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미과77

둥근인가목 (장미과, 장미속/5.26) [비교] 인가목, 둥근인가목, 생열귀나무, 흰인가목종명잎꽃꽃받침이 꽃잎보다열매인가목(민둥인가목)  소엽은 3~7개(길이 3~5cm),  뒷면에 선점이 없음  5~6월에 연한 홍색,  화경에 잔털과 샘털이   밀생훨씬 길다적색의 장타원형. 길이 1~2cm둥근인가목  소엽은 5~11개(1~2cm)  잎 양면에 털이 거의 없음  5월 중순에 백색,  화경에 샘털이 없음매우 작다흑갈색의 구형길이 0.8~1.5cm생열귀나무(붉은인가목)  소엽은 5~9개(3~4cm),  뒷면은 회녹색이고   선점이 있음  6~7월에 연한 홍색,  화경에 샘털이   드물게 있음 같거나 작다적색의 구형.길이 1~1.5cm.흰인가목  소엽은 7~15개(1~3cm),  잎 양면에 털이 거의 없음  5~6월에 백색 또는 연한   분홍색, .. 2023. 5. 30.
개살구나무 (장미과, 벚나무속) 개체내 다양한 형질이 있는 듯 하다. 이 종은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지 않고 잎에 털이 많다. '21.4.25 2023. 4. 16.
자두나무 꽃 '23.3.25 자두 열매, 잎 '23.6.16 자두나무 꽃 '23.3.25 hyunsik.tistory.com hyunsik.tistory.com 2023. 4. 3.
자엽꽃자두(자엽자두) '23.3.21 2023. 3. 25.
터리풀(7.10, 장미과, 터리풀속) '한국산 터리풀속(Filipendua Adens.)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2017년)에 의하면한국산 터리풀속은 6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본 연구 결과붉은터리풀은 터리풀과 지리터리풀의 오동정이고, 큰터리풀과 참터리풀은 국내 채집 기록이 없어국내에 분포하는 터리풀속은 지리터리풀, 터리풀, 단풍터리풀 3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또한, 열매 길이는 다양해서인지 형태만 언급되어 있다.[터리풀속 종 비교표] 출처 : 한국의 산꽃,  한국산 터리풀속(Filipendula Adans.)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구 분지리터리풀(Filipendula formosa)지리산 일대 산지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전국의 산지단풍터리풀(Filipendula palmata)강원도 이북 산지(횡성군)꽃 색연한 .. 2023. 2. 16.
남해조팝나무 (4.19, 당조팝나무로 통합) 학명은 Spiraea nankaiensis Nakai일본인 식물학자인 나카이가 1928년 5월 16일 남해에서 발견했다.산과 들에 자라는 낙엽떨기나무이고 키는 높이는 1.5~2.0m 이다.줄기는 윤기가 있는 밤색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표면에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에는 중간에서 윗부분에 톱니모양으로 되어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며, 꽃차례는 줄기의 윗부분에 발달하는 곁눈이 모두 산방꽃차례가 되어 한 꽃차례당 4~6개가 달린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1.5cm정도이다. 열매는 골돌이며,5~9월에 익는다. 此南海しもつけト新稱スル新種ハうすげしもつけヲ小サクシ枝ヲ繁クシ葉ヲ短ク幅廣クシ、萼片ヲ狹クシタ樣ナしもつけノ一種デアル。朝鮮慶尙南道南 海島卜全羅南道麗水郡外羅老面艾島トデ予自ラ採ッタモソデアル。본종은 아구장.. 2022. 4. 26.
복사나무(4.2, 4.4) [특징]1. 자방에는 털이 밀생하고 암술대는 수술보다 약간 길다.2. 겨울눈은 백색의 털로 덮혀있다.[비교] 복사나무, 산복사나무 (출처 : 한반도 수목지6)종명복사나무(Prunus persica (L.) Batsch for. persica)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잎이면 맥에 털이 산재하거나 드물게 무모.이면은 무모.꽃받침바깥은 유모바깥은 무모중과피두텁다.얇다.내과피(핵과)횡으로 납작하고, 끝은 뾰족하다.보통 옆으로 납작하지 않고, 끝은 둔하다. 아구형분포전국중국 중부 및 북부. 국내는 분포하지 않음.주. 복사나무에 비해 잎끝이 셋으로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는 나무를 '풀또기'라 한다.[기재문]학명은 Prunus persica (L.) Batsch fo.. 2021. 6. 16.
좀쉬땅나무 꽃 (6.13, 쉬땅나무속) [비교] 쉬땅나무, 좀쉬땅나무종 명쉬땅나무좀쉬땅나무(관상용으로 식재함)학 명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owicz,Trudy Imp.잎소엽은 7~11쌍, 잎 뒷면에 털과 성상모가 밀생?.소엽은 5~10쌍, 잎 뒷면에 긴 털이 있다.꽃받침 열편털이 있고 삼각형 모양이고 끝이 뾰족.털이 없고 반원형 내지 계란형이고 끝이 둔함.꽃차례화경, 소화경에 털이 있다. 하늘을 보고 서 있음.화경, 소화경에 털이 없다. 땅을 향해 늘어짐.수 술40~50개, 꽃잎 길이보다 2배 정도 길다.20개 정도, 꽃잎 길이와 거의 비슷.열 매길이 4~6mm. 표면에 털이 밀생한다.길이 2.5~5.5mm. 표면에 털.. 2021. 4. 18.
섬개야광나무 (10.17, 장미과 섬개야광나무) 사과나무속 : 야광나무섬개야광나무속 : 섬개야광나무, 둥근잎개야광(=개야광나무, 삼척시 덕항산에 자생) [기재문]학명은 Cotoneaster wilsonii Nakai멸종위기야생동·식물Ⅰ급. 울릉도 특산식물잎은 호생하고 난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둔두이다. 맹아에 달려 있는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표면에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뒷면에 처음에는 털이 많지만 점차 적어진다. 엽병은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탁엽은 선형이고 길이 1-4mm로서 끝까지 남는다.꽃은 5-6월에 피며 산방상 원추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의 털은 꽃이 핀 다음 떨어지며 흑자색의 포와 소포가 있다. 꽃받침통은 소포로 둘러싸이고 노목의 것은 털이 없으나 어린 나무의 것은 털이 있으며 꽃받.. 2021. 4. 7.
당양지꽃 (장미꽃, 양지꽃속) [비교] 당양지꽃, 돌양지꽃, 섬양지꽃 (출처 : 한국의 산꽃)종명당양지꽃(P. ancistrifolia Bunge)돌양지꽃 = 참양지꽃(P. dickinsii Franch. & Sav.)섬양지꽃(P. dickinsii var. glabrata Nakai)잎3출 겹잎 또는 5~9개의 소엽3출 겹잎 또는 5개의 소엽.잎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은흰빛을 띤다.3출 겹잎 또는 5개의 소엽.  잎 앞면에 털이 없고잎 뒷면은 연녹색탁엽선상 피침형~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밋밋하거나 2~3개로 깊게 갈라진다.피침형피침형분포경북 이북의 석회암 지대 또는 강가 바위전국의 산지 바위울릉도의 산지 바위[기재문]학명은 Potentilla rugulosa Kitag.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 2020. 4. 12.
세잎양지꽃 (4.24) [기재문] 학명은 Potentilla freyniana Bornm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자생한다. 잎은 3출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원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5cm, 폭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자주빛이 돌며 탁엽은 난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3-4월에 길이 15-30cm의 화경이 나와서 꽃이 피며 취산화서를 형성하고 꽃은 지름 10-15mm 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예첨두이고 표면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부악편은 선형이다.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고 요두이며 꽃받침보다 1.5배 정도 길고 암술과 수술이 많으며 화탁에 털이 약간 있다. 열매.. 2020. 3. 5.
끈끈이딱지(8.29) [기재문]학명은 Potentilla viscosa J.Don함남북에 나며 만주, 몽고,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의 건조한 비탈면에 분포한다.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엽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겹잎으로 소엽은 5~13개이다.소엽은 선상 장 타원형으로 끝은 둔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잎몸에 부드러운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기부가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싼다.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포는 결각상 톱니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난상 장 타원형, 부악편은 난상 피침형,꽃잎은 거꿀달걀모양으로 각각 5개이다. 과실은 수과로 털이 없다. 상부에서 분지하며 끈끈한 털이 밀생한다. 끈끈이딱지 신엽(4.7)[기재문]학명은 Potenti.. 2019. 9. 1.
청복분자딸기 (7.5) 잎 앞면은 광택이 있고 잎 뒷면은 녹백색인 복분자딸기에 비해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다.[비교] 복분자딸기, 청복분자딸기, 가시복분자딸기종명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청복분자딸기[R. coreanus Miq. var. concolor ]가시복분자딸기[Rubus schizostylus H.Lev.]잎소엽은 5~7개뒷면 맥에 털이 있다.소엽은 3~7개뒷면에 털이 없다.소엽은 3~5개양면에 털이 있다.줄기직립직립포복성비고줄기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려 새로운 개체를 만듬.열매 결실율이 매우 낮다* 단풍잎복분자(Rubus chingii hu)는 열매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며 전남 고흥에서 발견되었다.[분류학적 논의] 출처 : 한국의 수목지 5국내에서 복분자딸기는 청복분자딸기 및 .. 2019. 7. 8.
겨울딸기 (장미과, 산딸기속/11.3) 열매가 겨울에 익기 때문에 '겨울딸기'라고 한다. 상록성으로서 줄기가 땅을 기며, 잎이 단엽이고 뒷면에 갈색 털이 밀생하는 것이 특징 [기재문] 학명은 Rubus buergeri Miq.이며 종소명 buergeri는 일본 식물 채집가 Buergeri에서 유래. 탁엽은 잎과 떨어져 있어 일찍 떨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둥근 단엽으로 예두 또는 둔두,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와 너비가 약 5-10cm이다. 가장자리는 얕게 결각상으로 갈라지고 약간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은 융모가 밀생하며 맥이 돌출한다. 꽃은 6-7월에 피고 4-10개가 액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며, 화서에는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있고, 화관은 지름 1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잎은 원형이고 자방은 털이 없.. 2018. 12. 18.
인가목조팝나무 (6.10) [기재문]학명은 Spiraea chamaedryfolia L. 깊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1m 정도로 자란다. 가지에 뚜렷한 능선이 있고 털은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cm이고 표면에는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는 겹톱니이다. 잎자루는 길이 4~7mm이다. 꽃은 양성화로 5~6월에 흰색으로 피며 새 가지 끝의 산방 또는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열매는 골돌로 길이 3mm 정도, 4~5개씩 모여 있으며, 뒷면 끝에 돌기가 있다. 암술대는 복면 끝에 달리고 길이 2.5mm이고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7~9월에 성숙한다. 경남 및 전북 이북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북부, 몽골, 러시아 서부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이 긴 타원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결각상 뾰족한 겹톱니.. 2018. 7. 17.
올벚나무 꽃, 잎(4.13) 왕벚나무 : 올벚나무와 일본 벚나무(소메이요시노)의 교잡종으로 꽃자루, 꽃받침통, 암술대 아래에 털이 있다. 제주왕벚나무 : 한국 특산식물. 올벚나무(모)와 산벚나무(부) 교잡종으로 암술대 아래에만 털이 있다. [기재문] 학명은 Prunus spachiana (Lavall?e ex Ed.Otto) Kitam. f. ascendens (Makino) Kitam.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높이 1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잔가지는 회자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잎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은 뾰족하고, 길이 6~1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만 털이 남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 또는 뾰족한 겹톱니가 있다. 잎자.. 2018. 4. 17.
단풍잎복분자(5.9) [비교] 복분자딸기, 청복분자딸기, 가시복분자딸기종명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청복분자딸기[R. coreanus Miq. var. concolor ]가시복분자딸기[Rubus schizostylus H.Lev.]잎소엽은 5~7개뒷면 맥에 털이 있다.소엽은 3~7개뒷면에 털이 없다.소엽은 3~5개양면에 털이 있다.줄기직립직립포복성비고줄기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려 새로운 개체를 만듬.열매 결실율이 매우 낮다* 단풍잎복분자(Rubus chingii hu)는 열매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며 전남 고흥에서 발견되었다. 섬딸기 (6.18 / 장미과, 산딸기속)[비교] 섬나무딸기, 거제딸기, 맥도딸기, 섬딸기1. 꽃이 여러개       2. 엽병과 잎 이면에 가시가 있다.  --- 산.. 2017. 6. 5.
흰인가목 꽃(6.5) [비교] 인가목, 둥근인가목, 생열귀나무, 흰인가목종명잎꽃꽃받침이꽃잎보다열매인가목(민둥인가목)  소엽은 3~7개(길이 3~5cm),  뒷면에 선점이 없음  5~6월에 연한 홍색,  화경에 잔털과 샘털이  밀생훨씬 길다적색의 장타원형. 길이 1~2cm둥근인가목  소엽은 5~11개(1~2cm)  잎 양면에 털이 거의 없음  5월 중순에 백색,  화경에 샘털이 없음매우 작다흑갈색의 구형길이 0.8~1.5cm생열귀나무(붉은인가목)  소엽은 5~9개(3~4cm),  뒷면은 회녹색이고  선점이 있음  6~7월에 연한 홍색,  화경에 샘털이  드물게 있음 같거나 작다적색의 구형.길이 1~1.5cm.흰인가목  소엽은 7~15개(1~3cm),  잎 양면에 털이 거의 없음  5~6월에 백색 또는 연한  분홍색, 화경에 잔.. 2016. 9. 26.
개벚지나무 (장미과, 벚나무속) [비교] 산개벚지나무, 개벚지나무, 귀룽나무 종 명 산개벚지나무 (Prunus maximowiczii Rupr.) 개벚지나무 (Prunus glandulifolia Rupr.) 귀룽나무 (Prunus padus L.) 피목 짙은 회색이고 가로로 길고 큰 피목이 발달하며 오래되면 종잇장처럼 얇게 벗겨진다. 수피는 황갈색으로 광택이 나며 가로로 긴 피목이 발달한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피목이 발달하고 오래되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 맥 위에는 누운 털이 밀생한다. 측맥은 6~9쌍 잎자루에 털이 밀생한다. 잎 뒷면은 선점이 밀생. 측맥은 10~13쌍. 엽병에 털이 있고 끝에 2개의 밀선 탁엽은 선형 잎 뒷면에 선점이 없고 맥 겨드랑이에 잔털이 약간 있다. 측맥은 8~14쌍. 잎자루에는 털이 없고 끝부분에 2개.. 2016. 7. 5.
산돌배 열매, 잎 (5.22) [배나무속 종 검색표1]1. 열매에 꽃받침이 없다     2. 열매 지름 : 6~15cm 배나무(돌배나무의 변종) / 3~4cm 돌배나무1. (익을 때까지)열매에 꽃받침이 있다     2. 열매지름이 3cm 이상          3. 암술대에 털이 없다 : 참배나무, 서양배나무          3. 암술대에 털이 있다 :                4. 어린가지에 털이 없다 : 취앙네, 문배, 산돌배, 털산돌배               4.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 : 남해배나무, 합실리     2. 열매지름이 22mm 이하         3. 열매지름이 10mm 이하 : 콩배나무(원형)         3. 열매지름이 22mm 이하 : 위봉배(타원형), 개위봉배(도란형)[배나무속 종 검색표2] 출처 : 한국.. 2016. 7. 3.
산개벚지나무 (Prunus maximowiczii Rupr.) [비교] 산개벚지나무, 개벚지나무, 귀룽나무 종 명 산개벚지나무 (Prunus maximowiczii Rupr.) 개벚지나무 (Prunus glandulifolia Rupr.) 귀룽나무 (Prunus padus L.) 피목 짙은 회색이고 가로로 길고 큰 피목이 발달하며 오래되면 종잇장처럼 얇게 벗겨진다. 수피는 황갈색으로 광택이 나며 가로로 긴 피목이 발달한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피목이 발달하고 오래되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 맥 위에는 누운 털이 밀생한다. 측맥은 6~9쌍 잎자루에 털이 밀생한다. 잎 뒷면은 선점이 밀생. 측맥은 10~13쌍. 엽병에 털이 있고 끝에 2개의 밀선 탁엽은 선형 잎 뒷면에 선점이 없고 맥 겨드랑이에 잔털이 약간 있다. 측맥은 8~14쌍. 잎자루에는 털이 없고 끝부분에 2개.. 2016. 6. 6.
원산딱지꽃 (Potentilla nipponica Th.Wolf) '15.7.11 딱지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493853 소엽은 7-13개이고 우상으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도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엽병이 없고 열편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리듯이 도드라지며 뒷면은 백색 면모가 있어 은백색이 돌고 소엽 사이에 소열편이 없으며 탁엽은 타원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3mm로서 황색이며 화경(花莖)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6mm이며 부악편은 꽃받침과 비슷하고 꽃받침과 더불어 겉에 면모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밋밋하다. 2015. 9. 22.
산뱀딸기 열매(6.19) [비교] 뱀딸기속, 양지꽃속- 뱀딸기속 : 개화이후 딸기처럼(딸기속) 화탁이 부풀어 과육이 생성된다.- 양지꽃속 : 화탁이 부풀어 오르지 않고 과육이 없다.[비교] 뱀딸기, 산뱀딸기종명뱀딸기(D. indica (Andr.) Focke)산뱀딸기(D. chrysantha (Zoll. & Mor.) Miq.)잎/꽃/열매  크기산뱀딸기에 비해 크다.뱀딸기에 비해 작다.열매윤기가 있고 열매 겉에는 작은 돌기가 없다.윤기가 없고 열매 겉에는 작은 돌기가 있다.환경 조건양지반양지주. 덩굴뱀딸기(Potentilla flagellaris Willd. ex Schltdl. )는 양지꽃속이며 엽신은 5출엽이다. 산뱀딸기 꽃(4.26)[비교] 뱀딸기속, 양지꽃속- 뱀딸기속 : 개화이후 딸기처럼(딸기속) 화탁이 부풀어 과육이 .. 2015. 8. 13.
멍석딸기 (5.27) [기재문]학명은 Rubus parvifolius L. 잎은 호생하고 3출우상복엽이지만 맹아에 있어서는 5개씩 달린 것도 있으며, 소엽은 길이 2~5cm로서 광란형또는 도란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정소엽은 흔히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고엽병에도 털이 나 있다. 가장자리에 결각모양의 톱니가 있다.꽃은 5-6월에 피고 연분홍색이다. 산방화서, 원추화서 또는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화경에 가시와 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길이 7-8㎜로서 피침형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잎은 5장이고 적색이며 길이는 5㎜로서 위를 향하고 꽃받침보다 짧다.열매는 장과이며 지름 1.2-1.5㎝인 반원형이며 대형으로 7-8월에 붉게 익는다. 표면에 단모가 있고 식용하기도 한다.처음에는 곧게 서는 듯하지만 옆으.. 2015. 7. 2.
가락지나물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14.5.1 / 함안 2015. 6. 6.
야광나무 (5.1, 사과나무속) [비교] 아그배나무, 야광나무종 명아그배나무야광나무꽃의 지름 2~3cm 3~3.5cm수술의 길이꽃잎 크기와 비슷꽃잎의 1/2 정도잎어린 잎은 결각이 있고 엽저는 대칭.결각이 없으며 엽저가 비대칭.엽병 길이1~2.5cm2~5cm탁엽 길이4~6mm3mm꽃받침통과 열편열편에 털이 밀생.꽃받침통과 열편 모두 털이 밀생.종자 길이2.5~3mm이며 내과피에 싸여 있다3~5mm이며 내과피에 싸여 있다     '12.5.1 / 영월 2015. 4. 20.
가시복분자딸기 (7.26) 청복분자딸기 잎 앞면은 광택이 있고 잎 뒷면은 녹백색인 복분자딸기에 비해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다.[비교] 복분자딸기, 청복분자딸기, 가시복분자딸기종명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청복분자딸기[R. coreanus Miq. var. concolor ]가시복분자딸기[Rubus schizostylus H.Lev.]잎소엽은 5~7개뒷면 맥에 털이 있다.소엽은 3~7개뒷면에 털이 없다.소엽은 3~5개양면에 털이 있다.줄기직립직립포복성비고줄기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려 새로운 개체를 만듬.열매 결실율이 매우 낮다* 단풍잎복분자(Rubus chingii hu)는 열매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며 전남 고흥에서 발견되었다.[분류학적 논의] 출처 : 한국의 수목지 5국내에서 복분자딸기는 청복.. 2015. 3. 15.
복분자딸기 (7.26) [기재문]학명은 Rubus coreanus Miq.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3-7개이고 길이 3-7㎝로서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기부는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겹톱니가 있고 면모로 덮여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 위에만 약간 남고 엽병에 가시가 있다. 잎길이 3-7㎝이다.꽃은 담홍색으로 5~6월에 피고 가지 끝의 산방 또는 복산방화서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길이 6㎜의 난상 피침형으로 털이 있고 꽃이 지면 뒤로 말린다. 꽃잎은 길이 5㎜로서 꽃받침보다 짧고 도란형으로서 연한 홍색이다. 자방에 털이 있다. 열매(과실군)는 둥글고 7~8월에 적색으로 익지만 나중에는 흑색으로 된다. 과실을 복분자라 한다.높이가 3m에 달하고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줄기는 자주색 또는 적색이.. 2015. 3. 15.
돌배나무 (9.13) [배나무속 종 검색표1]1. 열매에 꽃받침이 없다     2. 열매 지름 : 6~15cm 배나무(돌배나무의 변종) / 3~4cm 돌배나무1. (익을 때까지)열매에 꽃받침이 있다     2. 열매지름이 3cm 이상          3. 암술대에 털이 없다 : 참배나무, 서양배나무          3. 암술대에 털이 있다 :                4. 어린가지에 털이 없다 : 취앙네, 문배, 산돌배, 털산돌배               4.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 : 남해배나무, 합실리     2. 열매지름이 22mm 이하         3. 열매지름이 10mm 이하 : 콩배나무(원형)         3. 열매지름이 22mm 이하 : 위봉배(타원형), 개위봉배(도란형)[배나무속 종 검색표2] 출처 : 한국.. 2015. 3. 8.
섬딸기 (3.22) [기재문] 학명은 Rubus ribisoideus Matsum. 잎은 삼각상 난형이고 예두 또는 짧은 예첨두이며 심장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5-7cm, 폭 4-6cm로 양면 또는 맥위에 짧은 털이 나 있으며, 3-5 중열 또는 천열되고 가장자리는 3-5개로 반쯤 갈라지며 불규칙한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흰꽃은 3-4월에 새가지 끝의 1개씩 달리며, 화병은 길이 1-2cm로 꽃받침과 함께 융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은 난상 장타원형으로 첨두이고 안쪽에 짧은 털이 밀생하고 꽃잎은 난상 원형이며 백색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1.5cm로서 옆으로 퍼진다. 열매는 길이 0.2㎜로 둥글며 분과(分果)에 털이 약간 있고 7월에 홍황색으로 익는데, 종자에 무늬가 있다.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굵고 가시가 없으며 소지에.. 2014.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