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풀(4.30, 향기풀속)
[기재문]학명은 Anthoxanthum odoratum L.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길가, 밭둑모여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성글게 모여나고, 높이 20~50cm이며, 마디는 1~3개 있다. 아래의 잎집은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1~12cm이고, 너비 1.5~5.0mm이며, 양면에 털이 있고 향기가 난다. 잎혀는 길이 1~5mm이고, 끝이 둔하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원기둥 모양으로 줄기 끝에 작은이삭이 모여 달리며, 길이 4~10cm이다. 작은이삭은 피침형으로 7.0~9.5mm이며, 세 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은 털이 있고, 제1포영은 길이 3.5~5.0mm이고 맥이 하나이고, 제2포영은 길이 7.0~9.5mm이고 세 개의 맥이 있다. 두 번째 꽃의 까락은 가장 아래에..
2025. 5. 18.
함백취(7.31)
'21년 신종으로 발표.학명은 Saussurea albifolia M. J. Nam & H. T. Im 충북,경북,강원의 백두대간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적으로 백운취, 분취, 은분취와 유사하며, 변이의 폭도 넓다. 줄기는 가지를 잘 치며, 화서는 산방화서이고, 총포는 종형으로 14-16mm × 8-12mm이다. 총포편의 가장자리 중간-상부는 어두운 보라색이고, 잎 기부는 파상이거나 심장형이다. 잎 표면은 흰색 털로 덮여있다. 함백취 신엽(취나물속, 6.17)'21년 신종으로 발표.학명은 Saussurea albifolia M. J. Nam & H. T. Im 충북,경북,강원의 백두대간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적으로 백운취, 분취, 은분취와 유사하며, 변이의 폭도 넓다. 줄기는hyunsik.tist..
2024. 8. 7.
한라꽃장포(7.27)
[비교] 숙은꽃장포, 한라꽃장포, 울릉꽃장포, 꽃장포 (출처 : '한국의 산꽃', 'Tofieldia ulleungensis (Tofieldiaceae): A new species, endemic to Ulleungdo Island, Korea')종명숙은꽃장포한라꽃장포울릉꽃장포꽃장포꽃색백색 또는 연한 적색 백색 또는 연한 적색 백색백색꽃자루 길이0.5~2mm2~5mm2~3mm5~9mm소포3개3개2개3개잎폭2~4mm 2~4mm 5.5mm2.5~3mm분포백두산한라산, 경남 가야산울릉도 높은 산지(미륵봉)의 바위지대강원, 경기(포천)의 바위지대* 숙은꽃장포는 꽃이 조밀하게 모여 달리고, 한라꽃장포는 숙은꽃장포에 비해 꽃이 성기게 달린다.[A : 울릉꽃장포, B : 꽃장포, C : 숙은꽃장포, ..
201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