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식물/양치식물(제주도)

버들참빗(3.13)

by 곰보배추 2024. 3. 18.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기재문]

학명은 Deparia lancea (Thunb.) Fraser-Jenk.이며 종소명 lancea는 '피침모양의 잎'이라는 의미.

고도가 낮은 지역의 습기가 있는 바위 겉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긴다. 잎은 각각 떨어져 난다. 잎몸은 선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중부에서 가장 넓고,

길이 5~40cm, 폭 1~2.5cm이고, 단엽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고, 가죽질이다.

측맥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포자낭군은 가운데 잎맥에 보다 치우쳐 붙고, 선형이다.

포막은 가운데 잎맥 근처에서 가장자리 근처까지 신장되는 선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포자기는 7~9월이다. 이 분류군은 잎몸이 단엽으로 1~2회 깃꼴겹잎을 갖는 다른 분류군들과는 명백히 다르다.

국명 버들참빗은 버드나무 잎처럼 생긴 잎몸 뒷면에 붙는 선형의 포자낭군이 마치 머리를 빗는 참빗처럼 배열된 데에서

유래한다. 

 

버들참빗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hyunsik.tistory.com

 

버들참빗 (진고사리속/9.28)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hyunsik.tistory.com

'24.3.13 /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