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나물(3.13)
[기재문] 학명은 Leibnitzia anandria (L.) Turcz.이며 종소명 anandria는 '수술이 없는' 의미.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꽃줄기는 곧추서며, 봄에 나오는 것은 높이 10~20cm, 가을에 나오는 것은 높이 60cm까지도 자라며, 털로 덮인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잎자루는 길이 2~4cm이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5~15cm, 1.5~4.5cm, 거미줄 같은 털로 덮인다. 가을에 나오는 잎은 더 크며, 잎자루는 길이 2.5~8.5cm, 잎몸은 길이 6~15cm, 폭 4.0~6.5cm다. 3~5월에 피는 꽃은 두상화로 1개가 달리며, 지름 1.5~2.0cm이다. 9~10월에 피는 꽃은 폐쇄화로 펴지지 않는다. 모인꽃싸개는 통 모양, 조각은 넓은 ..
2024. 4. 7.
밤일엽(3.14)
[기재문] 학명은 Neolepisorus ensatus (Thunb.) Ching. 희귀멸종위기식물. 숲속의 그늘지고 습한 곳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지름 3~4mm, 옆으로 길게 뻗는다. 비늘조각은 땅속줄기와 잎자루 아래쪽에 모여나며, 삼각상 피침형, 길이 5mm 정도, 갈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10~30cm, 잎몸보다 짧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25~40cm, 폭 4~7cm,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좁아져서 날개처럼 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다. 잎 뒷면과 중앙맥에 작은 비늘조각이 있고, 중앙맥은 양쪽으로 뛰어나오며, 측맥은 뚜렷하다. 포자낭군은 둥근 타원형, 지름 3~5mm, (1~)2~4줄로 달린다. 포막은 없다. 포자는 6~9월에 ..
2024. 3. 31.
뱀톱(3.14, 석송과, 뱀톱속)
[뱀톱속의 종 검색표1]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저)1. 잎 사이에 무성아가 달리며 흙에서 자란다. 2.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3.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중앙에서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 잎의 중륵은 흐릿하게 융기되며, 끝이 침모양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무성아는 광란형이다. --- 뱀톱 4. 잎의 중륵은 뚜렷하게 융기되며, 끝이 침모양으로 돌출한다. 무성아는 피침형이다. ---- 큰뱀톱(제주도) 3.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중앙에서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며, 잎 끝 가장자리 윗부분에만 (미세한)톱니가 있다. --- 긴다람쥐꼬리(제주도, 특산식물) ..
2024. 3. 29.
세복수초 꽃 (3.13)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검색표] 1. 줄기는 불분지하고,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악편은 좌우대칭형으로 평균 8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 ----- 복수초 1. 줄기는 분지하고, 꽃과 잎이 함께 발달하고, 악편은 방사상칭형으로 평균 5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있다 . 2. 잎 이면과 엽병은 무모이고, 악편의 길이는 화피편의 길이보다 짧다. 3. 분지된 줄기에는 인엽이 없고, 엽선은 예두이다. ----- 개복수초 3. 분지된 줄기에는 인엽이 있고, 엽선은 점첨두이다. ----- 세복수초 [복수초속의 검색표] 1. 개화 시 잎보다 꽃이 먼저 나온다. 줄기는 분지하지 않으며,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 꽃은 1개이며, 꽃받침은 꽃잎보다 길고 8장이다. ..
2024.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