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자2410

큰여우콩 열매 (여우콩속/10.3) 큰여우콩 열매'22.11.17hyunsik.tistory.com 큰여우콩 열매 (여우콩속)학명은 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이고 종소명 acuminatifolia는 '잎 끝이 뾰족한' 뜻의 라틴어.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열매는 협과,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9~10월에 익는데hyunsik.tistory.com 큰여우콩'18.9.5hyunsik.tistory.com 큰여우콩 신엽'15.8.15 / 대구 돌콩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419967hyunsik.tistory.com'23.10.3 2023. 12. 16.
용담 종자 (용담과, 용담속) 용담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꽃은 4장 또는 5장의 꽃잎으로 된 통꽃이다. 열매는 삭과. 암술은 심피 2개가 합생하였고, 씨방(자방)은 상위이며, 자방실은 1개 또는 2개이다. 밑씨(배주)는 자방실당 다수이며, 태좌는 측벽태좌이다. 학명은 Gentiana scabra Bunge 용담 '18.10.19 / 경남 hyunsik.tistory.com 용담 (용담과, 용담속) 용담과 특징은 잎은 줄기를 따라 서로 마주나며 잎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꽃은 4장 또는 5장의 합쳐진 꽃잎으로 되어 있다. 학명은 Gentiana scabra Bunge이다. 잎 가장자리와 잎줄 위에 잔돌기가 있어 hyunsik.tistory.com 과남풀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Hara.. 2023. 12. 15.
된장풀 열매 (콩과, 된장풀속) 학명은 Desmodium caudatum (Thunb.) DC. 희귀멸종위기식물. 산과 들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며 희귀멸종위기식물이다. 줄기와 잎을 된장에 넣으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하여 된장풀이라 부른다. 된장풀 (Desmodium caudatum (Thunb.) DC.) '18.11.3 / 제주도 된장풀 열매 보기 : 캐나다된장풀 (Desmodium canadense (L.) DC.) 보기 : hyunsik.tistory.com 열매는 협과로 편평한 선형이고 길이 5~7cm로서 4~6개의 마디로 잘 떨어지고 겉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23.10.10 2023. 12. 15.
말나리 종자 (10.10 / 백합과, 백합속) 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심피는 3개이고 합생하고 씨방은 상위 내지 반하위이고, 3개의 자방실로 이루어진다.  학명은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이며 종소명  distichum는 '2열로 나는'  의미로 잎이 2열로 마주나는 것을 말한다. 하늘말나리 종자'22.12.14hyunsik.tistory.com 누른하늘말나리 종자'22.12.14hyunsik.tistory.com 큰하늘나리 열매'21.10.17hyunsik.tistory.com 섬말나리 열매'12.8.11 / 울릉도 섬말나리 보기 :hyunsik.tistory.com종자 길이는 9.5mm 정도'23.10.10. 2023. 12. 15.
사창분취 열매, 종자 (11.16/취나물속) 학명은 Saussurea calcicola Nakai이며 종소명 calcicola는 '석회암에서 자라는' 의미.특산식물.수과는 원뿔모양으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2줄. 사창분취'22.7.8hyunsik.tistory.com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Nakai)'14.9.13 / 정선 사창분취 뿌리잎 : http://blog.daum.net/watcher/6143969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27cm이다. 경생엽은 심장형 둔두이고 길이 17cm, 폭 15cm로서 표면에 거hyunsik.tistory.com'23.11.16 2023. 12. 13.
투구꽃 열매, 종자 (10.10, 11.30 / 투구꽃속) 미나리아재비과 특징은 떨어진 꽃잎과 꽃받침이 떨어져 있고, 암술과 수술이 많으며 서로 떨어져 달리며자방은 1실이고 상위자방이다. 학명은 Aconitum jaluense Kom.이며 종소명 jaluense는 '압록강의' 의미.[투구꽃과 송이바꽃 비교]- 투구꽃 : 산방꽃차례 또는 산방형 총상꽃차례. 심피에 털 밀생- 송이바꽃 : 원추꽃차례 또는 원추형 총상꽃차례. 꽃대,작은꽃자루 및 심피에 개출모(퍼진 털) 밀생 [노루삼속] 눈빛승마 열매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Actaea dahurica (Turcz. ex Fisch. & C.A.Mey.) Franch.이며 종소명 dahurica는 바이칼호 동쪽지역을 말한다. 눈빛승마 신엽 '23.3.22 hyunsik.tistory.com 눈빛승마 신엽 '22.4.. 2023. 12. 13.
벌완두 열매, 종자 (10.10, 나비나물속) 콩과의 특징은암술은 1개로 단심피성이고, 자방은 상위이며, 1실 또는 드물게 2실이다. 밑씨는 1개 또는 그 이상이고, 복봉선에 달리며, 태좌는 변연태좌이다. 열매는 대부분 협과. 학명은 Vicia amurensis Oett.이며 종소명 amurensis는 '아무르 지역의' 의미.[벌완두와 갈퀴나물 비교]* 벌완두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중앙맥에서 45도 이하로 벌어져 있으며 꽃받침 열편이 짧다.* 갈퀴나물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중앙맥에서 45도 이상으로 벌어져 있으며 꽃받침 열편이 길다. [비교] 갈퀴나물 벌완두 잎, 꽃* 벌완두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중앙맥에서 45도 이하로 벌어져 있으며 꽃받침 열편이 짧다. * 갈퀴나물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중앙맥에서.. 2023. 12. 12.
산둥굴레 열매 (백합과, 둥굴레속) 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열매는 3개의 방이 있다. 학명은 Polygonatum thunbergii Morr. & Decne. 산둥굴레 신엽 '23.4.3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23.5.1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23.5.12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꽃은 1~2개가 달리며 줄기에 능각이 없고 잎 뒷면에 유리질 같은 돌기가 있다. '23.4.24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23.5.3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열매 '23.6.20 hyunsik.tistory.com '23.10.10 2023. 12. 12.
가거줄사초 열매 C. brunnea(가거줄사초)와 C. lenta(줄사초)를 구별하는 것은 분류학적으로 복잡하다. FOC에는 C. brunnea(가거줄사초)만 언급되고, 일본에서는 두 분류군을 구별하고 있다. 가거줄사초는 과낭이 타원형, 2~3mm × 1~1.2mm, 가는 맥이 있고, 매끈하거나 성글게 털이 있는데 비해, 줄사초는 넓은 타원형, 2.8~3.5mm × 1.2~1.8mm, 굵은 맥이 있고, 털이 조밀하다는 점으로 구별한다. 종자(수과) 길이도 가거줄사초과 줄사초에 비해 약간 짧다. [비교] 논두렁사초, 줄사초 화서 [위 : 줄사초 / 아래 : 논두렁사초] 논두렁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90 '19.9.27 / 전남 hyunsik.tistory.com 줄사초 .. 2023. 12. 12.
빗살서덜취 종자 (10.10, 취나물속) 학명은 Saussurea odontolepis Sch.Bip. ex Maxim. 이고 종소명 odontolepis는 '포편이 치아상인' 의미이다. 빗살서덜취(국화과, 취나물속)학명은 Saussurea odontolepis Sch.Bip. ex Maxim. 이고 종소명 odontolepis는 '포편이 치아상인' 의미이다. 산지의 숲속에서 높이 60~100cm 정도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고 능선과 털이 있hyunsik.tistory.com 빗살서덜취'17. 10. 15 / 합천hyunsik.tistory.com 빗살서덜취'14.9.13 / 정선 빗살서덜취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341hyunsik.tistory.com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 2023. 12. 12.
오리방풀 열매 (꿀풀과, 산박하속) 꿀풀과 특징은 줄기는 흔히 4각이 진다. 잎은 대부분 마주나며 꽃받침은 입술 모양이며, 5갈래로 갈리고, 수술은 화관에 붙고 심피는 2개로 이루어졌다. 자방은 상위이고, 얕게 또는 깊게 4개로 갈린다. 열매는 소견과 또는 핵과이며, 꽃받침이 감싸고, 소견과는 4개이다. 종자는 소견과당 1개이다. 학명은 Isodon excisus (Maxim.) Kudô이며, 둥근오리방풀, 지리오리방풀 및 흰오리방풀은 오리방풀로 통합됨. - 둥근오리방풀 : 잎끝이 뾰족하게 나오지 않고 거치가 넓은 치아상이다. - 지리오리방풀 : 잎의 너비가 길이보다 길다. 오리방풀 '22.9.29 hyunsik.tistory.com 둥근오리방풀 (오리방풀로 통합됨) 오리방풀와 달리 잎끝이 뾰족하게 나오지 않는다. '17.10.3 / 정읍.. 2023. 12. 12.
히어리 열매 (조록나무과, 히어리속) 조록나무과 특징은 암술은 심피 2개로 이루어지며, 심피는 기부에서 합생한다. 열매는 삭과로 흔히 과피가 목질화되며, 종자는 껍질이 두껍고 단단하다. 조록나무과에는 히어리속, 풍년화속, 조록나무속 3속이 있다. 조록나무 열매 '18.10.16 hyunsik.tistory.com 조록나무 열매 '14.3.22일 / 거제도 조록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320 hyunsik.tistory.com 조록나무 충영 '14.3.22일 / 거제도 조록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320 hyunsik.tistory.com 풍년화 '22.2.5 hyunsik.tistory.com 학명은 Corylopsis coreana Uyeki이.. 2023. 12. 11.
멸가치 열매 (국화과, 멸가치속/10.10) 학명은 Adenocaulon himalaicum Edgew.이며 종소명 himalaicum는 '히말리아 지역의' 의미. 멸가치 신엽(4.2) 멸가치 꽃(8.22) '22.8.22 hyunsik.tistory.com 멸가치 열매 (국화과, 멸가치속/10.10) 학명은 Adenocaulon himalaicum Edgew.이며 종소명 himalaicum는 '히말리아 지역의' 의미. 멸가치 '22.8.22 hyunsik.tistory.com 열매는 방사 hyunsik.tistory.com 멸가치 '22.8.22 hyunsik.tistory.com 열매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6-7mm로서 윗부분에 대가 있으며 흑자색의 샘털이 있고 관모는 없으며 8-9월에 익는다. '23.10.10 2023. 12. 11.
계수나무 열매 (계수나무과, 계수나무속) 계수나무과는 계수나무속 1속만 있다. 계수나무과 특징은 화피는 없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의 암술대는 1개로 가늘고 길고, 주두는 선형으로 끝이 뒤로 젖혀진다. 밑씨는 15~30개이며 2열로 배열된다. 열매는 골돌과. 일본이 원산. 학명은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 Zucc.이며 종소명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계수나무 겨울눈 '21.1.22 hyunsik.tistory.com 계수나무 겨울눈 '21.1.20 hyunsik.tistory.com 계수나무 신엽 '21.4.4 hyunsik.tistory.com 계수나무 (암꽃) '21.3.28 hyunsik.tistory.com 계수나무 수꽃 '21.3.28 hyunsik.tistory.com 계수나무 열매 '.. 2023. 12. 11.
숫잔대 열매, 종자(10.7) 초롱꽃과 특징은 꽃받침은 씨방에 합착하고, 주로 5개로 갈리나 3-10개까지 갈리기도 한다. 꽃부리(화관)는 통 또는 종 모양이고, 일부는 입술 모양이며, 윗부분은 대개 5개로 갈리나 3~6개까지 갈리기도 한다. 수술의 수는 화관 열편과 동수이며, 화반은 암술대의 기부에서 통 또는 잔 모양이나 납작한 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암술은 1개이고, 심피는 2-5개가 합생한다. 씨방(자방)은 하위이면서 통꽃받침에 합착하며, 자방실은 2-10개이다. 밑씨는 다수이며, 중축태좌이다. 학명은 Lobelia sessilifolia Lamb.이며 종소명 sessilifolia는 '잎자루가 없는' 의미. 삭과는 길이 8-10mm이며 긴 타원형으로 포배에서 터지고 종자는 편평한 달걀모양이며 길이 1.5mm정도로서 윤채가 있다.. 2023. 12. 11.
쇠서나물 열매 (쇠서나물속) 국명 쇠서나물은 잎에 거센 털이 소의 혀같아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학명은 Picris hieracioides L. subsp. japonica (Thunb.) Hand.-Mazz.이며 종소명 hieracioides '잎에 날카로운 톱니를 가진 것'을 의미한다. 개마쇠서나물은 뿌리줄기가 있고 줄기 끝에서 꽃이 한개씩 달리며 함경도에 자생한다. 열매는 수과이며, 방추형으로 길이 3~5mm, 7~10월에 익으며,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6~7mm다. 쇠서나물 신엽 '23.7.2 서양금혼초 신엽 보기 : 사데풀 신엽 보기 : hyunsik.tistory.com 쇠서나물 꽃 (국화과, 쇠서나물속) 국명 쇠서나물은 잎에 거센 털이 소의 혀같아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학명은 Picris hieracioides L. .. 2023. 12. 11.
방동사니 열매 학명은 Cyperus amuricus Maxim.이며 종소명 amuricus는 '아무르 지역의' 의미 인편은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1.5mm로서 원두이고 중륵은 녹색이며 인편 끝의 까락은 인편의 1/3 길이로 약간 뒤로 젖혀진다. 암술대는 매우 짧고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두 개이다. 종자는 도란형으로 삼릉형이고, 고동색이며(금방동사니는 갈색) 길이 1.3mm이다. 드물게 자생하며 외형상 화서가 분지하는 금방동사니와 유사하며 금방동사니 '23.8.22 hyunsik.tistory.com 금방동사니 수과 방동사니 수과 '19.9.18 / 충남 금방동사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46 hyunsik.tistory.com '19.9.16 / 경남.. 2023. 12. 11.
실새삼 종자 (10.5 / 메꽃과, 새삼속) 메꽃과의 특징은 꽃부리는 대개 깔때기형이고, 5각이 지거나 5갈래로 갈린다.수술은 화통 하부에 달리며, 꽃잎과 동수이고 꽃잎과 수술은 어긋난다. 자방은 상위. 학명은 Cuscuta australis R.Br.이며 종소명 australis는 '남쪽의' 의미의 라틴어.  삭과는 편구형이며 껍질이 얇고 밑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지름 4mm정도로서 중앙부가 오그라들어 2개의 방으로 되고 각 실에 종자가 2개씩 들어 있으며 종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겉이 밋밋하고 황백색이다. 종자 길이는 미국실새삼은 1.2~2mm, 갯실새삼은 1~1.8mm, 새삼은 2~3.1mm, 새삼은 1.1~1.5mm 정도 미국실새삼 종자 (메꽃과, 새삼속)메꽃과의 특징은 꽃잎이 합쳐져 독특한 깔때기처럼 생긴 꽃부리를 이룬다 학명은 C.. 2023. 12. 11.
물고추나물 열매, 종자 (10.4 / 물레나물과, 물고추나물속) 물레나물과 특징은 씨방은 상위로 보통 3-5개의 방으로 나뉘어 암술은 1개이다. 씨방(자방)은 상위이며, 태좌는 씨방이 1실인 경우 중축태좌이고, 3~5실인 경우 측막태좌이다. 열매는 대부분 삭과로, 흔히 유지를 함유하는 유관 또는 작은 주머니 모양의 기관을 가진다. 종자는 흔히 용골 또는 좁은 날개가 있고, 씨젖(배유)은 없다. 학명은 Triadenum japonicum (Blume) Makino이며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열매는 삭과로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투명한 맥이 있고 길이 8~10mm로서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2023. 12. 11.
섬자리공 종자 (자리공과, 자리공속) 자리공과 특징은 꽃잎 조각이 5장이고, 열매는 육질의 장과이며밑씨(배주)는 심피당 1개이고 씨방은 기저태좌[비교] 섬자리공, 자리공, 미국자리공, 한산자리공, 무늬미국자리공(자료 출처 : 2007년 식물분류학회지 '섬자리공의 분류학적 재겸토' 논문)종명섬자리공(자생)자리공(외래)미국자리공(외래)분포울릉도주로 해안가 또는 도서지역 길가주로 농경지 및 민가 주변 빈터꽃색 =꽃받침 색분홍색(기재문엔 흰색)백색, 황록색, 연한 적자색백색꽃밥분홍색(기재문엔 백색)분홍색백색꽃차례곧추선다곧추선다아래로 처진다암술 / 수술8개가 이생 / 8개8개가 이생 / 8개10개 합생 / 10개심피8개이고 합생하지 않는다8(10)개이고 합생하지 않는다10개이며 합생한다종자 길이약 3.5mm약 4mm약 3mm종자 표면동심원 모양의 가.. 2023. 12. 9.
물머위 종자 (국화과, 물머위속) 학명은 Adenostemma lavenia (L.) Kuntze이며 제주도 해안 습지에서 자생한다. 수과는 길이 4mm, 지름 1mm정도로서 거꿀피침모양이며 끝이 둥글고 선점이 있다. '23.10.10 2023. 12. 9.
만병초 종자 (10.10 / 진달래과, 진달래속) 진달래과 특징은 꽃받침잎은 대개 5개이며 화관은 대개 합판화관(통꽃) 또는 드물게 이판화관(갈래꽃)이다. 화관열편(꽃잎)은 대개 5장이다. 수술은 10개로 꽃잎 또는 화관열편 위에 붙는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대개 5개이나 드물게 2-10개이고, 합생한다. 밀선은 수술 안쪽에 밀선반 형태로 존재한다.[진달래속] 꼬리진달래, 산철쭉, 진달래 등 흰참꽃나무흰참꽃나무 열매 (진달래과, 진달래속) 희귀멸종위기 식물. 학명은 Rhododendron sobayakiense Y.Watan. & T.Yukawa var. koreanum Y.Watan. & T.Yukawa이며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모양이고 길이 5mm로서 9월에 익는다. *hyunsik.tistory.com[산앵도나무속] 넌출월귤, 월귤.. 2023. 12. 9.
새박 열매 (박과, 새박속) 박과의 특징은 덩굴식물이며 암술대는 보통 1개이지만 암술머리가 혹 모양으로 비후되는 것이 많다. 열매는 장과이며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새박은 남쪽지방에선 흔히 보이는 식물인데 희귀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되었는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학명은 Melothria japonica Maxim.이며 열매가 새알같이 생긴 박이라 하여 새박이라고 한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로서 길이 15-50mm의 열매자루에 달리며 밑으로 처지고 녹색이지만 익으면 회백색으로 되며 종자는 편평하고 회백색이며 많다. 새박 (박과, 새박속) '23.8.20 hyunsik.tistory.com 새박 '14.9.9 / 양산 hyunsik.tistory.com 새박 '14.8.10 / 함안 새박 더보기 : http://blog.daum.net.. 2023. 12. 9.
산수유 열매, 종자 (11.9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층층나무과 특징은 각각의 꽃은 작으며, 4-5개씩의 꽃받침조각·꽃잎·수술을 가진다. 씨방은 하위로 꽃받침통과 서로 붙어 있는데, 그 안은 1-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방에는 1개의 밑씨가 만들어진다. 열매는 공 모양의 핵과이다. 학명은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이며 종소명 officinalis는 '약효가 있는' 의미이고학명에 종소명 officinalis이 들어간 식물은 마편초, 오이풀, 비누풀, 둥근빗살괴불주머니,  유럽큰고추풀, 주름전동싸리가 있다. [층층나무속] 층층나무 꽃'19.5.5hyunsik.tistory.com 산딸나무'15.5.17 / 진안 산딸나무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649hyunsik.tis.. 2023. 12. 9.
개모시풀 열매 (쐐기풀과, 모시풀속) 쐐기풀과 특징은 자방실(심피)이 1개이며 개모시풀 학명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열매는 수과로 거꿀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개모시풀 왜모시풀에 비해 잎이 얇고 많으며 끝이 3갈래로 뾰족하게 갈라지고 화서가 가지를 쳐 구분된다 숲 가장자리 또는 들판의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m쯤이며, 둔한 능선이 있 hyunsik.tistory.com 섬모시풀 열매 '22.10.7 hyunsik.tistory.com '23.11.21 2023. 12. 8.
동강기름나물 열매 (11.15, 기름나물속) 한국산 기름나물속의 검색표 (출처는 2022년 미로기름나물, 동강기름나물 논문)* 기름나물속 특징 : 줄기는 기부에 근생엽이 변형된 섬유가 있다.1-1 근생 및 경생엽은 1~3회 우상복엽이다.       2-1 잎의 최종열편은 선형이다.             3-1 소산형화는 20~44개의 꽃으로 구성, 유관은 6개, 1개는 등쪽면에, 2개는 접합면쪽에 있다.                   4-1 잎은 2회우상복엽, 잎의 전체적인 모양은 3각형~넓은 난형,                        최종열편은 선상피침형으로 예두이지만 가시모양은 아니다. 포엽은 1~2개 ----- 두메방풍(북부지방)                  4-2 잎은 2~3회 우상복엽, 잎의 전체적인 모양은 난형, 최종열편은 선형.. 2023. 12. 8.
우산나물 종자 (11.16 / 국화과, 우산나물속) 학명은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는 종소명 palmata는 '장상의' 의미. 우산나물 신엽'22.4.14hyunsik.tistory.com 우산나물'20.4.11hyunsik.tistory.com 애기우산나물 뿌리잎'15.5.15 / 서선 애기우산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104hyunsik.tistory.com 우산나물 표본 hyunsik.tistory.com 애기우산나물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15.7.4 / 서산 애기우산나물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868 우산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 2023. 12. 8.
눈빛승마 열매, 종자 (10.10, 11.30 / 노루삼속) 미나리아재비과 특징은 떨어진 꽃잎과 꽃받침이 떨어져 있고, 암술과 수술이 많으며 서로 떨어져 달리며자방은 1실이고 상위자방이다.Actaea dahurica (Turcz. ex Fisch. & C.A.Mey.) Franch.이며 종소명 dahurica는 바이칼호 동쪽지역을 말한다. 눈빛승마 신엽'23.3.22hyunsik.tistory.com 눈빛승마 신엽'22.4.17hyunsik.tistory.com 눈빛승마 암꽃'22.9.25hyunsik.tistory.com 눈빛승마 수꽃'22.9.25hyunsik.tistory.com 눈빛승마 열매0.5mm 눈금 1mm 눈금 '11.10.31일 / 봉화 세잎승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624hyunsik.tisto.. 2023. 12. 8.
찰피나무 열매 (11.19/피나무과, 피나무속) 피나무과 특징은 화서는 엽액에서 나며 꽃받침잎은 5장이나, 드물게 3장 또는 4장이다. 꽃잎은 꽃받침잎과 동수이며, 드물게 없다. 수술은 10개 내지 다수이고, 암술대는 1개이며 암술머리는 자방실과 동수이며 합생심피이다.[고슴도치풀속] 고슴도치풀'22.8.20hyunsik.tistory.com[까치깨속] 까치깨'21.8.15hyunsik.tistory.com[장구밥나무속] 장구밥나무 암꽃'23.7.16hyunsik.tistory.com학명은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이며 종소명  mandshurica는 '만주에서 자라는' 의미 [비교] 찰피나무, 염주나무, 보리자나무 열매 - 찰피나무 : 둥글고 열매의 아래 부분에 희미한 줄. 열매는 둥글며 갈색 털에 덮여 있다.- 염주나.. 2023. 12. 8.
졸가시나무 열매 (11.19, 참나무속) 참나무과 특징은 미상화서(=유이화서)를 가지며 열매는 견과이다.미상화서는 가늘고 긴 꽃에 꽃자루가 없는 단성화들이 꼬리처럼 아래로 늘어져 달리는 화서이며수상화서(양성화가 달림)의 일종.학명은 Quercus phillyraeoides A.Gray이며  국명은 열매가 졸참나무와 유사한 가시나무라는 뜻에서 유래 .       견과는 길이 15-22mm, 지름 8mm로서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달걀모양이고 이듬해에 성숙한다.[열매 비교]졸가시나무 : 깍정이는 비늘잎과 잔털이 밀포하며 유사종과 달리 동심원층이 없다.참가시나무 : 깍정이는 7~9개의 동심원이 있으며 겉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 가시나무 :  깍정이는 6~7층의 동심원이 있고 부드러운 털이 달린다. 붉가시나무 : 깍정이는 5~6개의 동심원이 있다.종가.. 2023.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