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바92

백운취(취나물속, 9.13) 인터넷상에 등록된 백운취와 제가 본 식물체는 백운취 기재문과 유사하지만 개화시 근생엽이 숙존한다는 점에서 논문에 기재된 내용(개화시 근생엽은 시든다 등)과 상이하여 제가 본 식물체는 백운취가 아니거나 아니면 제대로 관찰하지 않고 논문을 작성하지 않나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운취로 동정하지만 향후 재 검토할 필요가 있다.------------------------------------------------------------------------------------------------------------------------백운취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전남 광양군 백운산 억불봉(1,008m) 근처 암석지 사이에서 발견됨. 논문 바탕으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특징]1. 산지의.. 2024. 9. 19.
보현개별꽃(4.23) [개별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2019년)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립한다.        3. 잎은 침형 또는 선상피침형이다. ----- 가는잎개별꽃        3. 잎은 피침형, 난상피침형, 난형이다.            4. 엽연과 잎이면 중륵에 털이 있다. ------ 긴개별꽃            4. 잎 기부에만 털이 있다. ----- 애기개별꽃    2. 개화 후에 덩굴성이 된다.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동형(난형)이며, 종자가 결실한다. ----- 덩굴개별꽃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이형이며,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 2024. 6. 19.
백운현호색(4.17) 탐라현호색, 난장이현호색, 백운현호색 중에서 비교 검토한 결과 백운현호색에 가장 가깝다  * 식물체는 현호색보다 작으며 남도현호색 수준이다.* 인편엽에서 줄기는 1~2개 나오며 잎의 변이가 매우 심하고 엽연이 매끄럽다.* 꽃은 하늘색~연한 분홍색이고 1~11개까지 달리며 화서와 엽병에는 없지만 털이 있기도 한다.* 거는 아래로 굽는 편이다.* 포는 장상형으로 잘게 쪼개진다.*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는 2열로 배열(현호색은 선형)* 화통이 살짝 부풀고 외화판은 자방부위에서 반구형으로 융기하고 내화판의 선단은 돌출함.(난쟁이현호색은 양끝이 돌출) ========================================================================='현호색속 분류학적 재검토.. 2024. 4. 18.
비바리골무꽃(5.11) [비교] 골무꽃, 떡잎골무꽃* 골무꽃 : 잎은 얇은 편이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거의 없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운 심장형이다.                어린 개체에서는 엽맥의 함몰이 있지만, 성장하면서 없어진다.                 줄기는 거의 녹색으로 기부 일부만 자색이 돈다. * 떡잎골무꽃 : 잎은 두껍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뚜렷하고, 엽형은 삼각상 심장형이다. 골무꽃의 변종.                       성숙한 개체에서도 엽맥의 함몰이 뚜렷하다.                         엽병과 엽신이 만나는 곳이 유저의 형태. 줄기는 3/4이상까지 뚜렷한 자색을 띤다. [골무꽃 변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골무꽃속(꿀풀과) 식물의 분류 논문(1995년, 김상태, 이상태) 1... 2024. 2. 12.
반달콩제비꽃 (10.30, 제비꽃속) 제비꽃과의 특징은 5개의 꽃잎은 모두 같은 모양이 아니며, 1개는 순판으로 발달되어 밑부분에 꿀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수술은 5개. 씨방은 상위로 1개의 방을 가지고 있는데, 그 안쪽 벽에는 다수의 밑씨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 학명은 Viola verecunda var. semilunaris Maxim. 콩제비꽃의 변종이며 개화기간이 길고, 근생엽은 초승달모양이 콩팥모양인 콩제비꽃과 다르다. 콩제비꽃'23.5.9hyunsik.tistory.com 콩제비꽃 신엽'22.3.27hyunsik.tistory.com'16.10.30 2023. 12. 4.
버들마편초 (9.9) '22.9.9 / 식재 2022. 9. 19.
벼룩아재비 꽃, 열매, 뿌리 (8.19 / 마전과, 벼룩아재비속) 마전과의 특징은 잎자루 아래쪽에 잎처럼 생긴 부속물이 있으며 꽃은 가지 끝에 무리지어 피며꽃은 통꽃으로, 4~5갈래로 갈라졌으나 서로 겹쳐져 있다. 벼룩아재비, 큰벼룩아재비, 영주치자 3종이 있다.[비교] 벼룩아재비, 큰벼룩아재비구분벼룩아재비(Mitrasacme indica Wight)큰벼룩아재비(Mitrasacme pygmaea R.Br.)생육지들판의 습지길가나 풀밭꽃꽃잎 기부에 털이 있다.꽃잎 기부에 털이 없다.경생옆있다.줄기 밑부분에 잎이 몰려 경생옆은 없다.줄기네모지다.둥글며 곧게 선다.잎1맥. 선형~피침형이며 털이 거의 없다.3맥. 피침형~난상 긴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기재문]학명은 Mitrasacme alsinoides R.Br.잎은 대생하며 전체에 걸쳐서 달리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 2022. 9. 16.
봄맞이냉이(4.22) 2019년 식물분류학회에 미기록식물로 보고황새냉이와 좁쌀냉이의 중간형태이며 수술이 대개 6개인 다른 냉이와 달리 4(5)개이며, 줄기에 털이 없다.'22.4.22 2022. 8. 31.
봄나도냉이 (4.10) [기재문]학명은 Barbarea verna (Mill.) Asch.근생엽은 총생하고 4-11쌍으로 갈라지면, 1-6cm길의 엽병을 가지고, 길이는 1.5-11cm이며, 측소엽은 장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는 0.4-3.0cm이며 너비는 0.1-1.0cm이다. 경생엽은 장탄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1-4쌍으로 갈라지며, 엽저는 엽병이 없는 이저이고, 간혹 엽연이 치아성인 것도 있다.꽃은 4-6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악편은 길이 3-5mm, 폭이 0.7-1.5mm이다. 화판은 도피침형 또는 주걱형이며, 길이는 5.0-8.5mm, 폭은 1.5-3.0mm이고 기부는 설저이며, 정단부는 평두 또는 요두이다. 수술대의 길이는 3-5mm. 꽃밥의 길이는 0.8-1.2mm이다. 자방은 34-52개의 배주를 가지고 있다.. 2022. 7. 24.
병풀아재비, 꽃 (4.10, 산형과) 긴병꽃풀 꽃(4.26, 꿀풀과)[기재문]학명은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ian.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콩팥모양으로 길이 1.5~2.5cm, 나비 2~3cm이며 끝은 둥글고 밑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hyunsik.tistory.com 병풀아재비, 꽃 (4.10, 산형과)'22.4.10.hyunsik.tistory.com'22.4.10. 2022. 7. 15.
부리실청사초(5.8) [비교] 양지사초, 실청사초류* 양지사초 : 대부분 양지바른 묘지에서 잔디와 함께 서식함.* 실청사초류 : 산지의 축축한 그늘에 서식함.[실청사초류 비교]* 실청사초 : 근경이 없고 과낭에 성글게 털이 있다.* 지리실청사초 : 근경이 없고 과낭에 털이 거의 없다.* 부리실청사초 : 근경이 있고, 과낭에 성글게 털이 있다.[근연분류군의 검색표] 출처 : 큰청사초, 바늘청사초, 흰밀사초 발표 논문1. 과낭은 5~8mm이며, 위쪽에 뿔모양의 부속체가 있다. ----- 갯사초1. 과낭은 5mm 이하이며, 위쪽에 원반상 또는 환상 부속체가 있다.     2. 과낭은 표주박 모양이며 수과의 능선 중앙에 깊은 홈이 있다.        3. 수꽃이삭화서가 바로 아래의 암꽃이삭화서보다 짧고,             암꽃인.. 2022. 5. 21.
벌완두 꽃(9.16) 콩과의 특징은암술은 1개로 단심피성이고, 자방은 상위이며, 1실 또는 드물게 2실이다.밑씨는 1개 또는 그 이상이고, 복봉선에 달리며, 태좌는 변연태좌이다.열매는 대부분 협과.[비교] 들완두, 등갈퀴나물, 벌완두, 갈퀴나물종명벌완두갈퀴나물들완두등갈퀴나물분포전국전국강원 이북전국소엽5~8쌍이고 털이 없다.측맥은 45도 이상 벌어짐.4~7쌍이고 털이 약간 있다.측맥은 45도 이하로 벌어짐2~5쌍8~15쌍. 선형~선상 피침형~긴 타원형. 측맥은희미하거나 불분명.개화6~9월6~8월4~6월5~6(~9)월꽃부리1cm1.2~1.5cm2cm로 유사종에비해 길다.8~13(~15)mm꽃차례15~30개10~20(~30)개2~4개10~40개꽃받침열편이 짧다.털이 거의 없다.열편의 길이가 서로 다름.털이 약간 있다.약간 털이 있.. 2022. 5. 18.
범부채 잎(6.26) [기재문]학명은 Belamcanda chinensis (L.) DC.전국적으로 자생한다.잎은 호생하고 좌우로 납작하며 2줄로 부채살 모양으로 퍼져서 자라고 녹색 바탕에 약간 분백색이 돌며 길이 30-50cm, 나비 2-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서로 감싸고 있다.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5-6cm로서 수평으로 퍼지고 황적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이 1-2회 갈라져서 한군데에 몇개의 꽃이 달리고 밑 부분에 4-5개의 포가 있다. 포는 좁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1cm 정도로서 막질이며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화피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꽃밥은 길이 1㎝정도이다. 자방은 3실이다.삭과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3cm 정도이고 종자는 검은.. 2022. 2. 12.
봉화현호색 꽃(4.25) [현호색과의 꽃 특징]- 외화판은 2장이며 분리(상부 외화판, 하부 외화판)- 내화판 2장은 통상적으로 합착한다. 단, 섬현호색은 분리- 꽃받침이 발달하지 않으나 갈퀴현호색과 수염현호색은 꽃받침이 있다.(날개현호색은 하부 외화판 기부가 날개모양)[비교] 현호색류, 괴불주머니류- 현호색류 : 괴경이 있다.- 괴불주머니류 : 괴경이 없다.[현호색과의 절 검색표] 출처는 현호색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1999년)1. 다년초. 괴경과 지하경이 있고, 뿌리는 수근계    2. 괴경은 1개로 구형이고, 묵은 괴경은 횡으로 쪼개져서 여러 개의 새로운 괴경을 형성.        주두는 납작한 다각형이고 주두돌기는 8~14개 ----- 현호색절    2. 괴경은 1개 이상으로 불규칙한 구형이고, 묵은 괴경 위에 새로운.. 2021. 6. 19.
바늘꽃(6.21, 바늘꽃과, 바늘꽃속) 바늘꽃과 특징 : 꽃잎과 꽃받침이 4개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바늘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1. 주두는 4개로 깊게 갈라진다. -----  E. hirsutum 큰바늘꽃(울릉도, 삼척, 백두산 주변)1. 주두는 갈라지지 않는다    2. 잎에는 분명한 거치가 있다        3. 잎 한쪽면의 거치수가 8개 이상이고, 잎은 좁은 난 형, 피침형-장타원상 피침형이다             4. 주두는 곤봉상이다. ----- E. pyrricholophum 바늘꽃(전국)             4. 주두는 두상이다.                  5. 종자의 표면에는 유두상의 .. 2021. 4. 6.
붉은사철란 (8.2) [사철란속 종 검색표 1] 출처 : 한국의 난과식물 도감(이남숙 지음)1. 꽃차례가 짧고 꽃이 여러 방향을 향해 핀다.    2. 잎은 그물맥이 뚜렷하며, 꽃은 길이 2.5~3cm이다. ----- 붉은사철란    2. 잎은 평행맥에 가까우며, 꽃은 2cm이내이다. ----- 섬사철란1. 꽃차례가 길고 꽃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핀다.    2. 입술꽃잎 밑부분의 안쪽에는 털이 없고 육상체 또는 능선이 있다.         3. 뿌리에서 나는 잎 3~6개가 줄기 밑에 나며, 입술꽃잎은 난상 타원형이고,              곁꽃받침은 난상 타원형, 뒷면 전체에 털이 많으며 암술머리부리는 1mm 이하이다. ----- 애기사철란         3. 뿌리에서 나는 잎 4~8개가 방사상으로 땅 표면 가까이 나며.. 2021. 3. 26.
붉은꽃아까시나무(5.7) 꽃아까시나무와 달리 가지와 꽃자루에 억센 털이 없다.꽃아까시나무와 아까시나무의 교잡종'20.5.7 2021. 3. 7.
바람개비하늘지기 (Fimbristylis fimbristyloides (F. Muell.) Druce) '20.9.24 2020. 10. 30.
붉은서나물 (9.12 / 국화과, 붉은서나물속) [기재문]학명은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들판, 노지, 초지, 길가, 산기슭, 숲속의 그늘진 곳 등에서 한해살이풀로 흔하게 자란다. 키는 20~100cm, 줄기에 능선이 있으며, 붉은색을 띠고 연하다. 잎은 어긋나며 2~3장씩 모여서 달리고, 피침형, 긴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 원줄기를 감싸며, 날카로운 이모양톱니가 있다.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는 없다. 머리모양꽃은 9~10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모두 통모양꽃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연한 노란색이다. 모인꽃싸개는 원통 모양, 녹색, 밑이 약간 팽대하고, 길이 1.5cm, 밑에 작은꽃싸개잎이 있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1줄로 배열, 막질의 선.. 2020. 10. 6.
보리풀 (5.25) 엽초는 잎새보다 길며, 엽초 구부에 뾰족한 엽이가 뚜렷이 있고, 잎새는 길이 8-13㎝, 폭 5-8㎜, 털이 없다. 엽설은 높이 1-1.3㎜로 백색의 막질이다.꽃은 5-7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소수가 밀집되었고 길이 5-9㎝, 납작하며 기부는 가장 위쪽의 엽초에 싸여 있다. 소수는 1개의 소화로 이루어지며, 한곳에서 중앙에 자루가 없는 양성소수(임성)와 좌우에 짧은 자루가 있는 웅성소수(불임성)가 있어 3개씩 뭉쳐난다. 양성소수는 임성으로 포영은 선상 피침형으로 3맥, 끝에 긴 까끄라기가 있고 호영은 넓은 피침형, 끝에 2-3.5㎝의 까끄라기가 있다. 웅성소수는 불임성이다.줄기는 다수가 뭉쳐나며 높이 15-50㎝, 털이 없다. '20.5.25 / 전북좀보리풀 보기 : blog.daum.net/watche.. 2020. 5. 28.
바늘명아주 (9.2) [특징]1. 단성화(암, 수꽃이 따로 핀다)2. 열매가 결실되는 시기에 식물체는 붉은색을 띤다.3. 가지는 열매가 익을 때 쯤되면 가시처럼 된다.4. 양지바르며 약간 축축한 곳에 자란다.[기재문]학명은 Chenopodium aristatum L.높이 10-40cm이고 곧게 서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거나 돌기같은 털이 있다.강원도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원주시, 인제군, 정선군, 춘천시, 평창군에 자생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1.5-3cm,폭 2-4mm로서 둔두이거나 다소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점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액생하는 꽃차례가 2-3회 갈라지고 갈라진 곳에 꽃이 1개씩 달리며 일년생가지 .. 2019. 9. 12.
방울새란 (Pogonia minor (Makino) Makino) '19.6.14 / 경남 방울새란 더보기 : 큰방울새란 보기 ; 2019. 6. 21.
방울새풀 (Briza minor L.) '19.5.28 / 경남 방울새풀 더보기 : 2019. 5. 30.
바늘양귀비 (5.15) [기재문]학명은 Papaver hybridum L.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잎은 10cm까지 자란다. 꽃잎은 일찍 탈락하고, 적색~적자색이며 기부에 어두운 반점이 있고 길이 25mm까지 자란다.수술은 옅은 파란색. 자방은 털이 많고, 암술대는 4-8개. 삭과는 도란형-타원형에서 준구형, 길이는1.5cm, 털이 많다.[재배식물 양귀비속 비교]종명바늘양귀비좀양귀비양귀비개양귀비나도양귀비열매긴털이 있다길이 1.5cm 정도털이 없다 길이1.5~2cm털이 없다길이 4~6cm털이 없다 길이 1cm 정도털이 없다 암술머리(사출부)4~8개5~9개-8~10개4~9개 경생엽감싸지 않음.우상으로 심열.감싸지 않음.우상으로 심열.줄기를 반쯤 감쌈.분백색을 띰.감싸지 않음줄기를 반쯤 감쌈.비고--전체적으로털이 없다.전체적으로털이 .. 2019. 5. 21.
버들겨이삭여뀌(9.15) [비교] 만주겨이삭여뀌, 버들겨이삭여뀌, 겨이삭여뀌- 버들겨이삭여뀌에 대한 기재문은 국생종에 없어 풀베개 기재문을 참조했지만- 생태와 줄기 등에 대한 기재내용이 제가 본 식물체와 달라 신뢰성이 없어 보인다.종명만주겨이삭여뀌버들겨이삭여뀌(만주겨이삭여뀌의 변종)겨이삭여뀌(한라산 습지에 분포)생태한해살이풀여려해살이풀?한해살이풀분포북부지방경기도 수원 근처한라산 습지잎길이 2-5cm, 폭 2-8mm길이 2-5cm, 폭 2-8mm길이 2-5cm, 폭 3-7mm화서  원줄기 끝에 달린다.  화서는 곧추서는 편이다.  화서 줄기에 털이 없다.  원줄기 끝과 엽액에 달린다.  화서는 숙이는 편이다.  화서 줄기에 털이 없다.  원줄기 끝과 엽액에 달린다.  화서는 곧추서는 편이다.  화서 줄기에 털이 밀생한다.열매  양.. 2018. 11. 8.
변산향유 (10.22) [기재문]학명은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특산식물 산지와 인접한 바닷가 절벽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단엽으로 마주난다. 엽신은 난형으로 길이 3.5~4.5cm, 너비 1.5~2.2cm이며 혁질로 윤기가 난다.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2~3.2cm, 잎자루와 잎은 무모이다. 한쪽으로 치우치는 수상화서는 길이 3.5~4.5cm, 포엽은 난형으로 털이 없고 길이 5cm 내외, 너비는 6~7mm 정도. 소화경은 길이 1mm 정도이다. 꽃받침은 종모양으로 5장으로 갈라지며 길이 2~3mm이다. 화관은 입술모양으로 자주색을 띠며 길이 6~7mm이다. 수술은 4, 수술대는 자주색을 띤다. 자방은 4갈래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선형으로 적색을 띠며 .. 2017. 10. 31.
분개구리밥 (Wolffia arrhiza (L.) Wimm.) 분개구리밥속 식물의 특징은 가장 작은 꽃을 피우는식물체이며 엽상체에 뿌리가 없다.우리나라는 분개구리밥속에 남개구리밥(Wolffia globosa)과 분개구리밥(Wolffia arrhiza (L.) Wimm.)  2종이 있으나유럽에서는 2종 이외에  W. australiana와 W. columbiana 총 4종이 있다.  [좀개구리밥속 식별 키]1. 뿌리 부착 지점에서 발생한 잎맥이 세개이다.     2. 근관 끝이 라운드의 한가운데가 뾰족돌기가 있다. ----- 좀개구리밥     2. 근관 끝에 뾰족돌기가 없다. ----- 나도좀개구리밥     2. 엽상체 뒷면이 보라색이다. ------ 동아좀개구리밥(안동시 하천에서 발견)1. 잎맥이 한개 뿐이고 근관 끝이 라운드이고 뾰족돌기가 없으면 L. minuta.. 2017. 10. 14.
비너스도라지 (Triodanis perfoliata (L.) Nieuwl.) '17.6.23 / 전주 비너스도라지 더보기 : 2017. 7. 6.
비비추난초 잎, 전년도 열매(5.9) '17.5.9 / 태안 2017. 6. 1.
뿔이삭풀 (Parapholis incurva (L.) C.E.Hubb.) '17.4.16 / 부안 나도뿔이삭풀 보기 : 뿔이삭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694 2017.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