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131 가새쑥부쟁이(7.14) [비교] 구절초속, 참취속(쑥부쟁이속)- 구절초속 : 관모가 없다.- 참취속 : 관모가 있다.[특징]1. 동속에서 개화시기가 빠르다.2. 잎이 우상으로 갈라진다.3. 관모가 짧다.[기재문]학명 : Aster incisus Fisch. 국화과/참취속근생엽은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 죽는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길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안쪽으로 굽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위로 올라가면서 작어져서 선상 피침형으로 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2023. 1. 12. 넓은잎외잎쑥 '22.6.17 2022. 12. 21. 지리고들빼기 꽃(11.3) 까치고들빼기와 (왕)고들빼기와 교잡종으로 추정.까치고들빼기에 비해 꽃이 크며 꽃잎이 많이 달린다. 지리고들빼기 신엽(5.9)까지고들빼기와 (왕)고들빼기의 교잡종.엽축에 날개가 있다.'23.5.9.hyunsik.tistory.com [좌(꽃잎 5장) : 까치고들빼기 꽃 / 우(꽃잎 6~8장) : 지리고들빼기 꽃]'22.11.3. 2022. 12. 15. 함백취 신엽(취나물속, 6.17) '21년 신종으로 발표.학명은 Saussurea albifolia M. J. Nam & H. T. Im 충북,경북,강원의 백두대간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적으로 백운취, 분취, 은분취와 유사하며, 변이의 폭도 넓다. 줄기는 가지를 잘 치며, 화서는 산방화서이고, 총포는 종형으로 14-16mm × 8-12mm이다. 총포편의 가장자리 중간-상부는 어두운 보라색이고, 잎 기부는 파상이거나 심장형이다. 잎 표면은 흰색 털로 덮여있다. 함백취(7.31)'21년 신종으로 발표.학명은 Saussurea albifolia M. J. Nam & H. T. Im 충북,경북,강원의 백두대간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적으로 백운취, 분취, 은분취와 유사하며, 변이의 폭도 넓다. 줄기는hyunsik.tistory.com .. 2022. 9. 25.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 '22.5.22 '22.5.19 2022. 9. 2. 노랑선씀바귀 (4.29) '22.4.29 2022. 8. 4. 은분취 꽃(10.3) [비교] 분취, 은분취, 백운취, 남해분취 출처 : 한국의 산꽃,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재검토(2014년). 백운취 및 남해분취 논문종명뿌리잎총포그 외 특징분취표면에 털이 없거나 긴 털이흩어져 있고, 뒷면에는 백색의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한다.6~7열.길이 14~15mm경생엽이 없거나 매우 적으며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두상화는 1~5개은분취뒷면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밀생하며, 해안가에 자생하는경우 광택이 약간 난다.8~11열.길이 13~16mm두상화는 1~7개백운취잎 뒷면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있다가 차츰 없어진다.7~11열.길이 9~11mm은분취에 비해 가지가 많이갈라지고 두상화 수가 많다.남해분취표면은 털이 없으며, 뒷면에는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5~7열.길이 8.5~10mm은분취에 비해 잎의 밑부분의.. 2022. 4. 7. 개꽃아재비 (Anthemis cotula L.) '17.7.2 2022. 1. 2.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Nakai) Kitam.)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4-10cm, 나비 1.5-4cm로서 밑부분이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잔털이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위로 가면서 점차 작아진다. 꽃은 8-9월에 피며 두화는 지름 12-15mm로서 원추상으로 달리고 포는 없거나 작다.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3mm이며 내포편은 침형이고 길이 6-6.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길이 8.5mm, 나비 2mm정도이다. 암술대가 2개로 갈라져 길게 뻗어 나고, 꽃밥이 암술대 둘레에 모여 있다. 수과는 원통형이며 종선이 있고 끝에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4.5mm이고 연한 갈색이다. 높이가 15-70m에 달하고.. 2021. 4. 6. 추산쑥부쟁이 (10.16) [기재문]해국과 섬쑥부쟁이와 교잡종. 한반도 특산종학명은 Aster chusanensis Y.S.Lim, J.O.Hyun, Y.D.Kim & H.C.Shin잎은 단엽으로 어긋나기하며, 근생엽은 꽃이 필때 시든다. 근생엽의 길이는 3.5~7cm로 길이 2~5cm 정도의 날개가 발달한다.엽신은 도란형, 넓은 난형으로 길이는 1~3.5cm, 폭은 1~2cm이다. 엽선은 예두, 엽저는 유저, 가장자리는 2~4쌍의 톱니가 있고 털이 밀생한다.경생엽은 길이 5~16cm, 잎자루 날개는 길이는 1.~5cm이고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1cm, 폭 3~7cm이다. 예두, 유저이고 6~10쌍의 톱니가 있다. 줄기의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2~6.5cm, 폭 0.6~3.5cm이.. 2021. 2. 27. 섬쑥부쟁이 꽃(10.16, 참취속) [비교] 섬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자료 출처 : 국생종 종자정보, 한국의 들꽃)종명섬쑥부쟁이(특산식물)까실쑥부쟁이분포울릉도, 포항 등 동해한전국줄기잎 길이 ~20cm. 뒷면에 선점이 있고 엽연은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길이 ~14cm. 엽연은 비교적 고른 거치가 있다.꽃 지름 15mm. 혀꽃(백색)이 통꽃모음보다 작거나 비슷하다. 지름 20m. 혀꽃(하늘색)이 통꽃모음보다 길다.총포 통형이며 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녹색. 포편은 3~4열로 배열(한국의 들꽃) 계란모양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홍자색이 돈다종자 길이 2.3~2.7mm, 폭 0.7~1.1mm, 털이 거의 없다 길이 2.4~2.6mm(한국의 들꽃) 길이 2.8~2.9mm, 폭 0.9~1.1mm, 털이 있다.비고 .. 2021. 1. 2. 붉은서나물 (9.12 / 국화과, 붉은서나물속) [기재문]학명은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들판, 노지, 초지, 길가, 산기슭, 숲속의 그늘진 곳 등에서 한해살이풀로 흔하게 자란다. 키는 20~100cm, 줄기에 능선이 있으며, 붉은색을 띠고 연하다. 잎은 어긋나며 2~3장씩 모여서 달리고, 피침형, 긴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 원줄기를 감싸며, 날카로운 이모양톱니가 있다.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는 없다. 머리모양꽃은 9~10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모두 통모양꽃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연한 노란색이다. 모인꽃싸개는 원통 모양, 녹색, 밑이 약간 팽대하고, 길이 1.5cm, 밑에 작은꽃싸개잎이 있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1줄로 배열, 막질의 선.. 2020. 10. 6. 남해분취(특산식물), 뿌리(6.23)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 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 함백취, 서울분취, 백운취가 있으나, 극형, 전형의 잎은 남해분취만의 특징.백운취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전남 광양군 백운산 억불봉(1,008m) 근처 암석지 사이에서 발견됨.논문 바탕으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비교] 분취, 은분취, 백운취, 남해분취 출처 .. 2020. 8. 29. 남구절초 (11.21) [구절초속 비교]* 가는잎구절초 : 산구절초로 통합* 바위구절초 : 북부지방의 높은 산에 자생하며 전체에 회색 털이 있다.* 포천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주로 강변에서 자라며 산구절초에 비해 잎이 보다 잘게 갈라지며 줄기에 털이 없다.* 산구절초 : 산에 자라며 줄기에 누운 털이 있다.* 한라구절초 : 한라산에 자라며 잎에 광택이 있다.* 남구절초 : 남쪽 섬에 자라며 잎이 두껍고 넓은 난형이며 표면에 윤택이 있고 잎끝 부분은 얕게 갈라진다.* 울릉국화 : 울릉도 해안가 주변에서 자라며 잎은 깊게 비교적 가늘게 갈라지고 갈래는 피침형으로 두껍고 광채가 나며 땅속줄기가 있다. '19.11.21 / 경남구절초 보기 : h.. 2020. 1. 7. 등골나물아재비 (11.21, 등골나물아재비속) [기재문]한해살이풀. 학명은 Ageratum conyzoides L.잎은 마주나기 잎차례이며 윗부분에서 어긋나기 잎차례가 되기도 한다.잎몸은 달걀모양-긴타원모양, 길이 2-6㎝, 폭 1-4㎝, 끝이 둔두이며, 기부는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잎 가장자리는 끝이 둥근 거치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3㎝로 털이 있다.꽃은 7-10월에 피며, 머리모양꽃차례는 다수이며 백색 또는 담자색으로 편평꽃차례를 만든다.총포는 종형으로 총포조각은 이열(列)로 배열하며,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점첨두이고 동형(同形)이며, 3맥이 있고 거의 털이 없다.혀꽃은 없고, 통상화는 끝이 5열되고 암술머리는 깊게 이열되어 꽃부리 밖으로 초출된다.수과는 5각이 지며, 길이 2㎜, 흑색이고 관모는 5개, 까락 모양이다.식물 전체에 털.. 2019. 11. 28. 가는잎한련초, 종자, 한련초 종자(한련초속) 학명은 Eclipta alba (L.) Hass. [한련초] [좌 : 가는잎한련초 / 우 : 한련초] '19.9.17 / 경남한련초 보기 : 2019. 9. 20. 국화방망이 (산솜방망이속/7.4) [기재문]학명은 Sinosenecio koreanus (Kom.) B.Nord. 희귀멸종위기식물. 깊은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5~60cm. 뿌리줄기는 짧고 가지를 치며 가는 뿌리가 많이 난다.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자줏빛이 돈다. 뿌리잎은 끝이 뾰족하고 앞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뒷면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다. 잎자루가 길며 잎몸은 세모꼴 심장 모양이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에 날개가 없고 줄기로 약간 흐르거나 줄기를 감싼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3각상 심장형으로 길이 4.5~8.5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다소 심장형이고 표면에는 털이 약간 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산방꽃차례로 피는데 지름은 20.. 2019. 7. 10. 섬갯쑥부쟁이 잎(8.16) '12.8.16 / 포항 2018. 11. 18. 덤불쑥 (5.23) 덤불쑥 : 유사종에 비해 잎이 매우 크며 변위의 폭도 크다. 중앙부의 잎에 가탁엽이 있다. 주로 중부지방 이북의 길가나 풀밭 및 숲 가장자리산쑥 : 중앙부의 잎에 가탁엽이 없다. 울릉도, 독도의 길가나 농경지, 해안가 및 숲 가장자리참쑥 : 중부지방 이북. 잎은 가탁엽이 있고 표면에 백색 선점이 있다. '17.5.23 / 정선 2018. 11. 4.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Houtt.) '18.8.12 / 남한산성 등골나물아재비 보기 : 2018. 9. 6. 갯취 신엽(4.21) '18.4.21 / 북병산갯취 더보기 :갯취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030 2018. 5. 9. 금떡쑥 (Gnaphalium hypoleucum DC.) '17.10.19 / 거제도 금떡쑥 뿌리잎 보기 : 떡쑥 보기 : 일년초.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이저이며 원줄기를 얼싸안고 길이 4~5㎝,너비 2.5~7㎜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잔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한다. 꽃은 모두 두상화로서 8-10월에 황색으로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4mm이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4mm, 나비 6-7mm이며 포린은 5줄로 배열되고 건막질로서 황색이며 바깥 것은 짧고 뒷면에 백색 털이 있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0.5mm정도로서 잔점이 있고 관모는 오백색汚白色이다. 높이 30-6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벌어지며 솜털에 싸여있다. 2017. 10. 29. 황해쑥 꽃 (9.25, 9.22) [특징]1. 줄기는 흰색 거미줄 모양의 털이 빽빽하게 나서 멀리서 보면 식물체는 은색을 띤다.2. 줄기 아래의 잎 앞면은 흰색 점이 많고, 뒷면은 흰색 거미줄 모양의 털이 빽빽하게 난다.3. 개화시 잎의 표면에 흰색 샘털이 분포한다.4. 뿌리 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어 모여 자란다.[기재문]학명은 Artemisia argyi H.Lev. & Vaniot이며 종소명 argyi는 '흰색 또는 은색'을 의미한다. 산기슭, 산지 풀밭, 덤불숲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높이 75~165cm, 흰색 거미줄 모양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 잎은 정삼각형에 가깝고 길이 6.0~8.5cm, 폭 4.5~5.0cm, 1회 깃꼴로 완전히 갈라지며, 앞면에 흰색.. 2016. 10. 17. 물골취 (Saussurea stenolepis Nakai) '14.9.13 / 정선 물골취 더보기 : 물골취 뿌리잎 보기 : 물골취 열매 보기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과 더불어 길이 10-17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언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6.5-9cm로서 가장자리가 중앙까지 크게 갈라지지만 윗.. 2016. 10. 12. 산솜방망이 (산솜방망이속, 8.21) [기재문]희귀멸종위기식물. 비교적 높은 산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잎과 줄기에 흰털이 밀생하므로 "산솜방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학명은 Tephroseris flammea (Turcz. ex DC.) Holub이며 종소명 'flammea'는 '불꽃'을 의미하며 이는 적황색 꽃잎의 색깔에서 유래함. 고산지대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짧다. 줄기는 곧추서며, 잔털과 거미줄 같은 털로 덮이고, 높이 15~30cm다. 뿌리잎은 긴 타원형,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밑이 줄기를 감싼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 길이 6~9cm, 폭 2.0~2.5cm, 밑이 잎자루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 .. 2016. 9. 8. 귀박쥐나물 (6.5) [박쥐나물속 비교] 1. 줄기에 털 유형 - 유모 : 나래박쥐나물 - 무모 : 민박쥐나물, (한국산)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2. 엽병의 날개 유형 - 날개가(좁거나 넓게 발달) 있음 :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 날개가 없음 : (한국산) 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3. 잎 귀모양의 기부가 귀처럼 넓어지는 유형 - 존재형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부재형 : (한국산) 게박쥐나물, 민박쥐나물4. 경생엽의 수 - 3개∼5개 : (한국산) 게박쥐나물 - 6개∼10개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11개 이상 : 민박쥐나물5. 개화기의 줄기의 중부잎 형태(잎의 형태는 상·중·하부잎으로 구분) ① 삼각상극저형 : 잎의 형태가 삼각형으로 기부 열편이 다소 뾰족하고,.. 2016. 7. 25. 민박쥐나물 (7.27) [기재문]학명은 Parasenecio hastat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3각형 또는 창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25~35cm, 폭 30~40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양쪽 열편은 다시갈라지기도 하고 엽병은 길이 9~13cm로서 보통 날개가 있다.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총포는 길이 10-12mm, 나비 5mm이고 포편은 5-8개이며소화는 6-9개이고 화관은 길이 8-9mm이다.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5~8mm, 지름 1.5mm로서 종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7mm 정도로서 백색 또는칙칙한 백색이다... 2016. 3. 16. 이고들빼기(10.2) '14.10.2. 2016. 1. 3. 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북분취(국화과 취나물속) 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15.9.17 / 정선 구와취 보기 : 물골취 보기 : hyunsik.tistory.com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 취나물속에는 북분취, 구와취, 버들분취, 빗살서덜취가 있다. 북분취와 가 hyunsik.tistory.com '15.9.17 / 정선 구와취 보기 : 물골취 보기 : 2015. 12. 8. 좀개미취 (8.7) [기재문]학명은 Aster maackii Regel 산지 또는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45~85c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6.5~9cm, 나비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고 잔털이 있으며 다소 뒤로 말린다.꽃은 8~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두화는 지름 4cm이고 화경은 길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포는 2-3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5-10mm이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8-9mm, 지름 1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끝부분에 자줏빛이 돌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외편이 가장 짧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 나비 1.5mm로서 끝이 둥글고.. 2015. 10.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