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미기록종33

[가칭] 큰좀소리쟁이(Rumex dentatus L./6.17) 좀소리쟁이와 유사하나 열매 (화피) 가 커서 가칭 '큰좀소리쟁이'로 명명함.[주요 특징]좀소리쟁이처럼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엽병과 잎 뒷면은 맥을 따라 유두상 돌기가 있다.화경은 3/1지점에 관절이 있다.내화피열편은 삼각상 난형, 크기는 4~5 * 2.5~3mm, 뚜렷한 그물맥이 있고 1.5~2mm의 돌기가 있으며각 가장자리에는 길이 1.5~2mm의 가시가 2~4개 있다.종자는 광택이 나며 난형이고 날카로운 삼각형이며, 길이는 2~2.5mm, 기부가 좁고 끝이 뾰족하다. 좀소리쟁이의 국생종 기재문에 내화피열편의 크기(길이 4-5mm, 너비 2-3mm)는 오기재로 보인다. 좀소리쟁이 열매(6.28)'20.6.28hyunsik.tistory.com [가칭] 큰좀소리쟁이 열매, 종자(Rumex den.. 2024. 6. 17.
분개구리밥속???(5.13) 우리나라에 보고된 분개구리밥속은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 2종이고 세계적으로 11종이 있다.제가 본 분개구리밥속은 아래의 이유로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이 아닌 미기록종이 아닐까 싶다.- 엽상체의 길이가 약 1mm정도로, 0.5~0.8mm인 남개구리밥에 해당되지 않고- 엽상체가 반투명하고 가장자리가 잘보여,   불투명하고 가장자리가 잘 보이지 않는 분개구리밥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비교]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 남개구리밥(W. globosa (Roxb.) Hartog & Plas)  - 엽상체가 투명하고 광채가 없다. 엽상체 가장가리가 투명하며 수면아래에 잠긴다.  - 엽상체의 길이는 0.5-0.8mm    cf. 수면아래 잠기는 엽상체 가장자리는 분개구리밥에 비해 많이 넓다.* 분개구리밥(W. arrhi.. 2024. 5. 14.
Amaranthus cruentus 꽃, 열매 (아마란스) 아마란스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고산지대에 5,000여 년 전부터 재배되어온 비름속 식물로 국내에 도입된 작물. '시들지 않는 꽃'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아마란스는 개화 시기가 긴 특징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열대와 아열대와 같이 따듯한 기후에 잘 자라나며 페루, 볼리비아 등의 남아메리카가 주산지이다. 5월에 파종하며 이때 줄기는 최대 1~2m까지 자란다. 잎은 넓게 자라며 꽃은 7~9월 동안 개화하는데 길이가 긴 대에 여러 개의 작은 꽃이 모여있는 수상꽃차례이다. 씨앗의 색을 따라 노란색, 주황색, 자주색, 보라색, 녹색, 검정색 등으로 다양하게 핀다. '23.8.26 2023. 12. 12.
쑥부쟁이와 가새쑥부쟁이 교잡종??? 잎은 가새쑥부쟁이을 닮았고, 관모 길이는 쑥부쟁이를 닮음. '23.10.2 2023. 11. 13.
등골나물속??? (열매 포함) 습지에 자생. 잎 앞뒷면, 줄기, 꽃받침에 누운 털이 있으며 잎은 뒷면에 샘점이 있고 갈라지기도 한다. 총포는 내외총포가 있으나 길이는 각각 달라 보인다. 관모 길이는 4.2mm, 종자는 네모지나 각이 진 모서리가 돌출(등골나물속의 특징이지 않나 싶다)한다. 종자 길이는 2.2-3.0mm. [유사식물의 관모/종자 길이 비교] - 향등골나물 : 3/4mm - 등골나물 : 3/4mm ---> 제가 본 종자 크기와 달라 보임 - 골등골나물 : 2.5mm/?(5각이 진 원뿔모양) - 벌등골나물 : ?/? - 새등골나물 : ?/3mm * 식물학자에 따라 동일한 학명을 벌등골나물 또는 새등골나물로 부르기도 하며 교잡종을 보이는 게 있어 등골나물속을 새롭게 정립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등골나물 종자 '22.6.1 h.. 2023. 11. 12.
털노박덩굴 열매??? '22.11.6 2022. 12. 2.
바늘꽃속 '22.11.6 2022. 11. 23.
바늘꽃속 열매 '22.10.20 2022. 11. 22.
참바늘골 원변종(9.15) 화피편이 수과에 비해 짧고 줄기는 약 50cm정도 낮은 산지의 축축한 반음지에서 자생 '20.9.15 / 창녕 야산 반음지 2020. 9. 19.
비수리속??? '13.6.8일 / 대구 2013. 8. 2.
털나비나물 (가칭) '13.6.6일 털나비나물 (가칭)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27 2013. 7. 30.
기장속 '13.6.9일 / 대구 2013. 6. 12.
털나비나물 <가칭> '13.5.5일 털나비나물(가칭)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041 2013. 5. 25.
명아주과?? '12.8.26일 / 포항 2012. 9. 21.
Eleocharis S.P 구슬갓냉이 군락지 우측으로 물가 따라서 '12.7.3일 여주 2012. 7. 27.
다닥냉이속 '11.4.30일 / 대구 2012. 1. 15.
도깨비바늘속(흰도깨비?) '11.11.20일 / 대구 울산도깨비 + 흰도깨비 중간형 추정 흰도깨비바늘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150 2011. 12. 6.
??보리수나무 1mm 눈금 아래쪽의 큰 열매는 보리수나무 1mm 눈금 '11.9.21일 / 안동 2011. 9. 23.
????????? '11.9.9일 2011. 9. 9.
Scirpus wichurae Bocklr.f.wichurae 2011. 8. 22.
꼬리조팝나무 2??? 0.5mm 눈금 / 열매 크기는 암술머리 포함 최대 2.8mm 좌측 : 꼬리조팝나무 1??? / 우측 : 꼬리조팝나무 2??? 좌측 : 꼬리조팝나무 1??? / 우측 : 꼬리조팝나무 2??? 좌측 : 꼬리조팝나무 2??? / 우측 : 꼬리조팝나무 1??? 꼬리조팝나무 1???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89 2011. 8. 5.
꼬리조팝나무 1??? 좌측 : 꼬리조팝나무 1??? / 우측 : 꼬리조팝나무 2??? =&gt; 잎 크기와 거치 수가 차이가 있다. 좌측 : 꼬리조팝나무 1??? / 우측 : 꼬리조팝나무 2??? 기재문에는 열매에 털이 있다 하는데 털이 없다. 1mm 눈금 / 열매크기 : 암술머리 포함 최대 4mm 좌측 : 꼬리조팝나무 2??? / 우측 : 꼬리조팝나무 1??? 꼬리조팝나.. 2011. 8. 5.
~ 장구채? 2011. 7. 22.
Monarda citriodora '11.7.12일 2011. 7. 13.
몰라?? 2011. 6. 15.
개콩다닥냉이<가칭> 콩다닥냉이에 비해 초봄에 보이는 뿌리잎은 광택이 나고 위아래 우편이 겹친다. 이 곳에서 확인 : http://blog.daum.net/watcher/8760638 개화기가 보다 빠르다. 개화시점에도 근생엽이 그대로 남아 있다. 줄기에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꽃잎은 잘 보이지 않고 꽃받침보다 작다. 2011. 4. 30.
호랑버들은 아니고...??? 호랑버들은 암술머리가 4개인데 반해 요녀석은 암술머리가 4~6개이며, 밀선은 1~2개로 보이네.....뭘까????? 호랑버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462 2011. 3. 30.
개콩다닥냉이<가칭> 다닥냉이속?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413 2011. 3. 29.
Miscanthus류 2011. 1. 15.
가는하늘지가??? 2010.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