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개별꽃, 뿌리(3.31, 4.23, 개별꽃속)
[특징]1. 괴경은 가는 방추형으로 3–56개가 달리며, 지상부 줄기는 1–43개로 괴경을 통해 이웃하여 연결되어 있다.2. 단독으로 사는 개체도 있으나 모여서 자란다.큰개별꽃(화경과 꽃받침에 털이 없음)과 유사하지만,태백개별꽃은 개화 이후 화경이 더 길어져서 결실기가 되면 땅바닥에 고꾸라진다.지리산개별꽃(결실기에 소화경이 줄기 기부까지 굽고, 폐쇄 소화경의 길이가 길음)과 유사하지만, 태백개별꽃은 괴경이 가는 방추형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으며 꽃잎이 5~9장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1. 소화경에 털이 1~2줄 있고, 꽃잎은 5장이며 괴경은 방추형이다. ----- 지리산개별꽃1. 소화경에 털이 없고, 꽃잎은 5~9장이며 괴경은 가는 방추형이다. ----- 태백개별꽃[기재문]괴경은 가는 방추형으로 3–56..
2023. 4. 1.
털바위떡풀(10.17)
털바위떡풀은 울릉도 특산식물이며 바위떡풀에 비해 잎 거치가 보다 날카롭고 엽병에 털이 밀생한다 하는데바위떡풀도 엽병에 털이 밀생하는 개체도 보여 그 구분이 모호하다.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 구실바위취속 : 구실바위취- 범의귀속(= 바위떡풀속) :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 바위취, 씨눈바위취 탐라바위취, - 나도범의귀속 : 나도범의귀- 국내에 자생종 : 구실바위취, 참바위취, 바위떡풀, 털바위떡풀, 탐라바위취- 원예종 : 바위취- 북부지방 고산지대 : 나머지 종[기재문]학명은 Saxifraga fortunei var. pilosissima Nakai.바위떡풀에 비해 잎자루에 털이 많음근생엽은..
2021. 2. 21.
탑꽃 (7.26, 탑꽃속)
[비교] 산층층이, 탑꽃, 애기탑꽃종명산층층이(C. multicaule var. shibetchense)탑꽃(C. multicaule )애기탑꽃(C. gracile )줄기 높이15~40cm.10~30cm15~30cm잎 크기길이 2~4cm, 폭 10~25mm길이 2~5cm,폭 10~20mm길이 1~3cm,폭 8~20mm잎의 털양면에 가는 털.윗면에 털이 산생양면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잎 뒷면의 선점없음뚜렷하지 않음 없음꽃 색, 꽃부리백색 또는 담홍색,길이 8~12mm 백색, 길이 8~9mm연한 홍색, 길이 5~6mm꽃받침 길이 6-8mm.짧은 샘털이 있다.길이 6mm. 맥 위에 보통짧은 털과 퍼진 털이 있다길이 3.5-4mm.맥위에 짧은 털이 있다.소포 길이꽃자루보다 길다.꽃자루보다 짧다.꽃자루보다 매..
2015. 9. 28.
털큰참새귀리(6.5)
엽초는 둥글며 털이 없으나 드물게 아래쪽 것은 미모가 있기도 하며, 엽설은 높이 1-2㎜이다. 잎새는 선형이며 길이 10-20㎝, 폭 3-6㎜, 털이 없거나 연모가 성기게 나 있다.꽃은 6-7월에 핀다. 원추화서는 길이 12-20㎝, 한 마디에 2-5개의 가지가 있고 가지마다 1-4개의 소수가 붙는다. 소수는 납작하고 장타원형상 피침형이며, 5-15 소화가 달리며 털이 없고, 길이 1.5-2.5㎝, 소화지가 열매 사이로 보인다. 제1포영은 길이 4-6㎜, 3-5맥, 제2포영은 길이 6-7㎜, 7맥이며 제1포영보다 넓다. 호영은 광타원형, 길이 6-7㎜, 7맥, 등이 둥글고 끝이 요두이며, 8㎜ 정도의 곧은 까락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크기이며 용골 위에 경모가 있다. 줄기는 높이 40-80㎝이다. ..
2015.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