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자2410

장구채 열매, 종자(11.15 / 석죽과, 장구채속) 석죽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암술은 1개이고,삭과는 다수의 종자가 들어 있다.학명은 Silene firma Siebold & Zucc.이고 종소명 firma은 '(줄기가) 강하고 단단하다는' 의미의 라틴어다.[비교] 장구채와 애기장구채 장구채는 줄기에서 나온 화경이 분지하기 않지만, 애기장구채는 분지한다.또한 애기장구채는 장구채에 비해 꽃받침, 화경 및 포에 잔털이 밀생한다. 애기장구채 꽃(5.17)'21.5.17hyunsik.tistory.com 애기장구채 종자 (석죽과, 장구채속)석죽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암술은 1개이고, 삭과는 다수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애기장구채는 장구채에 비해 꽃받침, 화경 및 포에 잔털이 밀생한다. [애기장구채와 갯장hyunsik.ti.. 2023. 11. 26.
두메닥나무 종자 (10.10/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 팥꽃나무과 특징은 꽃은 대개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씨방은 상위로 1~2개의 방이 있는데 각 방에는 밑씨가 1개 들어 있다.열매는 수과 또는 핵과로 벌어지지 않는다. 학명은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kai) Hamaya.희귀멸종위기/북방계/특산식물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두메닥나무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kai) Hamaya)'12.6.9 잎은 호생하며 길이 4.0~8.5cm로서 긴 도란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표면은 청록색이고 뒷면은 약간 분백색이 돌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7mm이다. 총상화서는hyunsik.tistory.com 두메닥나무 열매, 종자(8.1.. 2023. 11. 25.
애기장구채 종자 (10.10, 석죽과) 석죽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암술은 1개이고,삭과는 다수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애기장구채와 갯장구채 비교]* 애기장구채( 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 갯장구채에 비해 꽃, 열매, 종자가 작다.  뿌리잎은 도피침형 또는 좁은 주걱형이고, 줄기잎은 선상 피침형,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다.  열매 길이는 6mm 정도,  종자는 0.5~0.8mm.* 갯장구채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Wu): 애기장구채의 변종으로 잎이 보다 넓다.  뿌리잎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줄기잎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모양이다.  종자 길이는 0.6~1.0mm.[장구채와 애기장구채 비교]장구채(1~4)는 소.. 2023. 11. 25.
미선나무 열매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 물푸레나무과 특징은 꽃은 수술 2개와 암술 1개이며 암술은 서로 합쳐진 2개의 심피로 되어 있고, 꽃잎은 보통 4장이나 아래가 서로 붙어 통모양을 이룬다 학명은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이며 종소명 distichum는 '2열로 나는' 의미인데, 잎이 2줄로 줄지어 마주나는 것을 말한다. 희귀멸종위기식물/특산식물 열매는 날개가 있는 시과이며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약 2.5cm이다. 군만두 모양의 갈색 종자가 2개씩 달린다. 미선나무 겨울눈 '19.12.29 hyunsik.tistory.com 미선나무 '16.5.13 / 부안 hyunsik.tistory.com 미선나무 '16.4.26 / 부안 hyunsik.tistory.com '23.11.9 2023. 11. 24.
콩배나무 열매, 종자 (11.22 / 장미과, 배나무속) 학명은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C.K.Schneid.) Rehder. 열매는 둥글고 지름 1-1.5cm로서 10월에 녹갈색에서 흑색으로 익으며흑색의 종자는 2~4개가 들어 있고 소과경은 길이 3cm이다.[배나무속 종 검색표1]1. 열매에 꽃받침이 없다     2. 열매 지름 : 6~15cm 배나무(돌배나무의 변종) / 3~4cm 돌배나무1. (익을 때까지)열매에 꽃받침이 있다     2. 열매지름이 3cm 이상          3. 암술대에 털이 없다 : 참배나무, 서양배나무          3. 암술대에 털이 있다 :                4. 어린가지에 털이 없다 : 취앙네, 문배, 산돌배, 털산돌배               4.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 : 남해배나.. 2023. 11. 24.
절굿대 열매 (11.16 / 국화과, 절굿대속) 학명은 Echinops setifer Iljin이며 종소명 setifer는 '가시같은 털이 있는' 의미.조금 건조한 산지에서 자라지만 석회암지대에 비교적 많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수과(큰절굿대와 차이는 없어 보임)는 원통형으로서 황갈색 털이 밀생하고, 관모는 인편상으로서 윗부분이 가시처럼 되며 밑부분에 돌기가 있다. [절굿대와 큰절굿대 비교]절굿대 : 전국 분포- 줄기에 깊은 홈이 있고,- 잎몸은 1회 새깃꼴로 깊게 갈리고, 가장자리의 가시 길이가 1cm 이내큰절굿대 : 북부지방에 자생하는 희귀멸종위기식물- 줄기에 거의 홈이 없고,- 잎몸이 1회 새깃꼴로 갈린 결각이 대개 다시 깊게 갈리며, 가시의 길이가 2~3cm 절굿대'15.10.10hyunsik.tistory.com 절굿대 (국화과, 절굿대속)학.. 2023. 11. 24.
솜다리 열매, 종자(11.16/국화과, 솜다리속)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이나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솜다리속에는들떡쑥, 산솜다리, 설악솜다리(산솜다리로 통합), 솜다리, 한라솜다리 4종이며   어떤 이유인지 몰라도 왜솜다리(Leontopodium japonicum Miq.)는 나와 있질 않으나국립생물자원관의 국가생물종목록에는 등록되어 있다. 열매는 수과로 한쪽 끝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고 표면에는 듬성 듬성 털이 산재하며 길이는 0.8~1.3mm. 들떡쑥'19.5.21hyunsik.tistory.com 왜솜다리 신엽'22.7.8hyunsik.tistory.com 왜솜다리 (Leontopodium japonicum Miq.) 국화과 솜다리속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무렵에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2023. 11. 24.
물매화 열매 (범의귀과, 물매화속) 범의귀과 특징은 양성화로 4~5장의 꽃잎과 꽃받침이 있으며 삭과는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학명은 Parnassia palustris L.이며 종소명 palustris는 '습지에 사는' 의미이며 동속인 애기물매화는 한라산 중턱 이상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삭과는 길이 10-12mm로서 넓은 달걀모양이고 8월부터 익어 4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쏟아낸다. 물매화 '22.7.8 hyunsik.tistory.com 물매화 (범의귀과, 물매화속) 학명은 Parnassia palustris L.이며 종소명 palustris는 '습지에 사는' 의미이다. 동속인 애기물매화는 한라산 중턱 이상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산지의 숲으로 가려지지 않은 경사 지대 습기가 많은 토양 hyunsik.tistory.com 물매화 '.. 2023. 11. 24.
지치 종자(지치과/11.16) 지치과의 특성은 잎에 털이 있고 꽃은 깔때기 또는 통 모양으로 나팔꽃처럼 벌어지고, 꽃부리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학명은 Lithospermum murasaki Siebold이고 희귀멸종위기식물이다.열매는 소견과이며, 둥글고, 회색, 윤기가 나는 종자는 늦게까지 달려 있다.* 소견과 :  밤이나 도토리처럼 껍질이 두껍고 내부에 하나의 종자를 갖는 것을 견과라 하는데,                   그 중 크기가 작은 것을 말한다.  [지치속 : 지치, 개지치, 반디지치] 지치 꽃(지치과, 지치속)학명은 Lithospermum murasaki Siebold 전체에 털이 많고, 높이는 30~70cm이다. 뿌리는 땅속 깊이 들어가며, 굵고, 마르면 자주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2023. 11. 23.
복자기 열매 (단풍나무속) 단풍나무과는 단풍나무속 1속이며 특징으로 열매가 시과(날개가 있음)이며 잎은 마주난다. 학명은 Acer triflorum Kom.이며 종소명 triflorum은 3을 뜻하는 tri와 꽃을 뜻하는 florum의 합성어로 꽃이 3개씩 모여 피는 특징을 나타낸 것이며, 실질적으로 잎, 꽃 및 열매가 3개씩 달린다. [복자기, 복장나무 비교] * 복자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껍질이 벗겨진 자리는 연한 붉은색을 띤다. 열매는 예각 또는 둔각으로 벌어지고, 회갈색 털이 있다. 복장나무에 비해서 작은잎에 톱니가 없거나 2~3개 있고, 잎자루와 열매에 털이 있다. * 복장나무 나무껍질은 회색 또는 잿빛 밤색을 띠며 세로로 가늘게 갈라진다. 열매는 둔각 또는 거의 직각으로 벌어지며, 털이 없다. 복자기에 비해서 작은잎.. 2023. 11. 23.
섬백리향 종자 (꿀풀과, 백리향속) 꿀풀과 특징은 줄기가 네모지고 잎은 마주나며 꽃부리는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벌어진다. [백리향과 섬백리향 비교] *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Čelak.) 잎은 길이 ~12mm로서 달걀형의 타원형 또는 피침. 꽃은 분홍색(또는 흰색)이고 꽃의 길이는 7~9mm, 꽃받침은 길이 5mm. 꽃받침 상악 열편에 긴 연모가 있다. * 섬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Čelak. var. magnus (Nakai) Kitam.) 백리향의 변종이고, 백리향에 비해 잎과 꽃의 크기가 더 크다. 잎은 ~길이 15mm로서 난상 타원형, 넓은 난형. 꽃은 연한 분홍색이고 꽃의 길이는 10mm, 꽃받침은 길이 3mm. 꽃받침 상악 열편에 털이 매우 짧아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인다. .. 2023. 11. 23.
산쪽풀 열매 (대극과, 산쪽풀속) 학명은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꽃은 3~5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난 긴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수꽃이삭은 아래쪽에, 암꽃이삭은 위쪽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 익으면 2개의 공 모양이 된다. 우리나라에는 산쪽풀속에 1종이 있으며, 남부지방에만 자란다. 산쪽풀 꽃 '18.4.3 hyunsik.tistory.com 산쪽풀 꽃 '18.4.14 / 경남 섬 산쪽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240 http://blog.daum.net/watcher/8768641 http://blog.daum.net/watcher/8768640 http://blog.daum.net/watcher/8763663 hyuns.. 2023. 11. 23.
활나물 열매, 종자 (10.10 / 콩과, 활나물속) 학명은 Crotalaria sessiliflora L.이며 종소명 sessiliflora 는 '꽃자루가 없는' 의미이고 들판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열매는 협과(꼬투리 열매)이며, 긴 타원형, 9월에 익는데 꽃받침에 싸여 있다. 활나물 열매, 종자(10.31 / 콩과, 활나물)활나물 열매, 종자 (10.10 / 콩과, 활나물속)학명은 Crotalaria sessiliflora L.이며 종소명 sessiliflora 는 '꽃자루가 없는' 의미이고 들판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열매는 협과(꼬투리 열매)hyunsik.tistory.com'23.10.10 2023. 11. 23.
큰여우콩 열매, 종자 (여우콩속/11.12) 학명은 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이고 종소명 acuminatifolia는 '잎 끝이 뾰족한' 뜻의 라틴어.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열매는 협과,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9~10월에 익는데 짧은 털이 있고, 씨가 2개 들어 있다. 우리나라 전라도, 경상도 등에 분포한다. 여우콩에 비해 가운데 작은잎이 난형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며, 꽃받침의 갈래조각이 통부보다 짧아 구분된다. 유사한 식물 이름인 여우팥은 여우팥속에 속한다. 여우팥 열매 (여우팥속)'18.11.2hyunsik.tistory.com 큰여우콩 신엽'15.8.15 / 대구 돌콩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4.. 2023. 11. 23.
승마 열매, 종자 (11.9, 노루삼속) 미나리아재비과 특징은 꽃잎, 꽃받침, 암술, 수술이 떨어져 달린다.학명은 Actaea heracleifolia (Kom.) J.Compton이며 종소명 heracleifolia는 '어수리속의 잎과 비슷한' 의미.눈개승마와 한라개승마는 눈개승마속이다. 승마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미나리아재비과 특징은 꽃잎, 꽃받침, 암술, 수술이 떨어져 달린다. 학명은 Actaea heracleifolia (Kom.) J.Compton이며 종소명 heracleifolia는 '어수리속의 잎과 비슷한' 의미. 잎은 1-2회 3출겹잎이다. 줄기 중hyunsik.tistory.com 눈빛승마 열매0.5mm 눈금 1mm 눈금 '11.10.31일 / 봉화 세잎승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 2023. 11. 14.
산꼬리풀 열매 (현삼과, 꼬리풀속) 현삼과 특징은 꽃이 좌우대칭을 이루고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씨방은 2개의 심피로 되어 있다. 학명은 Pseudolysimachion rotundum (Nakai) Holub var. subintegrum (Nakai) T.Yamaz.이며 둥근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rotundum (Nakai) Holub)의 변종이다. 열매는 편원형 또는 넓은 거꿀달걀모양이고 꽃받침보다 길다. 봉래꼬리풀 열매 '23.2.21 hyunsik.tistory.com 봉래꼬리풀 종자 '22.1.17 hyunsik.tistory.com 섬꼬리풀 열매 '20.10.17 hyunsik.tistory.com '23.11.9 2023. 11. 14.
고려엉겅퀴 종자 (10.10/국화과, 엉겅퀴속) 학명은 Cirsium setidens (Dunn) Nakai이며 종소명 setidens는 '가시털 같은 톱니'  의미.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3.5-4mm이고 관모는 길이 11-16mm로서 갈색이다.------------------------------------------------------------------------------------------------------종자 길이가 4mm가 넘어 고려엉겅퀴가 아닐 수 있다. 사향엉겅퀴 종자'22.6.30hyunsik.tistory.com 서양가시엉겅퀴 열매'21.8.8hyunsik.tistory.com'23.10.10 2023. 11. 13.
구와취 열매 (국화과, 취나물속) 학명은 Saussurea ussuriensis Maxim.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 취나물속에는 북분취, 구와취, 버들분취, 빗살서덜취가 있으며 북분취와 가장 유사한 구와취는 총포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 점에서 북분취와 다르다. 수과는 길이 4.5mm?, 지름 1.5mm?로서 흑자색 점?이 있으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9mm 정도로서 갈색이지만 끝부분은 백색이다. 북분취 열매 (국화과, 취나물속)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 취나물속에는 북분취, 구와취, 버들분취, 빗살서덜취가 있으며 북분취와 가장 유사한 구와취는 총포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 점에서 북분취와 다르다. 학명은 Saussurea mo hyunsik.tistory.com '23.11.9 2023. 11. 13.
민둥갈퀴 열매(10.10 /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꼭두서니과 특징은 꽃부리 윗부분이 4-10갈래로 나뉜 통 모양을 하고 있으며,수술은 꽃부리의 조각과 같은 수이다.  열매에 갈고리 같은 털이 없으며 전체가 평활하기 때문에 민둥갈퀴라고 한다. [갈퀴덩굴속의 종 검색표] 출처는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화관통부가 화관 열편보다 아주 짧다.    2. 잎은 6~10개 윤생         3. 잎은 8~10개 윤생              4. 화관 열편이 3개. 잎은 장타원형. 식물체는 덩굴성. 꽃색은 연두색. ----- 갈퀴덩굴              4. 화관 열편이 4개. 잎은 선형. 식물체는 직립형. 꽃색은 노랑색.                   5. 식물체는 70~100cm. 잎은 2~3cm. ----- 솔나물                  .. 2023. 11. 13.
개갈퀴 열매 (10.10 /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꼭두서니과 특징은 꽃부리 윗부분이 4-10갈래로 나뉜 통 모양을 하고 있으며,수술은 꽃부리의 조각과 같은 수이다. 학명은 Galium maximowiczii (Kom.) Pobed.[갈퀴덩굴속 비교]열매에 털이 없다. : 민둥갈퀴, 민긴잎갈퀴, 개갈퀴, 갈퀴아재비열매에 털이 있다 : 긴잎갈퀴, 갈고리네잎갈퀴, 개선갈퀴, 검은개선갈퀴, 선갈퀴, 큰잎갈퀴꽃부리 3~4갈래 : 개갈퀴(나머지는 모두 4갈래)꽃이 연한 녹색 : 갈고리네잎갈퀴, 큰잎갈퀴(나머지는 모두 흰색)-------------------------- 잎이 4장씩 윤생 ---------------------------------------민둥갈퀴 : 잎은 3~5맥. 열매는 반구형이며 평활하다.긴잎갈퀴 :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3~5맥. 열매는 구.. 2023. 11. 13.
돌콩 열매, 종자(10.5, 돌콩속) 학명은(Glycine max (L.) Merr. subsp. soja (Siebold & Zucc.) H.Ohashi)이고콩(Glycine max (L.) Merr)의 아종이다. 식용으로 이용하지 못한 이유는 삶으면 돌처럼 딱딱해진다 하여 먹을 수 없다.특징은 열매(꼬투리)에 털이 밀생한다. 돌콩'18.8.23 / 경남hyunsik.tistory.com'23.10.5 2023. 11. 12.
좀조개풀(10.4) 학명은 Coelachne japonica Hack.이고 좀조개풀속에는 좀조개풀 1종이 있다.산지의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작은이삭은 한 가지에 1~4개가 드문드문 달리고, 1~2개의 꽃이 들어 있다.꽃이 두 개 들어 있는 작은이삭에서는 제1소화가 임성이다.제1포영보다 제2포영이 길고 각각 1개와 3개의 맥이 있다. 호영은 난형으로 맥이 없다.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경상남도 울산 등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기장대풀속에 비하여 식물체가 작고 제2포영이 막질이다.일본의 고유식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상남도 무제치늪에서 자란다. 좀조개풀 열매, 종자 (10.4, 좀조개풀속)학명은 Coelachne japonica Hack.이고 좀조개풀속에는 좀조개풀 1종.. 2023. 11. 12.
산씀바귀 종자 (10.10, 왕고들빼기속) 학명은 Lactuca raddeana Maxim.  산씀바귀'16.10.9 / 통영 산씀바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75 냇씀바귀 보기 ;hyunsik.tistory.com 산씀바귀 종자'18.11.17hyunsik.tistory.com 두메고들빼기 종자 (국화과, 왕고들빼기속)학명은 Lactuca triangulata Maxim. 수과는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4mm, 넓이 2mm이며 납작스름하고 흑색 또는 암적색이며 관모는 길이 6-7mm의 백색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Max.) '11.7.hyunsik.tistory.com 왕고들빼기 종자'18.11.23hyunsik.tistory.com 가시상추 열매'22.7.. 2023. 11. 12.
매발톱나무 종자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학명은 Berberis amurensis Rupr.이며 종소명 amurensis는 '아무르 지역의' 의미이며 열매 길이는 9-10mm, 종자 길이는 5.5-6.5mm -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 울릉도 바닷가 인근 산지에서 자생하며 매발톱나무에 비해 잎이 보다 둥글고 대형이다. - 섬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며 특산식물이고 희귀멸종위기식물이기도하다. 가시는 매발톱나무보다 더 크나 잎은 보다 작고 가장자리의 톱니가 더 날카롭게 발달한다. 열매 길이는 약 10mm, 종자 길이는 약 6.5-7.5mm 매발톱나무 열매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매발톱나무.. 2023. 11. 12.
민바랭이새 종자 (10.10, 민바랭이새속) 학명은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이고 종소명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길가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민바랭이새속에는 4종이 있는데 그 차이점이 아래와 같다.- 민바랭이새 :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길다.- 큰듬성이삭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있다. (나도바랭이새의 변종)- 나도바랭이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없다. - 산대잎바랭이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으며 까락이 길다.    큰듬성이삭새 열매'22.10.23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15.9.6 / 완산군 민바랭이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07 http://blog.daum.ne.. 2023. 11. 12.
팽나무 열매 (11.5, 느릅나무과, 팽나무속) 느릅나무과의 특징은 꽃잎이 없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학명은 Celtis sinensis Pers.이며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의' 의미.[비교] 팽나무속, 푸조나무속- 팽나무속 : 수꽃은 가지 아래쪽에, 양성화는 가지 끝쪽에 달린다. 잎은 좌우비대칭이고 잎맥이 거치에 도달하지 못한다.                    핵은 그물 같은 무늬가 있다.- 푸조나무속 : 수꽃은 가지 아래쪽에, 암꽃은 가지 끝쪽에 달린다. 잎은 대칭이고 잎맥이 거치에 도달한다.                        핵은 그물 같은 무늬가 없다.[비교] 팽나무속 종과 푸조나무 잎과 열매종명잎 열매검팽나무측맥은 3쌍, 잎 양면에 털이 없다.1~1.2cm, 흑색, 과병은 2~2.5cm풍게나무측맥은 3~4쌍, 뒷면 .. 2023. 11. 11.
옥잠난초 열매(나리난초속) 학명은 Liparis kumokiri F.Maek. 옥잠난초 '23.6.25 hyunsik.tistory.com '23.10.2 2023. 11. 11.
쓴풀 종자 (10.10 / 용담과, 쓴풀속) 용담과 특징은 잎은 줄기를 따라 서로 마주나며 잎가장자리가 밋밋하고,꽃은 4장 또는 5장의 합쳐진 꽃잎으로 되어 있다.학명은 Swertia japonica (Schult.) Griseb. 경남(동래, 양산, 밀양, 울산), 경북(대구, 청도)에 분포하며  햇볕이 잘 드는 메마른 산에 자생한다.[비교] 쓴풀, 자주쓴풀, 개쓴풀종 명(학명)쓴풀(S. japonica )자주쓴풀(S. pseudochinensis H.Hara)개쓴풀(S. diluta var. tosaensis)공통두해살이풀이며 꽃잎 아래에 긴 털로 덮힌 꿀샘덩이가 있다.자생환경햇볕이 잘 드는 건조한 풀밭햇볕이 잘 드는 산지 숲 저지대 습지줄기5~25cm로 가장 작다.15~30cm20~70cm로 가장 크다잎길이 1~3.5cm, 폭 1~3mm의선형.. 2023. 11. 11.
북분취 열매, 종자(10.10 / 국화과, 취나물속)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 취나물속에는 북분취, 구와취, 버들분취, 빗살서덜취가 있으며북분취와 가장 유사한 구와취는 총포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 점에서 북분취와 다르다.학명은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이며 종소명 mongolica는 '몽고지방의'를 의미한다. * mongolica가 들어간 식물은 모시물통이, 갯취, 몽고뽕나무, 신갈나무 등이 있다. 수과는 길이 4.5mm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8mm로서 갈색이다. 북분취(국화과 취나물속)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15.9.17 / 정선 구와취 보기 : 물골취 보기 : hyunsik.tistory.com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 취나물속에는 북분취, 구와.. 2023. 11. 11.
지리터리풀 열매 (10.10/장미과, 터리풀속) 학명은 Filipendula formosa Nakai이고 종소명 formosa는 '아름다운' 의미. 지리산 신양재(표고 700-900m)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한국산 터리풀속(Filipendua Adens.)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에 의하면한국산 터리풀속은 6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본 연구 결과붉은터리풀은 터리풀과 지리터리풀의 오동정이고, 큰터리풀과 참터리풀은 국내 채집 기록이 없어국내에 분포하는 터리풀속은 지리터리풀, 터리풀, 단풍터리풀 3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또한, 열매 길이는 다양해서인지 형태만 언급되어 있다. 구 분지리터리풀(특산식물)터리풀 단풍터리풀꽃 색분홍색흰색 또는 연분홍색흰색줄기의 털있음없음-열매의 털없음있음있음턱잎줄기를 감싸지 않음줄기를 감싸지 않음줄기를 감쌈수술의 길이.. 2023.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