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본식물/뿌리잎1301 애기수영 신엽, 뿌리(4.6) [소리쟁이속 검색표]1. 자웅이체, 잎의 기부가 창모양이거나 화살모양이다. 2. 잎의 기부가 창모양이다. 열매에서 내화피편이 커지지 않는다. ----- 애기수영 2. 잎의 기부가 화살모양이다. 열매에서 내화피편이 확실하게 커진다. ----- 수영1. 자웅동체, 잎의 기부가 손바닥모양이거나 심장형이다. 3. 판(valve)이 밋밋하거나 가시가 약간있다. 4. 돌기가 없거나 1개의 작은 돌기가 있다. 5. 아래쪽의 잎이 길죽한 피침형 또는 넓은피침형, 기부는 쐐기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다. ----- 개대황 5. 아래쪽의 잎이 길죽한 상각상원형, 약한 심장저이고 가장자리는 거의 밋밋하다. .. 2025. 4. 6. 씀바귀 신엽, 포복지(4.6) 씀바귀 신엽(1.30, 씀바귀속)벌씀바귀 신엽, 뿌리(3.13)[기재문]학명은 Ixeris polycephala Cass. 논둑이나 밭둑에서 흔하게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그 전에 없어지고 선상 피침hyunsik.tistory.com'25.4.6. 대구 2025. 4. 6. 주걱개망초 신엽, 뿌리(3.25, 4.6) 수염뿌리 발달 : 개망초, 주걱개망초직근 발달 : 망초 개망초, 망초 뿌리(2.25)개망초는 수염뿌리가 발달하고 망초는 직근이 발달한다. 개망초 월동잎(2.15)실망초 신엽(10.27)'19.10.27.hyunsik.tistory.com 주걱개망초 신엽(3.25, 4.1)'23.3.25. '24.4.1.hyunsik.tistory.com 망초 월동잎(2.17)'23.2hyunsik.tistory.com 주걱개망초 신엽(3.25, 4.1)'23.3.25. '24.4.1.hyunsik.tistory.com'25.3.25. 대구'25.4.6. 경주 2025. 4. 6. 송장풀 신엽(4.4, 익모초속) [특징]1. 다년생, 동속인 익모초는 두해살이.2. 줄기 아래 잎은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지만, 줄기 위쪽의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3. 꽃은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이며 총포는 가시모양[기재문]학명은 Leonurus macranthus Maxim.이며 종소명 macranthus는 '꽃이 큰' 의미.숲속이나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가 지고, 높이 60~120cm다.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1~5cm. 줄기 아래쪽의 잎은 난형으로 길이 6~10cm, 폭 3~6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줄기 위쪽의 잎은 작아지며 넓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5~6개씩 층층이 달리며, 연한 분홍색 또는 거의 흰.. 2025. 4. 4. 큰등갈퀴 신엽(4.2) [특징]1. 소엽은 2~5쌍으로 근연종에 비해 적게 달리며 뒷면 잎맥은 튀어 나와 있고 크기는 대형이다.2. 줄기에 털이 듬성듬성 있다.3. 턱잎은 초승달 모양이 아닌 반달모양이다. [기재문]학명은 Vicia pseudo-orobus Fisch. & C.A.Mey.산기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덩굴지며, 길이 50~200cm, 네모지고 털이 듬성하게 있다.잎은 어긋나며, 2~5쌍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 끝에 2~3갈래로 갈라지는 덩굴손이 있다. 작은잎은 난형으로 길이 3~7cm, 폭 1.3~2.5cm,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뒷면 잎맥은 튀어나와 있다.턱잎은 반달 모양으로 길이 1.0~2.5cm, 끝은 뾰족하다. 꽃은 9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2025. 4. 4. 끈끈이딱지 신엽(4.1) [기재문]학명은 Potentilla viscosa J.Don함남북에 나며 만주, 몽고,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의 건조한 비탈면에 분포한다.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엽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겹잎으로 소엽은 5~13개이다.소엽은 선상 장 타원형으로 끝은 둔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잎몸에 부드러운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기부가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싼다.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포는 결각상 톱니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난상 장 타원형, 부악편은 난상 피침형,꽃잎은 거꿀달걀모양으로 각각 5개이다. 과실은 수과로 털이 없다. 상부에서 분지하며 끈끈한 털이 밀생한다. 끈끈이딱지 신엽(4.7)[기재문]학명은 Potenti.. 2025. 4. 1. 조뱅이 신엽(3.27) [조뱅이 특징]1. 땅속줄기가 있어 군락으로 자란다.2. 생육형태로 국생종에는 다년생, 한국의 들꽃에는 2년생으로 나온다.3.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수꽃 총포(길이 18mm)는 난상구형이고 암꽃(길이 23mm)에 비해 약간 짧다. - 그러나 실질적으로 수꽃으로 보이는 총포에도 종자가 생성되므로 수꽃은 없는 듯 하다. - 따라서 암수딴그루가 아닌 암꽃양성화딴그루로 봄이 타당하다.4. 꽃은 설상화는 없고 통상화만 있다.5. 줄기 잎은 어긋나며 잎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털이 있다[기재문]학명은 Breea segetum (Bunge) Kitam. 햇볕이 잘 들며 고도가 낮은 산지의 들판, 길가, 공터 등에서 주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고, 높이 20~50c.. 2025. 3. 30. 냉이 꽃, 신엽(3.7) [기재문] 학명은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 햇볕이 잘 드는 공터,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 뿌리는 곧고 흰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50cm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서 땅 위에 퍼지고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10cm 이상이다. 줄기에 나는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인데 밑이 귓불 모양으로 되어 줄기를 반쯤 감싼다. 줄기잎의 가장자리는 깃꼴로 갈라지지만 위로 갈수록 크고 날카로운 이 모양으로 된다. 꽃은 2~11월에 걸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4장이며 타원형이다. 꽃잎은 4장이며 주걱 모양이고 길이 2.0~2.5mm다. 열매는 삼각상의 단각이며 끝이 오목하다. 열.. 2025. 3. 30. 실망초 뿌리잎(3.29, 개망초속) 잎 양면에 털이 많으며, 근연종에 비해 잎이 우상으로 갈라지는 편.[개망초속 설상화 유무 비교]- 설상화가 퇴화 : 실망초(바깥꽃은 암꽃, 안쪽 꽃은 양성꽃), 큰망초(2치이며 총포 밖으로 나오질 않음)- 설상화가 뚜렷 : 개망초, 봄망초, 주걱개망초, 망초, 애기망초[기재문]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0~100cm, 전체에 회백색 털이 많다. 뿌리잎은 선상 피침형,길이 3~12cm, 폭 10~25mm, 깃꼴로 갈라지거나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위쪽에 달리는잎은 선형, 길이 1~5cm, 폭 2~10m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하부의 잎은 거꿀피침모양으로 때로거친 톱니가 있으나 흔히 물결모양이며 상부의 잎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밀생한다.. 2025. 3. 30. 붓꽃 신엽(3.27) [특징]1. 화경은 분지하지 않고 외화피에 망상무늬가 있다.2. 꽃과 잎의 높이가 비슷하거나 꽃이 약간 높다.3. 주두는 삼각상이며 열매의 횡단면은 3각형이다. * 제비붓꽃계열(노랑꽃창포, 꽃창포, 들꽃창포, 제비붓꽃)은 주두가 넓은 반원형이고 열매는 6각형. [붓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외화피에 장식털이 없다. 2. 화경은 차상으로 분지한다. ----- 대청부채(Iris dichotoma Pall.) 2. 화경은 분지하지 않는다. 3. 내화피가 인편으로 퇴화했다. -----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3. 내화피가 있다. 4. 잎은 뒤틀려있다. ----- 타래붓꽃(Iris l.. 2025. 3. 28. 선메꽃 신엽(3.28) 메꽃보다 줄기가 다소 곧게 서고, 잎이 다소 좁고 짧으며 줄기에 짧은 털이 있고 화경이 짧다.줄기는 반시계방향을 감는다.[비교] 메꽃과의 메꽃속, 나팔꽃속 - 메꽃속 : 엽액에서 꽃이 한 개가 나온다. 다년생. 낮에 개화- 나팔꽃속 : 엽액에서 꽃이 두 개이상 나온다. 일년초. 아침에 개화[메꽃속의 종 비교]종명꽃잎털 유무큰메꽃지름 5~6.5cm,분홍색 5~15cm의 긴 타원상 삼각형~삼각형이며, 가장자리 열편의 길이는 잎의 1/3~1/2정도이다.-메꽃지름 4~5(~6)cm,연한 홍색 5~15cm의 좁은 삼각형~긴 타원형이며, 밑부분의 열편은 작거나 매우 크게 발달하기도 한다. (열편 길이는 잎 길이의 1/3 이하) 전체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 애기메꽃지름 2~3cm,연한 붉은색 또는 흰.. 2025. 3. 28. 가시상추 신엽(3.6, 3.27) 신엽은 왕고들빼기와 비슷하다. 왕고들빼기 신엽(3.3)신엽은 가시상추 잎과 비슷하다. 가시상추 신엽(2.24)신엽은 왕고들빼기 잎과 비슷하다.'23.2.24.hyunsik.tistory.com'21.3.3.hyunsik.tistory.com 가시상추 신엽(2.24)신엽은 왕고들빼기 잎과 비슷하다.'23.2.24.hyunsik.tistory.com'25.3.6. 대구 '25.3.27. 대구 2025. 3. 27. 연복초 신엽, 뿌리(3.25) 성장 초창기라 기는 줄기는 보이지 않는다.[특징]1. 영양엽과 생식엽이 있으며, 소엽 끝에는 소돌기가 있다.2. 기는 줄기가 있으며 줄기 끝에 괴경이 있다.3. 위에 있는 꽃은 꽃부리가 4개이고 수술이 8개, 옆에 있는 꽃은 꽃부리가 5개이고 수술이 10개[기재문]학명은 Adoxa moschatellina L.산속 습기가 있는 그늘진 곳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8~17cm가량 자란다. 기는줄기가 있는 연약한 식물이다.잎몸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뿌리잎은 1~3개이고 3~9개의 작은잎으로 갈라져 1~2회 3출겹잎으로 되고원줄기의 높이와 비슷하게 자란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꽃은 4~5월에 피는데 황록색이며 줄기 끝에 5개 정도 모여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린다. 각각의 꽃은 .. 2025. 3. 26. 뱀딸기 신엽(3.6, 3.23) [비교] 뱀딸기속, 양지꽃속- 뱀딸기속 : 개화이후 딸기처럼(딸기속) 화탁이 부풀어 과육이 생성된다.- 양지꽃속 : 화탁이 부풀어 오르지 않고 과육이 없다.[비교] 뱀딸기, 산뱀딸기종명뱀딸기(D. indica (Andr.) Focke)산뱀딸기(D. chrysantha (Zoll. & Mor.) Miq.)잎/꽃/열매 크기산뱀딸기에 비해 크다.뱀딸기에 비해 작다.열매윤기가 있고 열매 겉에는 작은 돌기가 없다.윤기가 없고 열매 겉에는 작은 돌기가 있다.환경 조건양지반양지주. 덩굴뱀딸기(Potentilla flagellaris Willd. ex Schltdl. )는 양지꽃속이며 엽신은 5출엽이다. [비교] 뱀딸기, 산뱀딸기[좌 : 뱀딸기 / 우 : 산뱀딸기] [위 : 뱀딸기 / 아래 : 산뱀딸기]hyunsik.. 2025. 3. 14. 벌씀바귀 신엽, 뿌리(3.13) [기재문]학명은 Ixeris polycephala Cass. 논둑이나 밭둑에서 흔하게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그 전에 없어지고 선상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길이 12-17cm,나비 3-8m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거나 밋밋하다.중앙부의 잎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17cm, 나비 10-17mm로서 밑부분이 이저이고 원줄기를 둘러싸며윗부분의 잎은 작고 피침형 이저로서 엽병을 감싸며 밑으로 흐른다.꽃은 혀꽃만으로 이루어진 연한 황색의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약 1.2cm로서 여러 개가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달리며 꽃이 핀 다음 처지고 화경은 길이 6-28mm로서 1-2개의 포가 있다.총포는 꽃이 필 때는 원통형이며 길이 .. 2025. 3. 14. 미국쑥부쟁이 신엽, 월동잎(3.7, 3.11) 미국쑥부쟁이 신엽(3.1)미국쑥부쟁이 열매(11.14)미국쑥부쟁이 꽃(9.29)'22.9.29hyunsik.tistory.com 미국쑥부쟁이 열매, 종자(11.25)'22.11.25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23.3.1 미국쑥부쟁이 월동잎'23.3.2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 미국쑥부쟁이 월동잎(3.2)미국쑥부쟁이 신엽(3.1)'23.3.1 미국쑥부쟁이 월동잎'23.3.2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23.3.2. 미국쑥부쟁이 신엽'23.3.1 미국쑥부쟁이 월동잎 '23.3.2 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 2025. 3. 12. 개질경이 신엽, 뿌리(3.11) [질경이속 종 비교]종명개질경이털질경이미국질경이긴포꽃질경이질경이왕질경이창질경이생태다년초다년초일년초 일년초 다년초 다년초다년초뿌리직근수염뿌리 긴포꽃질경이 표본(6.24)[질경이속 종 비교]종명개질경이털질경이미국질경이긴포꽃질경이질경이왕질경이창질경이생태다년초다년초일년초 일년초 다년초 다년초다년초뿌리직근수염뿌리 긴포꽃질경이'14.7.6hyunsik.thyunsik.tistory.com 털질경이 꽃, 뿌리(5.19)[질경이속 종 비교]종명개질경이털질경이미국질경이긴포꽃질경이질경이왕질경이창질경이생태다년초다년초일년초 일년초 다년초 다년초다년초뿌리직근수염뿌리[특징]- 뿌리는 직근- 잎은hyunsik.tistory.com 털질경이 표본, 꽃(6.17)[질경이속 종 비교]종명개질경이털질경이미국질경이긴포꽃질경이질경이왕질경이창.. 2025. 3. 11. 둥근잎꿩의비름 신엽(3.11, 4.12) [꿩의비름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이무열 저)1. 잎은 호생 또는 대생. 2. 잎은 원형. 엽병이 없다. 잎은 대생. ----- 둥근잎꿩의비름 H. ussuriense 2. 잎은 피침형. 엽병이 있다. 잎은 호생. 3. 꽃은 녹백색. 절간이 1~1.5cm. ----- 섬꿩의비름(특산식물, 제주도) H. viridescens 3. 꽃은 흰바탕에 붉은색. 절간이 2~4cm. ----- 꿩의비름 H. erythrostictum1. 잎은 3~4개가 윤생. 4. 육아가 엽액에 있다. ----- 새끼꿩의비름 H. viviparum 4. 육아가 엽액에 없다. 5. 꽃은 황백색. ----- 세잎꿩의비름 H.verticillatum .. 2025. 3. 11. 접시꽃 신엽(3.9, 아욱과) 접시꽃(6.28, 접시꽃속)[기재문]학명은 Althaea rosea Cav.이며 종소명 rosea는 '장미빛의, 담홍색의' 의미.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100-200cm이며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5-7갈래로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이고,hyunsik.tistory.com 접시꽃 열매, 종자(11.13)접시꽃(6.28, 접시꽃속)[기재문]학명은 Althaea rosea Cav.이며 종소명 rosea는 '장미빛의, 담홍색의' 의미.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100-200cm이며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5-7갈래로 갈라져hyunsik.tistory.com'25.3.9. 2025. 3. 11. 쇠별꽃 신엽(3.7) 쇠별꽃(5.24, 석죽과, 별꽃속)[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출처는 '미기록 외래식물 모래별꽃,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의 보고'(2023년)1. 암술이 5개이다. ----- 쇠별꽃(S. aquatica)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hyunsik.tistory.com 쇠별꽃(5.27)[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출처는 '미기록 외래식물 모래별꽃,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의 보고'(2023년)1. 암술이 5개이다. ----- 쇠별꽃(S. aquatica)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hyunsik.tistory.com 쇠별꽃 열매, 종자(11.7)[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출처는 '미기록 외래식물 모래별꽃,.. 2025. 3. 10. 뚝새풀 신엽(3.2)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산조아재비속 : 소수는 1개의 소화가 있다. 포영은 기부가 붙지 않으며 중앙맥 부위가 용골을 만들고 .. 2025. 3. 9. 등대풀 신엽(3.2) 대극과 특징은배상화서가 달리며 꽃은 단성, 5수성이고, 대개 방사상칭이다.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보통 3개.등대풀은 잎 양면에 긴 털이 있거나 없다.[대극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논문(2011년 식물분류학회)1. 선체에 부속체가 없다. 2. 선체의 수는 4~5개이다. 3. 3차 포엽은 3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망상이다. ----- 등대풀 3. 3차 포엽은 2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평활하다. 4. 총포의 직경은 3mm이상이다. 5. 원줄기의 잎은 호생한다. ----- 붉은대극 5. 원줄기의 잎은 윤생한다. ----- 낭독 4. 총포의 직경.. 2025. 3. 9. 속속이풀 신엽(3.7) [비교] 갓냉이속 열매, 형태종명좀개갓냉이섬강개갓냉이구슬갓냉이속속이풀개갓냉이가새잎개갓냉이열매 길이(mm)4~10, 원통형2~10, 원통형2~3, 구형4~10, 원통형15~25, 선형10~15, 원통형형태1년초다년초다년초1~2년초1년초, 다년초다년초주) 섬강개갓냉이는 속속이풀과 구슬갓냉이의 교잡종이며 잎은 깃털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결실기 때 근경에 생기는 부정아, 일반적으로 무판화이거나 드물게 1−4개의 축소된 화판, 도제금형의 열매, 종자가 대부분 결실하지 않거나 드물게 실당 1−2개를 가짐. 좀개갓냉이 신엽(2.2)[비교] 갓냉이속 열매, 형태종명좀개갓냉이섬강개갓냉이구슬갓냉이속속이풀개갓냉이가새잎개갓냉이열매 길이(mm)4~10, 원통형2~10, 원통형2~3, 구형4~10, 원통형15~2.. 2025. 3. 8. 갯방풍 신엽(4.1) [기재문]학명은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 해변 모래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5~20cm이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지면을 따라 퍼지며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길이 10-20cm로서 3개씩1-2회 갈라지며 엽병이 길다. 소엽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타원형, 거꿀달걀모양 또는 난상 원형이고 맥위를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끝이 둔두 또는 원두이고 길이 2-5cm, 폭1-3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있으며 때로 백색이고 딱딱해지는 것도 있다.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차례는 1-3개로서 긴 털이 밀생하며10개의 소산경은 길이 4-6cm로서 각 20-40개의 꽃이 빽빽하게 달리고 소총포는 선형으로서 꽃보다 짧다.꽃받침, 꽃잎 및 .. 2025. 3. 8. 선갯장대 신엽(3.8, 3.11) [선갯장대 근연종의 검색표]출처 : Arabis erecta (Brassicaceae), a new species from Republic of Korea(2016년)1. 줄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 열매 꼬투리는 불규칙이고 암술대 주두는 뾰족하며 길이 1mm 이상, 종자의 끝에 날개가 있다. ----- 바위장대 Arabis serrata(한라산 정상)1. 줄기 잎 가장자리는 전연 또는 톱니 모양, 열매 꼬투리는 매끄럽고 암술대 주두는 뭉툭하며 1mm 미만, 종자는 전체적으로 날개가 있음. 2. 잎 표면은 무모, 꽃받침은 부풀지 않으며, 열매자루는 7mm 미만. ----- 선갯장대(포항, 영덕) 2. 잎 표면에 성모, 꽃받침은 부풀고, 열매자루는 7mm 이상. .. 2025. 3. 8. 황새냉이와 좁쌀냉이의 신엽, 뿌리(3.7) [비교] 좁쌀냉이, 황새냉이, 애기황새냉이이 (출처 : 애기황새냉이의 분류학적 재검토, 2015년)종명좁쌀냉이(C. fallax)황새냉이(C. flexuosa)애기황새냉이 (C. manshurica)생활사일년생 또는 이년생. 애기황새냉이는 1년 동안 수회 개화·결실한다.생육지일반적으로 습한지역에 생육하나 비교적 건조한 지역에도 흔하게 분포한다.기부엽의배열길이가 유사한 다수의 잎이환형으로 배열하여방사상을 나타냄.길이가 유사한 다수의 잎이환형으로 배열하여방사상을 나타냄.뚜렷한 기부엽이 없이경생엽이 달린다.화조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가장자리에 거치가 없다정소엽의열편1/3~1/2정도의 깊이로장상으로 갈라짐1/3이하의깊이로 얕게 갈라진다.1년초는 열편이 없지만월년초는 1/3이하의깊이로 얕게.. 2025. 3. 8. 황새냉이 신엽(3.2, 3.7) [비교] 좁쌀냉이, 황새냉이(출처 : 한국의 들꽃, 일본 자료, 황새냉이속 논문)종명좁쌀냉이(Cardamine fallax)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근생엽 소엽의 부속물탁엽 같은 부속물이 엽액에 간혹 있다.경생엽의 소엽선형~좁은 긴 타원형이며 자루가없거나뚜렷하지 않다.선형~도피침형~긴 타원형~난형~원형이며 소엽의 자루는 1~2mm.열매 크기 / 종자 길이길이 1~2cm, 폭 0.6~0.9mm / 0.6~1mm길이 1.2~2.8cm, 폭 1~1.5mm / 0.9~1.5mm뿌리직근이 발달수염뿌리가 발달주1) 일반적으로 좁쌀냉이 줄기가 황새냉이에 비해 털이 많으나 털의 유무는 생육환경에 따라 변이가 심하므로 두 종을 구분짓는 형질로 사용할 수 없다. 주2) 큰황새냉이(C. sc.. 2025. 3. 8. 세잎승마 신엽(5.1) [노루삼속 신엽 비교]눈빛승마 : 2~3회 3출 또는 3출 우상개승마 : 1회 3출하며 소엽은 원심형으로 5~9개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져 단풍취와 유사 나제승마 : 소엽은 23~29장으로 된 겹잎승마 : 1-2회 3출겹잎노루삼 ; 2-4회 3출복엽 세잎승마 : 1회 3출엽왜승마 : 1-2회 3출복엽촛대승마 : 2-3회 갈라짐황새승마 : 2-3회 3출복엽* 3출엽 또는 3출복엽 : 노루삼, 세잎승마, 왜승마, 황새승마. 승마 (8.30, 노루삼속)잎은 1-2회 3출겹잎이다. 줄기 중간에 달리는 잎은 1회 3출겹잎이고 줄기 아래쪽에 달리는 잎은 대개 2회 3출겹잎이다.꽃대 축과 꽃자루에 털이 밀생한다. 꽃자루는 짧은 편이고 꽃 바루 밑에 관절hyunsik.tistory.com 세잎승마 열매, 종자(.. 2025. 3. 4. 눈개불알풀 신엽(2.26) 눈개불알풀 신엽(2.14)'20.2.14.hyunsik.tistory.com 눈개불알풀 꽃 (3.16, 현삼과, 개불알풀속)학명은 Veronica hederifolia L. 유럽 원산의 두해살이풀로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귀화하여 자란다. 줄기는 땅 위를 기며, 끝은 곧추선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원형, 끝은 3~5갈래로 얕게 갈라진hyunsik.tistory.com 눈개불알풀 열매, 종자(5.1)열매는 구형, 꽃받침에 싸여 있다. 눈개불알풀 꽃 (현삼과, 개불알풀속)학명은 Veronica hederifolia L. 유럽 원산의 두해살이풀로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귀화하여 자란다. 줄기는 땅 위를 기며, 끝은hyunsik.tistory.com'25.2.26. 대구 2025. 3. 1. 큰금계국 신엽(2.25) 큰금계국 월동잎(2.24)큰금계국 꽃(5.15)큰금계국 꽃(5.28)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3.5.28. / 대구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2.5.15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꽃(5.28)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꽃(5.28)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3.5.28. / 대구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5.2.25. 대구 2025. 2. 28. 이전 1 2 3 4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