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식물69

겨울딸기(3.13) 열매가 겨울에 익기 때문에 '겨울딸기'라고 한다. 상록성으로서 줄기가 땅을 기며, 잎이 단엽이고 뒷면에 갈색 털이 밀생하는 것이 특징 [기재문] 학명은 Rubus buergeri Miq.이며 종소명 buergeri는 일본 식물 채집가 Buergeri에서 유래. 탁엽은 잎과 떨어져 있어 일찍 떨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둥근 단엽으로 예두 또는 둔두,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와 너비가 약 5-10cm이다. 가장자리는 얕게 결각상으로 갈라지고 약간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은 융모가 밀생하며 맥이 돌출한다. 꽃은 6-7월에 피고 4-10개가 액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며, 화서에는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있고, 화관은 지름 1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잎은 원형이고 자방은 털이 없.. 2024. 3. 19.
버들참빗(3.13)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기재문].. 2024. 3. 18.
털사철란 잎(9.27) '11.9.27 2024. 3. 10.
섬사철란 꽃(9.27) '11.9.27 2024. 3. 10.
방울꽃 (쥐꼬리망초과, 방울꽃속/9.26) 학명은 Strobilanthes oliganthus Miq.이며 종소명 oliganthus는 '적게 피는 꽃'을 의미. 원줄기는 네모지며 높이 30~60cm 정도로 곧게 서고 마디 사이의 윗부분이 굵으며 마디에 긴 흰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난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으로 길이 4∼10cm, 폭 3∼6cm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 길이는 1~5cm이다. 꽃은 9월경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며, 연한 자주색이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데, 꽃부리는 통형으로 길이 3cm 정도, 밑부분이 약간 굽으면서 좁아지며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 4개 중 2개는 길다. 열매는 긴 타원형,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4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낮은 지대 .. 2024. 3. 10.
버들참빗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11.5)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기재문].. 2024. 2. 19.
부처손 (부처손과, 부처손속/11.4) [기재문] 학명은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산지의 바위에 붙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비늘잎으로 덮여 있고 끝이 땅 위로 올라와 곧추선다. 줄기는 땅속줄기에서 1개씩 나오며, 2~3번 가지를 치고 난상 긴 타원형으로 잎이 성글게 붙는다. 배 쪽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잔 톱니가 약간 있다. 등 쪽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배 쪽 잎보다 작다. 포자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1mm쯤,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포자낭이삭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길이 0.5~2.5cm, 사각기둥 모양이다. 바위손에 비해 잎이 모여나지 않으므로 구분되며, 개부처손에 비해 잎 밑부분.. 2024. 1. 29.
녹나무 (녹나무과, 녹나무속/11.4) 잎의 특징 : 잎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으로 약간 주름지며 첫번째 잎맥이 시작지점이 볼록하고 두껍다. 학명은 Cinnamomum camphora (L.) J.Presl이며 종소명 camphora는 전통적으로 방충제 및 감염성 질병의 예방약으로 사용하는 장뇌를 함유하는데서 유래. 희귀멸종위기식물이며 제주도와 완도에서 자생한다. 상록 큰키나무로 높이 20m에 달한다. 수피는 갈색 또는 짙은 회색이다. 잎은 돌려나며, 넓은 난형이고, 끝이 좁아져서 뾰족하다. 잎맥은 밑에서 3갈래로 갈라지며,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꽃은 5~6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10~11월에 검게 익는다. 녹나무 겨울눈 '21.1.30 '18.10.28 h.. 2024. 1. 29.
백량금 (자금우과, 자금우속) 학명은 Ardisia crispa (Thunb.) A.DC.이며 종소명 crispa는 '곱슬 곱슬한' 의미. 따뜻한 지역의 숲속 그늘에서 자라는 상록성 작은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1m 정도로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두껍고 길이 7~12cm, 폭 2~4cm, 짙은 초록빛으로서 윤이 난다. 잎 가장자리의 둔한 톱니 사이에는 샘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은 양성화, 6~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잎이 달린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9월에 붉은색으로 익어 다음 해 꽃이 필 때까지 달려 있다. 왕백량금은 원줄기가 높이 2m 내외이고 잎의 길이가 12㎝로서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백량금 '22.12.8 hyunsik... 2024. 1. 20.
국화잎아욱 (아욱과, 국화잎아욱속) 아욱과(열매의 모양이 바퀴축을 닮음)의 특징은 꽃은 전형적으로 5장의 꽃받침잎,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고 꽃잎은 꽃 안에서 많은 수술이 합쳐져 기둥처럼 된 수술통과 밑부분이 붙어 있으며, 꽃이 시들 때 수술통과 함께 떨어진다. 꽃밥이 수술통 위에 놓여 있다. 학명은 Modiola caroliniana (L.) G.Don이며 종소명 caroliniana는 원산지인 '북아메리카 카롤라이나 지방'을 의미. 제주도 냇가에서 발견된 아메리카대륙 원산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귀화식물이다. 키는 무릎 높이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아랫부분이 땅위를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한다. 줄기의 윗부분은 비스듬히 선다. 잎은 길이 2-6cm의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5-7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2024. 1. 20.
좁은잎미꾸리낚시 (마디풀과, 여뀌속) 학명은 Persicaria praetermissa (Hook.f.) Hara 개울가, 습지, 연못 등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가지를 치고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30~80cm,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4~8cm, 폭 5~15mm, 끝은 둔하며, 밑부분은 심장형이고 양쪽은 잎귀를 이룬다. 잎자루는 짧으나 위에 붙은 잎에서는 거의 없다. 턱잎은 길이 10~15mm, 마른 막질이고 털은 없다. 꽃은 8~10월에 피는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이삭꽃차례에 듬성하게 달려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화피편은 4장, 분홍색을 띤다. 좁은잎미꾸리낚시 '15.7.17 hyunsik.tistory.com 좁은잎미꾸리낚시 (Pers.. 2024. 1. 20.
두메층층이 '18.11.4 2022. 4. 28.
부처손(11.5) [부처손속의 종 검색표] 1. 영양엽은 2가지 모양으로 측면과 중앙에 각기 2줄로 배열하고, 측면의 잎이 중앙부의 잎보다 크다. 2. 줄기는 한 묶음의 헛줄기에서 여러 개가 방사상으로 나온다. ----- 바위손 2. 줄기는 벋는 줄기에서 1개씩 나온다. 3. 줄기는 곧게 자라다가 위에서 수회 가지를 친다. 4. 측면의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맨 아래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 개부처손 4. 측면의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 부처손 3. 줄기는 땅위를 기며 불규칙하게 가지를 친다. 5.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한다. 6. 포자엽은 단일 모양이고, 중앙의 잎은 대칭이며, 끝이 구부러지지 않는다. 7. 측면의 잎은 넓은 난형으로 끝이 .. 2022. 3. 26.
호자나무(꼭두선이과, 수정목속/11.5) [비교] 호자나무, 수정목 * 호자나무 : 수정목에 비해 잎이 광난형인데다 비교적 소형이며, 가시가 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 수정목 : 호자나무에 비해 잎이 보다 크고 길며 가시의 길이가 잎 길이의 절반 이하로 짧다. [기재문] 학명은 Damnacanthus indicus C.F.Gaertn. 섬 지역의 숲속 계곡 주변에서 드물게 자라는 상록성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0.2~1.0m이다. 가시는 길이 0.7~2cm로 잎과 비슷하거나 조금 길다. 잎은 마주나며, 윤기가 있고, 넓은 난형, 길이 0.7~2cm, 폭 0.6~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은 맥 위에 짧은 털이 난다. 꽃은 4~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피며, 흰색, 길이 1.5cm쯤이다. 꽃부리는 .. 2022. 3. 25.
담팔수 '18.11.4 2022. 3. 23.
왕모람 -> 애기모람 왕모람은 어린잎에 결각성 거치가 없는 반면 애기모람은 결각성 거치가 있다. 그동안 왕모람을 알고 있던 종은 애기모람이며 왕모람은 보기 힘들다. '18.11.4 2022. 3. 21.
뱀무 '14.7.26 2022. 3. 4.
긴잎모시풀 분류군 줄기 털 엽병 횡단면 잎 표면 털 잎 이면 털 잎질 과서 형태 수과 털 털긴잎모시풀 단강모 산생 둥근 오각형 단강모 산생 거의 없음 종이질 밀생 단강모 밀생 긴잎모시풀 거의 없거나 단강모 산생 U형 거의 없음 단강모 밀생 얇은 종이질 성김 단강모 산생 '14.7.26 2022. 3. 4.
후추등 (후추과, 후추속/7.26) [기재문] 학명은 Piper kadsura (Choisy) Ohwi 나무 위나 암벽에 붙어 길이 10m, 지름 4cm 정도로 자라는 늘푸른 덩굴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자갈색이고, 사마귀 같은 껍질눈이 발달한다. 줄기는 짙은 갈색 또는 녹색이며 세로줄이 있으며, 줄기 마디에서 공기뿌리를 내어 나무나 바위에 착생한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6~12cm의 난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5개의 잎맥이 뚜렷하다. 수꽃과 암꽃이 서로 다른 개체에 발달하는 암수딴그루이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이삭꽃차례를 이루며 노란색이다. 꽃차례는 줄기 끝부분의 잎과 마주 달리고, 많은 작은 꽃으로 이루어지며, 밑으로 처진다. 수꽃은 수술 3개, 암꽃은 암술 1개이다. 열매는 장과, 지름 3~4mm의 둥근 모양, 9~11월에 .. 2022. 3. 4.
참나무겨우살이 '18.11.5 / 제주도 참나무겨우살이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42 2019. 1. 15.
솔잎란 '18.11.5 / 제주도 2019. 1. 11.
돌토끼고사리(11.3) 돌토끼고사리란 돌틈에서 자라는 토끼고사리란 뜻이다. [잔고사리과의 속 검색표] 1. 포자낭군은 컵모양 또는 주머니모양의 진정한 포막이 있다. 2. 포자낭군은 잎 가장자리에 붙고, 포막과 연결되어 컵모양을 이룬다. ----- 잔고사리속 2. 포자낭군은 잎 가장자리에서 다소 안쪽에 붙고, 포막의 양측과 기부가 잎에 붙어 주머니모양을 이룬다. ----- 돌잔고사리속 1. 포자낭군은 포막이 없거나 잎 가장자리의 맥을 따라 연결된 위포막에 덮힌다. 3. 포자낭군은 잎맥의 끝에 달리며, 포막이 없다. ----- 점고사리속 3. 포자낭군은 잎 가장자리의 맥을 따라 연결된 위포막에 덮힌다. ----- 고사리속 [돌잔고사리속의 종 검색표] 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우편자루가 거의없다. ----- 돌잔고사리 .. 2019. 1. 9.
석위 '18.11.5 / 제주도 2019. 1. 5.
제주고란초 (11.5) [고란초속 비교] * 제주고란초 : 잎몸이 선상 피침형이고, 평행하다가 아래가 갑자기 좁아지고, 포자낭군이 붙는 자리가 깊게 파인다. 식물 목록엔 미등록됨. * 고란초 : 잎몸이 긴타원상 피침형으로 아래가 넓고 둥글게 좁아지고 포자낭군이 붙는 자리가 얕게 파인다. * 층층고란초 : 고란초가 상록성이고 잎이 단엽이거나 2~3개로 갈라지는 반면, 층층고란초는 하록성이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진다. * 큰고란초 : 고란초와 유사하나 잎몸이 중부에서 가장 넓은 장타원형이고, 기부에서 3개로 갈라지는 경우는 없고, 잎밑이 쐐기형인 점에서 구분됨. 제주도에 분포한다고 알려졌으나 확인되지 않고 있음. 고란초 (고란초과, 고란초속/3.21) [고란초속 비교] * 제주고란초 : 잎몸이 선상 피침형이고, 평행하다가 아래가 갑.. 2018. 12. 19.
추분취 (국화과, 추분취속) 학명은 Rhynchospermum verticillatum Reinw. 그늘진 숲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50~10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서고 가루 같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7~15cm, 폭 17~32mm, 끝은 뾰족하고 아랫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가 된다. 잎 양면에 거센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꽃자루에 지름 4~5mm인 머리모양꽃이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종 모양으로 길이 2~3mm, 조각은 3줄로 붙으며 가장자리에 막질 띠가 있다. 열매는 수과, 길이 4mm, 끝은 좁아져서 부리처럼 된다. 우산털은 흔적만 남아 있다. 추분취속은 전 세계에 1속 1종이 있으며, 아시아에 분포한다... 2018. 12. 17.
꼬리쇠고사리 '18.11.4 / 제주도 꼬리쇠고사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70 [쇠고사리] : 경남, 제주도 우편은 3~7쌍. 잎몸은 2회로 갈라지고 끝이 정우편이 된다. 포자낭군은 소우편 가장자리에 붙고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꼬리쇠고사리] : 전남, 경남, 제주도 우편은 3~5쌍. 잎몸은 2회로 갈라지고 끝이 정우편이 되며 맨 아래 우편에 짧은 자루가 있는 1쌍의 긴 소우편이 있다.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과 자장자리의 중간에 붙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큰쇠고사리] : 전남, 경남, 제주도 우편은 8~11쌍. 잎몸은 2회로 갈라지고 끝은 정우편을 만들지 못한다.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과 자장자리의 중간에 붙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좀쇠고사리] : 전.. 2018. 12. 5.
이나무 '18.11.4 / 제주도 2018. 12. 2.
반쪽고사리 '18.11.5 / 제주도 2018. 12. 1.
국화잎아욱 신엽(11.4) '18.11.4 / 제주도 2018. 11. 29.
긴잎도깨비쇠고비 [특징] 포막 가장자리가 약간 갈라지고 가운데가 검은색이나 익으면 전체가 검은색을 띠고 우편 기부가 쐐기 모양 경향이 있다. 1. 우편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얕은 물결모양이다. 2. 우편은 난상 피침형이고, 기부가 둥글며, 포막은 중심부가 검은색을 띤다. ----- 도깨비쇠고비(해안형) 2. 우편은 피침형이고, 기부가 쐐기모양이며, 포막은 전체가 검은색을 띤다. ----- 긴잎도깨비쇠고비(산지형) 1. 우편의 가장자리는 톱니가 발달한다. ----- 참쇠고비, 윤쇠고비, 쇠고비, 산쇠고비, 반들산쇠고비 '18.11.3 / 제주도 2018.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