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타52

토마토(가지과, 6.24) 학명은 Lycopersicon esculentum Mill.이며 종소명 esculentum는 '먹을 수 있는' 의미.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2m,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부드러운 흰색 털이 밀생한다. 잎은 작은잎 9~19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길이 15~45cm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큰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높이가 1m이상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땅에 닿으면 어디에서나 뿌리가 내리며 부드러운 흰 털이 밀생한다. 작물로 밭에 재배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에는 17세기에 중국에서 도입되었으며, 190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재배가 시작되었다. '24.6.24 2024. 6. 24.
털전호(산형과, 전호속/3.14) 전호의 변종. 전호와 비슷하나, 열매에 누른 빛이 도는 돌기가 있고, 전체에 털이 많이 남 [기재문] 학명은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var. hirtiructus (Ohwi) H.Hara 산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1m쯤이며, 식물체 전체에 털이 많다. 뿌리는 굵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며, 삼각형이고 2~3회 깃꼴겹잎으로 길이 20~50cm이고, 최종 갈래는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뿌리잎과 비슷하나 차츰 작아져 잎집만으로 된다. 꽃은 7월에 피는데 흰색이고 겹산형꽃차례이며 작은 산형꽃차례는 5~12개이다. 가장자리의 꽃이 가장 크고 모인꽃싸개는 없으나 작은모인꽃싸개잎은 5~12개이다. 꽃잎은 5장이고 바깥쪽 1장이 가장.. 2024. 3. 24.
태백개별꽃, 뿌리(석죽과, 개별꽃속/3.31) 큰개별꽃(화경과 꽃받침에 털이 없음)과 유사하지만, 태백개별꽃은 개화 이후 화경이 더 길어져서 결실기가 되면 땅바닥에 고꾸라진다.지리산개별꽃(결실기에 소화경이 줄기 기부까지 굽고, 폐쇄 소화경의 길이가 길음)과 유사하지만, 태백개별꽃은 괴경이 가는 방추형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으며 꽃잎이 5~9장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괴경은 가는 방추형으로 3–56개가 달리며, 지상부 줄기는 1–43개로 괴경을 통해 이웃하여 연결되어 있다. 소화경에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부분적으로 털이 있으며, 개화기 소화경 길이는 2.7–6.1 cm이고, 결실기 소화경의 길이는 4.5–8.2 cm이다. 꽃받침은 5–9개이고, 꽃잎은 5–9장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예두이며, 암술대의 수는 2–5개이고, 수술의 수는 10–18개.. 2023. 4. 1.
털둥근갈퀴 (Galium kamtschaticum Steller ex Roem. & Schult. 꼭두선이과, 갈퀴덩굴속) 잎은 4장씩 윤생하지만 원줄기에서는 3-6개씩 달리며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 때로는 도란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지만 갑자기 뾰족해지며 3맥이 뚜렷하고 길이 1-2.5cm, 폭 7-12m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산재한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녹황색이고 취산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10개 정도의 꽃이 2출 내지 3출상으로 달린다. 화관은 4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과 2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2개가 서로 붙어 있고 분과에 긴 갈고리털이 밀생한다. 높이 5-15cm이며 털이 없고 밋밋하다. 근경은 얕은 땅속을 옆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22.6.17 2022. 9. 25.
탐라풀 (Hedyotis lindieyana var. hirsuta (L.f.) Hara, 꼭두선이과 / 수염치자풀속)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길이 2~4cm, 나비 1-2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5mm이며 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며 엽액에 몇 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거의 없거나 짧으며 꽃받침열편은 난형이고 길이 2mm로서 끝이 둔하며 열매가 익을 때 밖으로 젖혀진다. 화관은 백색이고 4개로 갈라지며 길이 3~4mm이다. 열매는 삭과로 꽃받침통 속에 들어 있으며 편구형이고 지름 4mm정도로서 퍼진 잔털이 있으며 종자는 많고 작으며 잔 요점(凹點)이 있다. 높이 20-40cm이고 줄기 밑이 옆으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서며 다세포로 된 백색 털이 다소 있다. '22.8.19 2022. 9. 18.
털까마중 (Solanum sarrachoides Sendtn. 가지과, 가지속) 1년생. 잎은 달걀모양으로 길이 3~4.5cm, 나비 2~3.8cm. 물결모양톱니가 있고 양면에 샘털이 있다. 엽병 길이는 1.5~4cm이다. 꽃은 7~9월에 흰색으로 핀다. 3~9개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의 지름은 8~10mm이고 꽃부리는 5열 되며, 열편은 삼각형이다. 꽃받침은 샘털이 밀생하며 열편의 길이는 3mm이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며, 녹색 또는 자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납작하고 지름 2mm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땅에 눕고, 샘털과 긴 털이 섞여난다. '22.7.17 털까마중 (tistory.com) 털까마중 '22.9.21 hyunsik.tistory.com 2022. 9. 5.
털바위떡풀 (10.17) 학명은 Saxifraga fortunei var. pilosissima Nakai.바위떡풀에 비해 잎자루에 털이 많음근생엽은 심원형이고 길이 3-15㎝, 폭 4-20㎝로서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거의 없거나 굵은 털이 약간 있다. 엽병은 길이 3-30㎝로서 털이 많다.화경은 높이 5-35㎝로서 털이 없는 것과 있는 것이 있고, 꽃은 백색이며 길이 10-25㎝의 원추상 취산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20㎜로서 흔히 짧은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2-3㎜이고 꽃잎은 5개로서 옆으로 퍼지며 백색 바탕에 붉은 빛이 돌고 위쪽의 3개는 길이 3-4㎜, 아래쪽의 2개는 길이 5-15㎜로서 간혹 톱니가 있다. 수술은 길이 4-7㎜이며 암술대는 짧다.삭과는 길이 4-6㎜.. 2021. 2. 21.
털잎하늘지기 (Fimbristylis sericea (Poir.) R.Br.) 한국산 하늘지기속(Fimbristylis)의 종 검색표 1. 소수는 약간 눌리며, 인편은 마주 보며 2열로 달린다(쇠하늘지기 절) ----- 쇠하늘지기 1. 소수는 눌리지 않으며, 인편은 돌려 달린다 2. 수과는 원주상이고 단면이 둥글다(밭하늘지기절) 3. 수과 표면에 격자무늬가 없고,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다 ----- 푸른하늘지기 3. 수과 표면에 격자무늬가 있고, 가장자리에 돌기가 없다 ----- 밭하늘지기 2. 수과는 도란형이거나 삼릉형으로 단면이 양철형이거나 삼릉형이다 4.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지고, 화주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수과 단면이 양철형이거나 삼릉형이다(하늘지기절) 5. 화주에 털이 없다 ----- 좀민하늘지기 5. 화주에 털이 있다 6. 화주 기부와 상부에 털이 있다 7. 인편 중륵.. 2020. 10. 2.
털넓은잎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villosa Yamaz.) 남산 및 무등산에서 자라고 주로 금강산 이북에 분포한다. 잎은 대생하며 삼각상 난형 또는 좁은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5-8cm, 폭 3-6cm로서 표면에 털이 산생하거나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5c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하늘색이고 총상화서는 단순하며 길이 10-25cm로서 부드러운 짧은 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4mm로서 꽃받침보다 길며 2-4개의 세포로 된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화관은 지름 6-9mm이며 암술대는 길이 7-10mm이다. 높이 50-70cm이고 처음에는 부드러운 다세포의 털이 있다. '19.9.18 / 충남 2019. 11. 20.
털쥐깨 (Mosla dianthera var. nana (Hara) Ohwi)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19.9.15 / 경남 쥐깨풀 보기 : 2019. 11. 9.
털들깨(Perilla hirtella Nakai) 새들깨와 달리 포엽에 털이 있다. '17.10.3 / 전북 털들깨 열매 보기 : 새들깨 털들깨 포엽 비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69 새들깨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649 들깨 보기 : 청소엽 보기 : 소엽 보기 : 2019. 10. 29.
털계요등 (Paederia scandens var. velutina (Nakai) Nakai) 바다를 따라 대청도 및 울릉도까지 분포한다. 잎은 대생하고 넓으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에 점첨두이고 원저, 재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5-12cm로서 잎 뒷면에는 융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1-8c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는 정생하거나 액생하고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첨두이다. 화관은 길이 1-1.5cm, 지름 4-6mm로서 백색이고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있으며 수술은 5개로서 2개가 갈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5-6mm로서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다. 덩굴성이며 윗부분이 겨울 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일반적인지 모르나 털계요등 화관 길이가 계요등에 비해 작다. (좌 :.. 2019. 9. 7.
털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canescens (Nakai) Kudo) '18.11.3 / 제주도 2018. 11. 26.
털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hirsutum Beauverd.) 꽃며느리밥풀에 비해 포에 자모상의 털의 많고 길다. '18.9.30 / 경남 2018. 10. 5.
털하늘지기 (Fimbristylis tomentosa Vahl) '16.9.11 / 신안 털하늘지기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420 털하늘지기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763 하늘지기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764 [하늘지기와 털하늘지기 비교] - 하늘지기 : 전초에 털 유무와 관계없이 수과 표면에 격자무늬의 세로줄이 7~9개가 뚜렷하게 보인다. - 털하늘지기 : 수과 표면에 격자무늬의 세로줄이 20개 정도가 희미하게 보인다. 2016. 10. 10.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현삼속(Scrophularia L.)은 화관은 좌우상칭이며, 단지 모양의 순형화관을 가지고, 1개의 하부열편, 1쌍의 측열편과 1쌍의 상부열편으로 구성되며, 헛수술이 있고, 삭과는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으로 현삼과 내에서 근연속들과 구분되고 있다. [현삼속 비교] * 큰개현삼 : 전역 산지에 분포. 개화기는 7~9월이며 화서는 정단과 엽액에서 발달하고 꽃받침 열편은 짧고 끝이 둥근 난형 줄기에 털이 있고 7개 이상의 마디를 갖는다. * 일월토현삼 : 큰개현삼의 이명 * 섬현삼 : 울릉도 해안에만 분포하는 특산종. 개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없다. 줄기에 털이 없다. * 개현삼 : 동해안 속초 이북에 자생. 섬현삼과 유사하나 줄기에 날개가 있다. 줄기에 털이 없다. * 토현삼 : 특산종. 오대산 이.. 2016. 9. 16.
털조릿대풀 (Lophatherum sinensis Rendle) '15.8.29 / 태안 조릿대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04 털조릿대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62 털조릿대풀 영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70 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15-20㎝,나비 3-4cm로서 짙은 녹색이고 밑부분이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대로 되고 엽초와 연결된다. 꽃은 8-10월에 피며 화서의 가지는 총상으로 달리고 소수가 밀착하며 소수는 길이 7-8mm, 지름 3mm로서 편평하고 녹색이다. 포영은 난상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까락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 윗부분과 가장자리 안쪽에 털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여러 개가 겹쳐 있으며 까락이 .. 2015. 11. 15.
털쉽싸리 (꿀풀과, 쉽싸리속) [쉽싸리속의 종 검색표] 1. 지하경에 괴경이 있다; 소견과는 숙존된 악편보다 길다. ----- 털쉽싸리(북부지방) 1. 지하경에 괴경이 없다; 소견과는 숙존된 악편보다 짧다. 2. 잎은 마름모상 타원형이고 상부는 아둔두이며 가장자리는 둔거치이다. ----- 개쉽싸리 2. 잎은 좁은 피침형에서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상부는예두 또는 점첨두이며 가장자리는 예거치이다. 3. 줄기 중앙의 잎은 길이 2.5~6 cm이고 엽저는 둔저 또는 원저이다; 악통은 길이 2~2.5 mm이다 . ----- 애기쉽싸리 3. 줄기 중앙의 잎은 길이 7~17 cm이고 엽저는 유저상 예저이다; 악통은 길이 3~5.5 mm이다 4. 악은 전체 길이의 1/2정도까지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상 난형이다; 화관 상순의 표면에는 선점이 있다; 소.. 2015. 10. 4.
털큰참새귀리(6.5) 엽초는 둥글며 털이 없으나 드물게 아래쪽 것은 미모가 있기도 하며, 엽설은 높이 1-2㎜이다. 잎새는 선형이며 길이 10-20㎝, 폭 3-6㎜, 털이 없거나 연모가 성기게 나 있다.꽃은 6-7월에 핀다. 원추화서는 길이 12-20㎝, 한 마디에 2-5개의 가지가 있고 가지마다 1-4개의 소수가 붙는다. 소수는 납작하고 장타원형상 피침형이며, 5-15 소화가 달리며 털이 없고, 길이 1.5-2.5㎝, 소화지가 열매 사이로 보인다. 제1포영은 길이 4-6㎜, 3-5맥, 제2포영은 길이 6-7㎜, 7맥이며 제1포영보다 넓다. 호영은 광타원형, 길이 6-7㎜, 7맥, 등이 둥글고 끝이 요두이며, 8㎜ 정도의 곧은 까락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크기이며 용골 위에 경모가 있다. 줄기는 높이 40-80㎝이다. .. 2015. 7. 14.
털기름나물 꽃(Libanotis coreana (H.Wolff) Kitag.) '14.7.27 / 한라산 가는잎방풍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63 다년초. 근생엽과 원줄기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윗부분의 잎은 호생하고 2회우상복엽이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복산형화서로 달리고 소산경은 길이 2-3cm이며 소화경과 더불어 안쪽에 털이 있고 총포는 없으며 소총포는 짧고 소화경에 붙어 있다. 열매는 분과로 난상 원형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털같은 돌기가 있어 거칠다. 높이 30-90cm이고 줄기와 잎이 다소 백색털로 덮여 있으며 원줄기에 능선이 있다. 근경은 굵으며 목부분에 섬유가 남아 있다. 2014. 10. 22.
털사초 (4월) 털사초 (5월) [기재문] 학명은 Carex pilosa Scop.이며 종소명 pilosa는 '연모가 있는' 의미.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기는줄기가 있다. 줄기는 성기게 모여나며, 털이 드문드문 있다. 잎은 줄기보다 짧고, hyunsik.tistory.com '14.4.13일 / 강원도 털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917 http://blog.daum.net/watcher/8766369 http://blog.daum.net/watcher/8767882 잎은 납작하고 연하며 꽃이 진 다음 자라고 폭 5-10㎜이며 털이 드문드문 있는 것도 있고 단면은 M자형이며 짙은 녹색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적자색으로서 흔히 털이 있고 표면에 옆으로 .. 2014. 6. 20.
털참새귀리 (Bromus mollis L.) '12.6.16일 / 대구 털참새귀리 표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721 긴까락빕새귀리 : http://blog.daum.net/watcher/8760888 참새귀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45 털빕새귀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362 꼬리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05 큰참새귀리 보기 : 털빕새귀리 보기 : .. 2012. 6. 18.
통영미나리냉이 (Cardamine leucantha var. toensis (Nakai) T.B.Lee) '12.5.12일 / 단양 미나리냉이에 비해 자방에 털이 있다. 미나리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133 2012. 6. 3.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Ohwi) '12.5.8일 / 포항 암꽃 통보리사초 종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52 통보리사초 수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955 통보리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332 좀보리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195 갯보리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895 잎은 뿌리에서 나.. 2012. 5. 12.
털갯완두 (Lathyrus japonicus var. aleuticus Fernald ex Nakai) '08.4.5일 / 경주 갯완두와 비슷하나 꽃받침에 털이 있다. 갯완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314539 2012. 5. 4.
털사철란 (Goodyera velutina Maxim. ex Regel) '11.9.27일 / 제주도 사철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901256 섬사철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514 한국사철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370 2011. 10. 7.
털잎솔나물 (Galium verum var. trachyphyllum Wallr.) 전체적으로 털이 매우 많고 꽃은 뭉쳐나 소화경이 매우 짧으며 잎이 융단 촉감처럼 부드럽다. 털솔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961 솔나물 보기 : 흰솔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873730 2011. 6. 12.
털솔나물 (Galium verum var. trachycarpum DC.) '11.6.11일 털잎솔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968 흰솔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873730 솔나물 보기 : 개솔나물 보기 : 2011. 6. 11.
투구꽃 (Aconitum jaluense Kom. subsp. jaluense) 2010. 10. 10.
털개억새 (Eulalia quadrinervis (Hack.) Kuntze) 털개억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152 개억새 : 2010.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