 12. 4.
황해쑥 꽃 (9.25, 9.22) [특징]1. 줄기는 흰색 거미줄 모양의 털이 빽빽하게 나서 멀리서 보면 식물체는 은색을 띤다.2. 줄기 아래의 잎 앞면은 흰색 점이 많고, 뒷면은 흰색 거미줄 모양의 털이 빽빽하게 난다.3. 개화시 잎의 표면에 흰색 샘털이 분포한다.4. 뿌리 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어 모여 자란다.[기재문]학명은 Artemisia argyi H.Lev. & Vaniot이며 종소명  argyi는 '흰색 또는 은색'을 의미한다. 산기슭, 산지 풀밭, 덤불숲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높이 75~165cm, 흰색 거미줄 모양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 잎은 정삼각형에 가깝고 길이 6.0~8.5cm, 폭 4.5~5.0cm, 1회 깃꼴로 완전히 갈라지며, 앞면에 흰색.. 2016. 10. 17.
남하늘지기 (8.15) 다른 하늘지기와 달리 소수가 가까이 달려 있고 다년초이며 근경이 있는 것이 큰 특징.[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등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꽃은 양성화이다.     2. 소수의 소화는 성기게 달리며, 거의 양성화이다. -----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등    2. 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며(단, 세대가리, 파대가리속은 1~2개의 소화로 구성),        모두 양성화이다.        3. 소수는 소화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4. 화피편이 없다.                5. 암술대는 흔히 수과가 성숙하면 탈락한다. ----- 하늘지기속(Fim.. 2016. 9. 17.
호오리새 (Schizachne purpurascens (Torr.) Swallen) '16.6.25 [특징] 광릉개밀과 달리 소수에 자루가 뚜렷이 있다. 호오리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995 광릉개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62 2016. 8. 16.
흰사초 (Carex doniana Spreng.) '16.5.16 / 고창 흰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551 흰사초 수과 보기 : 2016. 8. 4.
흰꿀풀 (꿀풀과/6.1) [꿀풀류 검색표] 1. 뿌리와 가까운 잎을 제외한 모든 잎의 형태는 비슷하고 장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거치가 없거나 미세한 거치가 있다. 2. 줄기가 가늘고 포복경을 만든다. 순판은 약간 돌출되어 있고 화관 길이는 1.5cm 보다 짧다. 3. 화관이 자색이다. ----- 두메꿀풀 3. 화관이 흰색이다. ----- 흰꿀풀 2. 줄기가 두껍고 강인하고. 포복경을 만들지 않는다. 순판은 매우 돌출되어 있고 화관 길이는 2cm 이상이다. --- 꿀풀 1. 화서 아래 두번째와 세번째 잎이 매우 심하게 갈라져서, 엽션 길이의 1/6이상의 열편을 갖는다. ----- 갈래꿀풀 흰꿀풀 (6.14) [꿀풀류 검색표] 1. 뿌리와 가까운 잎을 제외한 모든 잎의 형태는 비슷하고 장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거치가 없거나 미세.. 2015. 8. 25.
함북사초 (Carex echinata Murr) '15.8.7 / 평창 / 수원사초와 유사 함북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620 함북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783 수원사초 보기 : 2015. 8. 13.
호자덩굴 꽃(6월) 호자덩굴 열매 (꼭두선이과, 호자덩굴속,11월) 꼭두선이과 특징은 꽃은 보통 방사대칭이고 꽃부리는 윗부분이 4-10갈래로 나뉜 통 모양을 하고 있으며, 수술은 꽃부리의 조각과 같은 수이다 [기재문] 학명은 Mitchella undulata Siebold & Zucc.이며 종 hyunsik.tistory.com '15.6.5 / 군산 호자덩굴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291928 2015. 7. 24.
흰제비꽃 (5.25) 광택이 나고 엽병에 날개가 발달한다.[흰들제비꽃 근연종 검색표] 출처 : '제비꽃속(제비꽃과)의 미기록 변종: 흰들제비꽃' (2015년)1. 자방은 유모. ----- 털제비꽃 V. phalacrocarpa1. 자방은 무모.    2. 잎은 난형이나 심장형. ----- 울릉제비꽃 V. ulleungdoensis    2. 잎은 장피침형.        3. 꽃은 백색.            4. 엽병은 날개가 있다. 화경은 녹색. 악편부속기 는 짧고 끝이 둥글다.                 5. 엽병 상부 날개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상판 꽃잎에 줄무늬가 없고 기부에 털이 없다.                     고지대 분포. ----- 흰제비꽃 V. patrinii                5. 엽병 .. 2015. 6. 3.
호골무꽃 (6.15, 꿀풀과) [기재문]화관이 호처럼 휘어져 호골무꽃이라 부름.학명은 Scutellaria pekinensis var. ussuriensis (Regel) Hand.-Mazz.다년초.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잎은 대생하고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질이 얇고 길이 2-4cm, 나비 1.5-2.5cm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총상화서는 끝에 달리며 길이 3-6cm로서 퍼진 선모가 있거나 털이 없고 소화경에털이 있다. 꽃받침은 꽃이 필 때는 길이 2-2.5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5mm로서 상층에 부속편이 있다.화관은 밑부분에서 굽어 위를 향하며 길이 15-20mm로서 끝이 양순형으로 갈라지고 상순은 하순 길이의 1/2정도이며 하순은 3개로 갈.. 2015. 5. 31.
한라꽃장포(7.27) [비교] 숙은꽃장포, 한라꽃장포, 울릉꽃장포, 꽃장포 (출처 : '한국의 산꽃', 'Tofieldia ulleungensis (Tofieldiaceae): A new species, endemic to Ulleungdo Island, Korea')종명숙은꽃장포한라꽃장포울릉꽃장포꽃장포꽃색백색 또는 연한 적색 백색 또는 연한 적색 백색백색꽃자루 길이0.5~2mm2~5mm2~3mm5~9mm소포3개3개2개3개잎폭2~4mm 2~4mm 5.5mm2.5~3mm분포백두산한라산, 경남 가야산울릉도 높은 산지(미륵봉)의 바위지대강원, 경기(포천)의 바위지대* 숙은꽃장포는 꽃이 조밀하게 모여 달리고, 한라꽃장포는 숙은꽃장포에 비해 꽃이 성기게 달린다.[A : 울릉꽃장포,    B : 꽃장포,    C : 숙은꽃장포,    .. 2015. 3. 24.
한라참나물 신엽(7.27) '14.7.27 / 한라산 대마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623739참나물 보기 :큰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04그늘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962가는참나물 보기 :백야기참나물 보기 : 잎은 근엽과 경엽이 1-2회 3출복엽이다. 근엽은 개화시까지 그대로 남는다. 잎의 양면에 털이 산생하고 특히 엽연과 주맥부상의 다세포 털은 2-4마디를 가지며 마디 부분이 잘록하다. 총생엽은 근생엽의 것은 길고 경생엽의 것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엽초가 있다. 소엽병은 명료하다. 잎의 횡단면은 주맥의 상하부가 V자형으로 다소 돌출한다. 엽병은 반월형에 뚜렷한 5개의 각이 있으며 .. 2015. 3. 18.
헐떡이풀 꽃(5.17) '14.5.17 / 울릉도 다년초헐떡이풀 열매 보기 : 근생엽은 총생하며 심원형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5개로 갈라지며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이 각 2-7cm로서 표면에 긴 털이 있으며 뒷면 특히 맥위에 긴 털과 짧은 털이 퍼져 난다. 엽병은 길이 2-10cm로서 긴 털과 퍼진 선모가 있고 탁엽은 막질이며 갈색이다.화경은 높이 10-40cm로서 선모가 있고 짧은 대가 있는 2-3개의 잎이 달리며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밑으로 처지고 총상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1개의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소화경은 길이 3-7mm로서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길이 2-3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침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수술은 10개로서 꽃 밖으로 나와 있다.삭과는 상하 2개의 심피로 되어 1개.. 2014. 11. 28.
흰겨이삭(7.13)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포영은 막질이고 반짝거리며 1맥이 있다.- 소수는 소화 1개만 있으며 길이는 2~3mm로 작다.- 포영의 용골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흰겨이삭의 특징]- 들겨이삭처럼 지하경이 길게 뻗어 군락으로 자란다.- 소수는 황록색 또는 자색이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 2014. 8. 5.
화살사초 (Carex transversa Boott) '13.6.7일 / 경남 화살사초 수과 보기 : 긴화살사초 보기 : 화살사초에 비해 자인편이 길다 도깨비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574 흰꼬리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07 잎은 호생하고 편평하며 선형이고 길이 40㎝, 폭 2.5-5.5㎜이며 부드럽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다소 거.. 2013. 8. 1.
흰타래난초 (Spiranthes sinensis for. albiflora Y.N.Lee) '13.6.23일 / 대구 타래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750158 큰 근생엽은 길이 5-20㎝, 나비 3-10㎜로서 주맥이 들어가고 밑부분이 짧은 초로 되며 근생엽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5-8월에 피며 나선상으로 꼬인 수상화서에 옆을 향해 달리고 백색이며 포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 201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