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극과 특징은
배상화서가 달리며 꽃은 단성, 5수성이고, 대개 방사상칭이다.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보통 3개
[대극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논문(2011년 식물분류학회)
1. 선체에 부속체가 없다.
2. 선체의 수는 4~5개이다.
3. 3차 포엽은 3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망상이다. ----- 등대풀
3. 3차 포엽은 2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평활하다.
4. 총포의 직경은 3mm이상이다.
5. 원줄기의 잎은 호생한다. ----- 붉은대극
5. 원줄기의 잎은 윤생한다. ----- 낭독
4. 총포의 직경은 3mm이하이다.
6. 선체가 초승달 모양이고 삭과의 표면은 평활하거나 능선부에만 소돌기가 있다.
7. 삭과의 능선부에만 소돌기가 있다. ----- 흰대극
7. 삭과는 평활하다. ----- 개감수
6. 선체가 타원형이고 삭과의 표면 전체가 돌기가 있다.
8. 포엽은 연황색이고, 전연이다; 화주는 중열한다. ----- 암대극
8. 포엽은 녹색이고,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화주는 심열한다.
9. 3차 포엽과 3차 화경이 있다. ----- 대극
9. 3차 포엽과 3차 화경이 없다. ----- 두메대극
2. 선체의 수는 보통 1개이다.
10. 원줄기 잎은 대생 및 호생한다; 선체 입구는 장타원형이다. ----- 톱니대극
10. 원줄기 잎은 호생한다; 선체 입구는 원형이다. ----- 아메리카대극
1. 선체에 부속체가 있다.
2. 줄기는 포복한다.
3. 삭과는 털이 없다. ----- 땅빈대
3. 삭과는 털이 있다.
4. 잎 표면에 적갈색 반점이 있다; 삭과 전체에 털이 있다. ----- 애기땅빈대
4. 잎 표면에 적갈색 반점이 없다; 삭과 능선부만 털이 있다. ----- 누운땅빈대
2. 줄기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거나 직립한다.
5. 삭과는 털이 없다. ----- 큰땅빈대
5. 삭과는 털이 있다. ----- 털땅빈대
* 꽃차례 가장자리에는 흰색 또는 담홍색의 꽃잎 모양의 부속체가 4개가 있고, 그 안쪽에 녹자색의 선체가 4개가 있다.
[기재문]
학명은 Euphorbia jolkinii Boiss.
바닷가 암석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40~80cm,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빽빽하게 달린다. 잎몸은 끝이 둔하고 아래쪽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4~7cm, 폭 0.8~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위쪽에 돌려난 잎은 다른 잎보다 넓고 짧다.
꽃이 필 때 모인꽃싸개잎이 노란색을 띠고, 열매가 익을 때 붉은색으로 변한다.
꽃은 5월에 배상꽃차례로 피며,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6mm쯤으로 겉에 돌기가 많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자생한다. 전체가 대형이고 줄기 아래쪽이 목질화된다.
암대극(4.7)
'22.4.7
hyunsik.tistory.com
암대극 열매, 종자(6.8)
'20.6.8
hyunsik.tistory.com










'24.3.12
'제주도 식물 > 초본식물(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질경 꽃(3.12) (0) | 2024.03.25 |
---|---|
뚜껑별꽃(3.12) (0) | 2024.03.25 |
세복수초 꽃 (3.13) (0) | 2024.03.21 |
벌깨냉이 (배추과/3.13) (0) | 2024.03.21 |
털사철란 근생엽(9.27) (0) |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