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263

다람쥐꼬리 [뱀톱속의 종 검색표] 1. 잎 사이에 무성아가 달리며 흙에서 자란다. 2.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3.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중앙에서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 잎의 중륵은 흐릿하게 융기되며, 끝이 침모양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무성아는 광란형이다. --- 뱀톱 4. 잎의 중륵은 뚜렷하게 융기되며, 끝이 침모양으로 돌출한다. 무성아는 피침형이다. ---- 큰뱀톱(제주도) 3.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중앙에서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며, 잎 끝 가장자리 윗부분에만 톱니가 있다. --- 긴다람쥐꼬리(제주도) 2.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5. 잎은 침상 피침형이고, 기부로부터 점차 좁아지며, 영양줄기는 끝이 구부러진다. --- 다람쥐꼬리 5.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좁은 .. 2021. 2. 5.
좀나도히초미 신엽 2021. 2. 4.
골고사리 (Asplenium scolopendrium L.) 2020. 11. 10.
미역고사리 (10.17) [비교] 미역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종명 분포 키 포자낭군 위치 열편 미역고사리 울릉도 15~30cm 측열편 가장자리와 증륵 중간에 선상피침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 좀미역고사리 강원도, 경북 10~25cm 측열편 가장자리에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뭉뚝 좀미역고사리 (4.22) [비교] 미역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종명 분포 키 포자낭군 위치 열편 미역고사리 울릉도 15~30cm 측열편 가장자리와 증륵 중간에 선상피침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 좀미역고사리 강원도, 경북 10~25cm hyunsik.tistory.com 미역고사리 [비교] 미역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종명 분포 키 포자낭군 위치 열편 미역고사리 울릉도 15~30cm 측열편 가장자리와 증륵 중간에 선상피침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 좀미역고사리 강원도, 경북 .. 2020. 11. 2.
가는잎처녀고사리 가는잎처녀고사리 '20.6.8 hyunsik.tistory.com '20.5.24 / 충남 2020. 6. 14.
꼬리쇠고사리 신엽 '19.5.6 2020. 4. 20.
발풀고사리 신엽 '18.4.26 / 경남 2020. 4. 18.
풀고사리 신엽 '18.4.26 2020. 4. 18.
제주지네고사리 신엽 '18.4.26 / 경남 층층지네고사리 신엽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1227 2020. 4. 17.
층층지네고사리 신엽 '20.4.7 / 경남 제주지네고사리 신엽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1226 2020. 4. 17.
금족제비고사리 신엽(4.16) [비교] 금족제비고사리, 가는잎족제비고사리 * 금족제비고사리 - 주로 바위틈에 붙어 산다. - 첫 우편의 소우편은 중축에서 먼 바깥부터 먼저 붙는다(외선분지). - 첫 우편의 엽병은 금족제비고사리가 더 길다. - 엽병은 갈색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 인편이 다소 성길게 붙으나 대부분 인편은 조기 탈락한다. * 가는잎족제비고사리 - 주로 평지에 산다. - 첫 우편의 소우편은 중축에 가까운 안쪽부터 먼저 붙는다(내선분지). - 엽병은 검은색 피침형 인편이 붙는다. 낮은 산지의 숲속 땅 위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엽병은 볏짚색이고 기부는 인편이 다소 빽빽이 붙지만 상부에서는 매우 성글게 붙고, 성숙하면 잎자루 기부를 제외하고는 나출된다. 잎자루의 비늘조각은 좁은 피침형, 기부의 .. 2020. 4. 16.
반쪽고사리 신엽 '20.4.9 2020. 4. 16.
참지네고사리 신엽 [관중속의 종 검색표] 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있다. 21.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3. 최하부 우편의 맨 아래 하부 첫번째 소우편은 다른 소우편에 비해 크거나 비슷하다. 30. 우축에는 기부가 주머니 모양인 비늘조각이 있다. 33. 잎몸 상부가 갑자기 좁아지지만 꼬리처럼 길어지지 않는다. ----- 참지네고사리 33. 잎몸 상부가 갑자기 좁아져 꼬리처럼 길게 벋는다. ----- 꼬리족제비고사리 32. 열편의 끝이 둔하다. ----- 산족제비고사리 31. 잎자루의 비늘조각은 축에 직각으로 붙는다. 34. 주로 바위틈에 나고, 잎은 아래로 처지며,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다. ----- 바위족제비고사리 34. 주로 자생하고, 잎은 곧게 서며, 잎몸은 삼각상 난.. 2020. 2. 29.
참지네고사리 신엽(4.10) '19.4.10 / 경남 2020. 2. 29.
엷은잎지네고사리 신엽 '19.4.10 / 경남 2020. 2. 28.
큰홍지네고사리 신엽 '19.5.6 / 경남 2020. 2. 27.
큰홍지네고사리 신엽 '19.4.4 / 경남 2020. 2. 27.
큰홍지네고사리 신엽 '19.4.8 / 경남 2020. 2. 27.
제주지네고사리 신엽 '19.5.6 / 경남 2020. 2. 26.
반들지네고사리 신엽 '19.5.10 / 경남 큰지네고사리 신엽 보기 : 2020. 2. 1.
자루나도고사리삼 (Ophioglossum petiolatum Hook.) 산지의 초지나 들판에 자라며 하록성이다. 영양엽은 장타원형, 광란형으로 길이 1-6cm이며, 기부는 잘린 것 같거나 급히 좁아지고 짧은 엽병이 있다. 엽맥은 망상맥이며 2차맥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는다. 포자엽은 길이 6-15cm이다. 공통병은 길이 2-10cm이다. '19.8.9 / 경남 자루나도고사리삼 더보기 : 나도고사리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271 2019. 9. 5.
바위틈고사리 (6.10) [관중속의 종 검색표]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14. 잎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에 황색 샘털이 있다. ----- 주저리고사리        14.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잎에 샘털이 없다.              15. 열편 톱니의 끝은 뾰족하다.                    16. 뿌리줄기는 짧게 기고, 비늘조각은 오래 남는다.                          17. 최하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가장 크고,                             .. 2019. 1. 13.
숲고사리삼 (Sceptridium atrovirens Sahashi)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 [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엽의 우편 끝은 예두이고, 열편의 톱니는 날카롭다. 5. 우편의 길이는 3cm 이상이며, 포자엽.. 2019. 1. 7.
흰비늘고사리 신엽 (6월) '16.6.12 / 광주 2018. 12. 30.
검정개관중 (관중과, 십자고사리속/11.4) [특징] 큰개관중에 비해 작고 우편 기부의 귀가 발달하며 엽병 기부의 인편이 흑갈색이다.(큰개관중은 갈색) [관중과의 속 검색표] 1. 포막은 둥근 방패형이고, 중앙에 부착점이 있다. 2. 잎맥은 규칙적으로 복잡한 그물맥을 이룬다. ----- 쇠고비속(관다발 6개) 2. 잎맥은 거의 유리맥이다. ----- 십자고사리속(관다발 3개) 1. 포막은 콩팥모양으로 중심부까지 갈라져서 그 아래 부착된다. 3. 소우편, 열편은 아래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쇠고사리속(관다발 5개) 3. 소우편, 열편은 위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관중속(관다발 7개) 속명 잎몸 잎맥 포막 쇠고비속 1회 우상 대부분 그물맥 둥근 방패형 십자고사리속 1~2회 대부분 유리맥 둥근 방패형 쇠고사리속 2~4회 우상 유리맥 콩.. 2018. 12. 8.
진퍼리개고사리 (Deparia okuboana (Makino) M.Kato) [특징]하록성. 엽신은 2회 우상이며 푸른개고사리처럼 우축에 날개가 있다. 포자낭군은 소우편 중륵 가까이 1열로 배열되며 포막은 원형 또는 말굽모양 2018. 12. 1.
개톱날고사리 (개고사리과, 개고사리속)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 개고사리속.. 2018. 11. 19.
손고비 (Colysis elliptica (Thunb.) Ching) '18.11.5 / 제주도 2018. 11. 11.
바위족제비고사리 (7.25) '18.7.25 / 정읍광릉족제비고사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696산족제비고사리 보기 : 2018. 8. 3.
내장고사리 신엽 '18.5.8 / 정읍 2018.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