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미기록종50

소리쟁이속(6.27) [비교] 소리쟁이속 잎, 화피, 관절종 명소리쟁이(R. crispus)참소리쟁이(R. japonicus)좀소리쟁이(R. dentatus)금소리쟁이(R. maritimus)가는잎소리쟁이(R. stenophyllus)잎 크기길이 13~30cm,폭 4~6cm 길이 10~25cm,폭 4~10cm길이 4~12cm,폭 1.3~3cm길이 7~15cm,폭 2~3cm 길이 7~15cm,폭 1~3.5cm내화피길이 4~5mm,길이 4~5mm,폭 5~6mm.길이 4~5mm,폭 3~4mm.길이 2~3mm,폭 1~2mm.길이 3~4(-5) mm,폭 약. 3.5mm.톱니톱니가 없다.길이 0.3~0.5mm의잔 톱니가 있다.길이 1~2mm,각 면에 3~4개길이 2~3.5mm각 면에 2~3(~4)개길이 0.5~1.5mm,각 면에 4~1.. 2025. 1. 19.
취나물속 신엽(5.2, 7.30) 취나물속 꽃(8.14)총포편은 7열이고 위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며 포편끝에 침상의 돌기가 있고 자색을 띠며 거미줄 같은 털이 거의 없다.줄기는 단생하고 털이 없어 보이며 다소 희미한 능선이 있다.잎 앞면에는hyunsik.tistory.com 취나물속 열매, 종자(10.24)총포 길이는 16~18mm(갓털 제외)종자 길이는 4.8~5.6mm갓털 길이는 10.3mm 취나물속 신엽(5.2)취나물속 꽃(8.14)총포편은 7열이고 위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며 포편끝에 침상의 돌기가 있고 자색을 띠며hyunsik.tistory.com'24.5.2. '24.7.30. 2025. 1. 1.
투구꽃속 sp. 열매, 종자(11.12) 투구꽃? 지리바꽃? 참줄바꽃?? hyunsik.tistory.com  한라돌쩌귀와 투구꽃" data-og-host="hyunsik.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hyunsik.tistory.com/entry/%ED%88%AC%EA%B5%AC%EA%BD%83-sp107-%ED%95%9C%EB%9D%BC%EB%8F%8C%EC%A9%8C%EA%B7%80-%ED%9D%91%EC%9E%90%EC%83%89-%EC%B6%94%EC%A0%95" data-og-url="https://hyunsik.tistory.com/entry/%ED%88%AC%EA%B5%AC%EA%BD%83-sp107-%ED%95%9C%EB%9D%BC%EB%8F%8C%EC%A9%8C%EA%B7%80-%ED.. 2024. 11. 20.
투구꽃속 sp(10.7, 한라돌쩌귀 + 투구꽃 추정) 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비교] 투구꽃, 한라돌쩌귀, 참줄바꽃, 한라투구꽃, 지리바꽃, 투구꽃sp=> 한라돌쩌귀와 투구꽃 교잡종으로 추정하나 추가 비교(꽃, 골돌 길이 및 종자 크기 등) 검토가 필요하다. 종 명 투구꽃(A. jaluense Kom.) 한라돌쩌귀(A. japonicum subsp. napiforme) 참줄바꽃(A. neotortuosum Nakai) 줄기 유형곧음곧음덩굴꽃받침 색자주색자주색청자색골돌털이 있음털이 있음5개. 털이 없음소화경개출모굽은 털퍼진 털종 명한라투구꽃(A. quelpaertense) 지리바꽃(A. chiisanense Nakai) 투구꽃 sp.줄기 유형곧음곧음곧음꽃받침 색연한 자주색연한 자주색흑자.. 2024. 11. 20.
강계물통이, 제주큰물통이, 고깔물통이???(7.3, 7.30, 8.14, 10.24) [결론] 국내에 자생하는 물통이속 중 강계물통이 또는 제주큰물통이와 근접하지만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미기록종 가능성도 있다. 화피편 길이가 거의 같아 고깔물통이도 아닌 듯 하다. 고깔물통이(Pilea pauciflora C.J.Chen)가 제 56회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발표(2025년 2월)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백시에서 발견되었다. 기존에는 중국 간쑤성과 스촨성의 습한 산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근연종인 강계큰물통이, 큰물통이, 모시물통이와 달리,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연한 녹색을 띈다. 또한 잎은 광난형으로, 엽두는 둔두 또는 원두이다. 결실기 암꽃의 배축 화피편은 고깔형이고, 측화피편 1쌍은 삼각상인 점으로 구분된다.특징으로는 화피편 1장이 크게 자라고 나머지는 .. 2024. 10. 29.
취나물속 꽃(8.14) [결론]국생종 목록에 나와 있는 취나물속 35종, 신종(자옥취) 및 미기록종(영덕취) 포함 총37종에 대해이곳에 자생하는 취나물속하고 비교 결과 일치하는 종이 없어 미기록종이 아닌가 추정해본다.그래도 이 취나물속과 비교적 일치하는 식물은 백두산에 자생하는 두메취다[4회 관찰 내용]1. 총포는 길이 16~18mm, 총포편은 7열로 보이고 위로 갈수록 포편은 점증적으로 길어지며 포편끝에 침상의     돌기가 있고 자색을 띠며 거미줄 같은 털이 거의 없다.2. 줄기는 단생, 털이 없어 보이며 다소 희미한 능선이 있고 상부에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3. 잎 앞면에는 털이 없어 보이나 뒷면에는 털이 있고 잎 가장자리에도 털이 있다. 4. 근생엽은 엽병이 길지만 줄기 위에 달린 잎은 엽병이 매우 짧다. 5. 전초는 .. 2024. 8. 19.
[가칭] 큰좀소리쟁이(Rumex dentatus L./6.17) 좀소리쟁이와 유사하나 열매 (화피) 가 커서 가칭 '큰좀소리쟁이'로 명명함.[주요 특징]좀소리쟁이처럼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엽병과 잎 뒷면은 맥을 따라 유두상 돌기가 있다.화경은 3/1지점에 관절이 있다.내화피열편은 삼각상 난형, 크기는 4~5 * 2.5~3mm, 뚜렷한 그물맥이 있고 1.5~2mm의 돌기가 있으며각 가장자리에는 길이 1.5~2mm의 가시가 2~4개 있다.종자는 광택이 나며 난형이고 날카로운 삼각형이며, 길이는 2~2.5mm, 기부가 좁고 끝이 뾰족하다. 좀소리쟁이의 국생종 기재문에 내화피열편의 크기(길이 4-5mm, 너비 2-3mm)는 오기재로 보인다. 좀소리쟁이 열매(6.28)'20.6.28hyunsik.tistory.com [가칭] 큰좀소리쟁이 열매, 종자(Rumex den.. 2024. 6. 17.
분개구리밥속???(5.13) 우리나라에 보고된 분개구리밥속은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 2종이고 세계적으로 11종이 있다.제가 본 분개구리밥속은 아래의 이유로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이 아닌 미기록종이 아닐까 싶다.- 엽상체의 길이가 약 1mm정도로, 0.5~0.8mm인 남개구리밥에 해당되지 않고- 엽상체가 반투명하고 가장자리가 잘보여,   불투명하고 가장자리가 잘 보이지 않는 분개구리밥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비교]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 남개구리밥(W. globosa (Roxb.) Hartog & Plas)  - 엽상체가 투명하고 광채가 없다. 엽상체 가장가리가 투명하며 수면아래에 잠긴다.  - 엽상체의 길이는 0.5-0.8mm    cf. 수면아래 잠기는 엽상체 가장자리는 분개구리밥에 비해 많이 넓다.* 분개구리밥(W. arrhi.. 2024. 5. 14.
Sagina. apetala, 표본사진(개미자리속/4.30) '22.4.30 2024. 5. 7.
경성사초 유사종 (4.9) '17.4.9. 2024. 3. 4.
쑥속 잎 (11.24) '23.11.24 2024. 2. 27.
Amaranthus cruentus 꽃, 열매 (아마란스) 아마란스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고산지대에 5,000여 년 전부터 재배되어온 비름속 식물로 국내에 도입된 작물. '시들지 않는 꽃'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아마란스는 개화 시기가 긴 특징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열대와 아열대와 같이 따듯한 기후에 잘 자라나며 페루, 볼리비아 등의 남아메리카가 주산지이다. 5월에 파종하며 이때 줄기는 최대 1~2m까지 자란다. 잎은 넓게 자라며 꽃은 7~9월 동안 개화하는데 길이가 긴 대에 여러 개의 작은 꽃이 모여있는 수상꽃차례이다. 씨앗의 색을 따라 노란색, 주황색, 자주색, 보라색, 녹색, 검정색 등으로 다양하게 핀다. '23.8.26 2023. 12. 12.
쑥부쟁이와 가새쑥부쟁이 교잡종??? 잎은 가새쑥부쟁이을 닮았고, 관모 길이는 쑥부쟁이를 닮음. '23.10.2 2023. 11. 13.
등골나물속??? (열매 포함) 습지에 자생. 잎 앞뒷면, 줄기, 꽃받침에 누운 털이 있으며 잎은 뒷면에 샘점이 있고 갈라지기도 한다. 총포는 내외총포가 있으나 길이는 각각 달라 보인다. 관모 길이는 4.2mm, 종자는 네모지나 각이 진 모서리가 돌출(등골나물속의 특징이지 않나 싶다)한다. 종자 길이는 2.2-3.0mm. [유사식물의 관모/종자 길이 비교] - 향등골나물 : 3/4mm - 등골나물 : 3/4mm ---> 제가 본 종자 크기와 달라 보임 - 골등골나물 : 2.5mm/?(5각이 진 원뿔모양) - 벌등골나물 : ?/? - 새등골나물 : ?/3mm * 식물학자에 따라 동일한 학명을 벌등골나물 또는 새등골나물로 부르기도 하며 교잡종을 보이는 게 있어 등골나물속을 새롭게 정립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등골나물 종자 '22.6.1 h.. 2023. 11. 12.
쇠하늘지기 유사종 소수는 눌린 모양이고 사진상 암술머리는 2갈래이며 수과 표면은 밋밋하다.'23.8.20. 2023. 8. 20.
???길골풀(골풀속, Juncus dudleyi) Juncus tenuis(길골풀) : 삭과 길이 3.5~4.0mm. 엽이 모양은 사진 1, 2번 참조Juncus dichotomus : 종자 길이 0.3~0.4mm. 엽이 모양은 사진 1번 참조Juncus dudleyi : 삭과 길이 3mm이하. 종자 길이 0.4~0.67mm. 엽이 모양은 사진 1, 3번 참조 Juncus tenuis | Manual of the Alien Plants of Belgium[사진 1] [사진 2] [사진 3]====================================================================================='22.7.7 2023. 7. 20.
돌나물속??? [돌나물속의 종 검색표1] 출처 : "자생 미기록종 돌나물과 서산돌나물 분포 보고"(2024년)1. 잎은 불임 줄기에서 윤생한다.(영양엽은 윤생한다)    2. 잎은 불임 줄기에서 3윤생, 난상 타원형~장타원형 ----- 돌나물(S. sarmentosum)    2. 잎은 불임 줄기에서 4 또는 5윤생, 상부는 주걱형 ----- 잎꽃돌나물(S. kiangnanense,, 홍도)1. 잎은 불임 줄기에서 대생 또는 호생한다.(영양엽은 대생 또는 호생한다)    3. 잎은 주걱모양이고 도란형 또는 아구형이고 편평하다.        4. 주아가 보통 엽액에 달린다. ----- 말똥비름(S. bulbiferum)        4. 주아가 엽액에 없다.            5. 잎은 대생. ----- 둥근잎비름(S.. 2023. 7. 13.
닭의장풀속 대형이고 전초에 긴털이 밀생한다.'22.12.7. 2022. 12. 15.
털노박덩굴 열매??? '22.11.6 2022. 12. 2.
바늘꽃속(10.7, 바늘꽃속) 바늘꽃과 특징 : 꽃잎과 꽃받침이 4개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바늘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1. 주두는 4개로 깊게 갈라진다. -----  E. hirsutum 큰바늘꽃(울릉도, 삼척, 백두산 주변)1. 주두는 갈라지지 않는다    2. 잎에는 분명한 거치가 있다        3. 잎 한쪽면의 거치수가 8개 이상이고, 잎은 좁은 난 형, 피침형-장타원상 피침형이다             4. 주두는 곤봉상이다. ----- E. pyrricholophum 바늘꽃(전국)             4. 주두는 두상이다.                  5. 종자의 표면에는 유두상의 .. 2022. 11. 26.
바늘꽃속 열매, 종자(11.6) 바늘꽃과 특징 : 꽃잎과 꽃받침이 4개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바늘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1. 주두는 4개로 깊게 갈라진다. -----  E. hirsutum 큰바늘꽃(울릉도, 삼척, 백두산 주변)1. 주두는 갈라지지 않는다    2. 잎에는 분명한 거치가 있다        3. 잎 한쪽면의 거치수가 8개 이상이고, 잎은 좁은 난 형, 피침형-장타원상 피침형이다             4. 주두는 곤봉상이다. ----- E. pyrricholophum 바늘꽃(전국)             4. 주두는 두상이다.                  5. 종자의 표면에는 유두상의 .. 2022. 11. 23.
바늘꽃속 열매, 종자, 잎(10.20) 바늘꽃과 특징 : 꽃잎과 꽃받침이 4개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바늘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1. 주두는 4개로 깊게 갈라진다. -----  E. hirsutum 큰바늘꽃(울릉도, 삼척, 백두산 주변)1. 주두는 갈라지지 않는다    2. 잎에는 분명한 거치가 있다        3. 잎 한쪽면의 거치수가 8개 이상이고, 잎은 좁은 난 형, 피침형-장타원상 피침형이다             4. 주두는 곤봉상이다. ----- E. pyrricholophum 바늘꽃(전국)             4. 주두는 두상이다.                  5. 종자의 표면에는 유두상의 .. 2022. 11. 22.
비름속 (11.10, Amaranthus blitum subsp. emarginatus) '22.11.10 2022. 11. 20.
바늘꽃속(10.7) 바늘꽃과 특징 : 꽃잎과 꽃받침이 4개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바늘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1. 주두는 4개로 깊게 갈라진다. -----  E. hirsutum 큰바늘꽃(울릉도, 삼척, 백두산 주변)1. 주두는 갈라지지 않는다    2. 잎에는 분명한 거치가 있다        3. 잎 한쪽면의 거치수가 8개 이상이고, 잎은 좁은 난 형, 피침형-장타원상 피침형이다             4. 주두는 곤봉상이다. ----- E. pyrricholophum 바늘꽃(전국)             4. 주두는 두상이다.                  5. 종자의 표면에는 유두상의 .. 2022. 10. 10.
참바늘골 원변종(9.15) 화피편이 수과에 비해 짧고 줄기는 약 50cm정도 낮은 산지의 축축한 반음지에서 자생 '20.9.15 / 창녕 야산 반음지 2020. 9. 19.
비수리속??? '13.6.8일 / 대구 2013. 8. 2.
털나비나물 (가칭) '13.6.6일 털나비나물 (가칭)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27 2013. 7. 30.
기장속 '13.6.9일 / 대구 2013. 6. 12.
털나비나물 <가칭> '13.5.5일 털나비나물(가칭)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041 2013. 5. 25.
명아주과?? '12.8.26일 / 포항 2012.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