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식물26

닥풀(9.12) [기재문]학명은 Hibiscus manihot L.일년초. 재배식물.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엽신은 5-9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다.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중심부는 흑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엽상포이지만위로 갈수록 포가 작아진다. 꽃밑에 있는 소포는 4-5개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과 더불어 나중에 떨어지고꽃잎은 5개이며 복와상으로 겹쳐지고 많은 세로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흑자색이고 수술은 단체(單體)이며암술대는 5개로 갈라지고 흑자색이다.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5개의 둔한 능선과 더불어 굳센 털이 있고 종자는 원숭이의 머리와 같은 모양이다.높이 1-1.5m이고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없다.. 2025. 1. 17.
개양귀비(5.1, 꽃양귀비) [특징]1. 전체적으로 털이 있다.2. 암술머리의 사출부는 8~10개.3. 열매는 털이 없고, 길이는 1cm  정도.[기재문]학명은 Papaver rhoeas L.암술머리는 8~16개이며 열매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털이 있다.잎은 호생하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꽃은 5월경에 피고 적색이지만 여러 가지 품종이 있으며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피기 전에는 밑을 향하다가필 때에는 위를 향한다.꽃받침잎은 2개로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백색이며 겉에 털이 있고 꽃이 필 때 떨어지며 꽃잎은 4개가 교호로대생하고 길이 3~4cm로서 다소 둥글다.수술은 많으며 자방은 도란형이고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방사형이고 화경에 퍼진 털이 있다.열매는 삭과로 넓은 도란형.. 2025. 1. 12.
나팔꽃 원예종(8.3) 나팔꽃 (9.13, 메꽃과 나팔꽃속)[비교] 메꽃속, 나팔꽃속1. 메꽃속의 꽃은 잎 겨드랑이에서 1개, 나팔꽃속은 2개 이상 나온다.2. 메꽃속은 다년생이나, 나팔꽃속은 일년생이다.3. 메꽃속의 꽃은 한낮에 피나, 나팔꽃속은 아침에hyunsik.tistory.com'24.8.3. 2024. 12. 31.
갯국(11.24) 학명은 Ajania pacifica (Nakai) K.Bremer & Humphries잎은 어긋나는데 난상 타원형으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다.잎끝은 둥글거나 둔하고 잎 밑은 아래쪽으로 흐른다. 잎 가장자리 위쪽에 무딘 톱니가 2~4개가 있다.늦가을에 노란색 머리모양꽃이 많이 모여 피는데 혀모양꽃은 없고 관모양꽃으로만 되어 있다.꽃이 아름다워 우리나라 전역의 화단에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일본 혼슈섬에 분포한다. 갯국(3.1, 솔인진속)학명은 Ajania pacifica (Nakai) K.Bremer & Humphries 국화과 산국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어긋나는데 난상 타원형으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다. 잎끝은 둥글거나 둔하고 잎 밑은hyunsik.tistory.com'2.. 2024. 11. 25.
유홍초(메꽃과, 유홍초속 / 8.3) [기재문]학명은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정원, 화단 등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길이는 1~2m쯤이며, 덩굴은 물체를 왼쪽으로 감으며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며, 잎몸은 여러 갈래로 깊게 갈라진 빗살 모양이며, 갈래는 선형이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대 끝에 1개씩 달리며, 붉은색 또는 흰색을 띤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는 긴 타원형이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심어 기르며, 열대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꽃받침은 꽃이 떨어져도 계속 붙어 있는 특징이 있다.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난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아래쪽에 각을 이루는 .. 2024. 8. 13.
바위취 (범위귀과, 바위떡풀속) 학명은 Saxifraga stolonifera Meerb.이며 종소명 stolonifera는 '포복지가 있는' 의미.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긴다. 높이 8~45cm까지 자란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잎자루는 길이 5~10cm쯤으로 길다. 잎몸은 콩팥형 또는 심장형으로 길이 1.5~7.5cm, 폭 2~12cm, 가장자리는 7~11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갈래잎의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의 앞면에 누운털이 있고, 뒷면에는 털이 없다(?). 잎은 두껍고, 잎맥은 7~9개가 손바닥 모양으로 뻗는다. 줄기잎은 없다. 꽃줄기는 곧게 자라고, 붉은색을 띠며, 가지를 많이 치고, 짧은 샘털이 있다. 꽃은 5월에 피는데 꽃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10~20cm, 짧은 샘털이 있다.. 2024. 2. 27.
부들레야 (부들레야과, 부들레야속) 학명은 Buddleja davidii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떨기나무. 어린가지와 잎 뒷면, 잎자루 및 꽃차례에 흰색 별 모양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작은 가지는 단면이 거의 사각형이다. 잎은 마주나며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어두운 녹색이고 털은 없거나 다소 있다. 꽃은 7-9월에 연한 자줏빛으로 총상꽃차례에 빽빽하게 피며, 전체가 원추꽃차례 모양으로 된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고, 끝이 얕게 4개로 갈라지며 꽃받침과 더불어 별 모양 털이 빽빽하게 난다. 수술은 4개이고, 씨방에 털이 없다. 열매는 털이 없거나 비늘 모양 털이 있으며 많은 씨가 들어 있다. 관상용으로 흔히 정원이나 공원에 식재한다. '22.10.6 2024. 1. 29.
물상추 (천남성과, 물상추속) 학명은 Pistia stratiotes. 물 위에 떠서 자라는 부유성 수생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깃털 모양으로 많이 나오고, 물속으로 처지며, 길이 50cm까지 자란다. 잎은 지름 6-30cm의 로제트 모양으로 난다. 잎자루는 매우 짧거나 대부분 없다. 잎몸은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2-15cm, 스펀지 같고, 회색빛이 도는 녹색,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끝은 둥글거나 잘린 모양 또는 얕게 갈라지고, 밑은 쐐기 모양으로 좁아진다. 잎맥은 2-15개가 거의 평행하게 난다. 꽃은 늦여름에서 초겨울에 핀다. 불염포는 흰색 또는 연한 녹색이고, 길이 5-12mm, 바깥쪽에 털이 조금 난다. 육수꽃차례는 불염포의 중간 위쪽에 붙으며, 불염포보다 짧다. 수꽃은 6-8개가 꽃차례 축을 돌아가며 .. 2024. 1. 29.
미국능소화 '23.8.27 2023. 8. 31.
부레옥잠 '21.11.5 2023. 7. 19.
목련 '19.3.24 2023. 3. 27.
해바라기 '22.10.3 2023. 1. 24.
끈끈이대나물 흰꽃(5.12) 1. Leaves mostly ovate to ovate-lanceolate; stems viscid ····················· S. armeria 끈끈이대나물1. Leaves mostly narrowly oblanceolate or lanceolate to linear-lanceolate; stems and pedicels viscid.2. Stamens and styles included in petals; seeds bumpy ························S. antirrhina 가는끈끈이장구채2. Stamens and styles exserted from petals; seeds f lattened.3. Plants annual or biennial; petals whi.. 2023. 1. 14.
앵무새깃물수세미(11.10) [개미탑과 속 분류]1. 식물체는 육생한다. 잎은 대개 대생하며 난형이고 전연이다.    총상화서로 흔히 분지하여 원추형을 이룬다. 꽃은 양성이다 ----- 개미탑속1. 식물체는 수생한다. 잎은 대개 윤생하며 선형~장타원형이고 흔히 우상으로 갈린다.    정상하는 수상화서이거나 엽액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은 단성이다. ----- 물수세미속[비교] 물수세미속의 종 학명과 일본명국명학명일본명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L.ホザキフサモ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L.フサモ긴동아물수세미 Myriophyllum oguraense Mikiオグラノフサモ선물수세미 Myriophyllum ussuriense (Regel) Maxim. タチモ앵무새깃물세미(재배식물)My.. 2022. 12. 1.
노랑코스모스 '22.7.21 2022. 9. 19.
큰금계국 꽃(5.15) 큰금계국 월동잎(2.24)큰금계국 꽃(5.15)큰금계국 꽃(5.28)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3.5.28. / 대구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2.5.15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꽃(5.28)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꽃(5.28)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3.5.28. / 대구hyunsik.tistory.com 큰금계국 열매, 종자(6.23)'22.6.23hyunsik.tistory.com'22.5.15. 2022. 8. 18.
죽단화 '22.4.24 2022. 8. 2.
유홍초 꽃(8.25) '18.8.25 2022. 4. 25.
부레옥잠 '19.8.3 2022. 4. 8.
매발톱(5.13, 원예종) [기재문]학명은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utv. & Meyer) Kitam.근생엽은 여러 장이 모여 나며, 엽병이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겹잎이며,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다.꽃은 노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가지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꽃받침 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며, 길이 2cm, 갈색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받침 조각 끝이 뾰족하다.꽃잎은 5장, 노란색이며, 꽃받침 잎과 번갈아 늘어선다.꽃잎 아래쪽에 거가 있는데, 끝이 안으로 구부러지고 밖으로 나온다. 수술은 많으며, 안쪽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암술은 5개다.  과실은 골돌이며, 위를 향해 달린고 털이 많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매끈하고 자줏빛이다.노랑매발톱은 백두산에 .. 2022. 1. 17.
금목서 꽃 '20.10.1 2021. 4. 4.
좀쉬땅나무 꽃(6.27) [비교] 쉬땅나무, 좀쉬땅나무종 명쉬땅나무좀쉬땅나무(관상용으로 식재함)학 명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owicz,Trudy Imp.잎소엽은 7~11쌍, 잎 뒷면에 털과 성상모가 밀생?.소엽은 5~10쌍, 잎 뒷면에 긴 털이 있다.꽃받침 열편털이 있고 삼각형 모양이고 끝이 뾰족.털이 없고 반원형 내지 계란형이고 끝이 둔함.꽃차례화경, 소화경에 털이 있다. 하늘을 보고 서 있음.화경, 소화경에 털이 없다. 땅을 향해 늘어짐.수 술40~50개, 꽃잎 길이보다 2배 정도 길다.20개 정도, 꽃잎 길이와 거의 비슷.열 매길이 4~6mm. 표면에 털이 밀생한다.길이 2.5~5.5mm. 표면에 털.. 2015. 8. 12.
미국능소화 '14.7.28 / 제주도 미국능소화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379 2015. 7. 4.
풍년화 '13.2.11일 / 경주 2013. 3. 14.
가을풍년화 '13.2.11 2013. 3. 14.
알프스민들레 '12.11.18일 / 식물원 2012.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