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273

자루나도고사리삼 (Ophioglossum petiolatum Hook.) 산지의 초지나 들판에 자라며 하록성이다. 영양엽은 장타원형, 광란형으로 길이 1-6cm이며, 기부는 잘린 것 같거나 급히 좁아지고 짧은 엽병이 있다. 엽맥은 망상맥이며 2차맥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는다. 포자엽은 길이 6-15cm이다. 공통병은 길이 2-10cm이다. '19.8.9 / 경남 자루나도고사리삼 더보기 : 나도고사리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271 2019. 9. 5.
바위틈고사리 (6.10) [관중속의 종 검색표]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14. 잎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에 황색 샘털이 있다. ----- 주저리고사리        14.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잎에 샘털이 없다.              15. 열편 톱니의 끝은 뾰족하다.                    16. 뿌리줄기는 짧게 기고, 비늘조각은 오래 남는다.                          17. 최하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가장 크고,                             .. 2019. 1. 13.
숲고사리삼 (12.4)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엽의 우편 끝은 예두이고, 열편의 톱니는 날카롭다... 2019. 1. 7.
흰비늘고사리 신엽 (6월) '16.6.12 / 광주 2018. 12. 30.
검정개관중 (관중과, 십자고사리속/11.4) [특징] 큰개관중에 비해 작고 우편 기부의 귀가 발달하며 엽병 기부의 인편이 흑갈색이다.(큰개관중은 갈색) [관중과의 속 검색표] 1. 포막은 둥근 방패형이고, 중앙에 부착점이 있다. 2. 잎맥은 규칙적으로 복잡한 그물맥을 이룬다. ----- 쇠고비속(관다발 6개) 2. 잎맥은 거의 유리맥이다. ----- 십자고사리속(관다발 3개) 1. 포막은 콩팥모양으로 중심부까지 갈라져서 그 아래 부착된다. 3. 소우편, 열편은 아래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쇠고사리속(관다발 5개) 3. 소우편, 열편은 위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관중속(관다발 7개) 속명 잎몸 잎맥 포막 쇠고비속 1회 우상 대부분 그물맥 둥근 방패형 십자고사리속 1~2회 대부분 유리맥 둥근 방패형 쇠고사리속 2~4회 우상 유리맥 콩.. 2018. 12. 8.
진퍼리개고사리 (Deparia okuboana (Makino) M.Kato) [특징]하록성. 엽신은 2회 우상이며 푸른개고사리처럼 우축에 날개가 있다. 포자낭군은 소우편 중륵 가까이 1열로 배열되며 포막은 원형 또는 말굽모양 2018. 12. 1.
개톱날고사리 (개고사리과, 개고사리속)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 개고사리속.. 2018. 11. 19.
손고비 (Colysis elliptica (Thunb.) Ching) '18.11.5 / 제주도 2018. 11. 11.
바위족제비고사리 (7.25) [비교] 산족제비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바위족제비고사리종명산족제비고사리(D. bissetiana (Baker) C.Chr.)광릉족제비고사리(D. saxifragi-varia Nakai)바위족제비고사리(D. saxifraga H.Itô)잎몸2~3회 우상. 길이 15~50cm,너비 10~33cm. 2~3회 우상. 곧게 선다. 길이 20~50cm.2회 우상. 아래로 처진다.길이 15~30cm, 너비 10~15cm.엽병의인편갈색이거나 흑갈색. 선형 또는피침형이며, 두 종에 비해 인편은 매우 길고 위를 향해 기울어져 붙는다.갈색이고 선형 또는 넓은 선형.엽병에 직각으로 붙고 인편의 기부가 위를 향하다 아래로 굽는다.갈색이거나 연한 갈색. 선형 또는 넓은 선형. 상부에서는 엽병에 직각으로 붙고 아래로 굽는다.자.. 2018. 8. 3.
내장고사리 신엽(5.8) '18.5.8 / 정읍 2018. 6. 12.
긴콩짜개덩굴 (고란초과, 콩짜개덩굴속) 학명은 Lemmaphyllum microphyllum var. nobukoanum (Makino) Tagawa이며 콩짜개덩굴의 변종이다. 종소명 microphyllum는 '작은 잎' 의미. 콩짜개덩굴에 비해 영양엽이 보다 넓고 길며, 포자엽도 가늘고 길다. 또한 엽질이 얇아서 엽맥이 드러나 보인다. 콩짜개덩굴 (고란초과, 콩짜개덩굴속/4.7) 긴콩짜개덩굴 (고란초과, 콩짜개덩굴속) 학명은 Lemmaphyllum microphyllum var. nobukoanum (Makino) Tagawa이며 콩짜개덩굴의 변종이다. 종소명 microphyllum는 '작은 잎' 의미. 콩짜개덩굴에 비해 영양엽이 보다 hyunsik.tistory.com [비교] 긴콩짜개덩굴, 콩짜개덩굴(11.14) 콩짜개덩굴에 비해 영양엽.. 2018. 4. 6.
개좀진고사리(8.6) [비교] 좀진고사리, 개좀진고사리* 좀진고사리- 우편의 끝이 대부분 뭉뚝하게 마무리 됨- 포막은 말굽형, 갈고리형, 초등달형이고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잘게 갈라짐- 영양엽과 포자엽이 뚜렷하다.* 개좀진고사리- 우편의 끝이 뭉뚝하기도 하고 좁게 길어지기도 함 -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과 잘게 갈라진 것이 섞임 - 영양엽과 포자엽이 뚜렷하지 않다                 '17.8.6 / 진안[특징] 포막은 서로 겹쳐지고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 것이 섞여 있다.개좀진고사리 더보기 :좀진고사리 보기 :나도좀진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192진고사리 보기 :탐라진고사리 보기 :큰진고사리 보기 : http://blog.da.. 2017. 8. 21.
관중 신엽(4.17) '16.4.17 / 정읍 2017. 4. 30.
왕지네고사리 신엽 '16.4.17 / 정읍 2017. 4. 8.
더부살이고사리 신엽 '17.2.11 / 전주 / 식재 더부살이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483 2017. 2. 27.
암뱀고사리 (Athyrium clivicola Tagawa) '16.10.29 / 울산 [특징] 소우편 기부의 위쪽 열편이 특히 큰 귀모양으로 우축에 겹쳐지며 중축과 우축에 털이 없다. 중축과 우축이 만나는 곳에 짧은 돌기가 있다. 넓은잎개고사리 보기 : 암뱀고사리 더보기 : 산개고사리 보기 : 2016. 11. 19.
지리개관중 (Polystichum ovatopaleaceum (Kodama) Sa.Kurata) '16.10.29 / 울산 [특징] 비늘개관중과 유사함. 엽병의 인편은 긴난형이고 가장자리가 털처럼 갈라지며, 중축의 인편은 넓은 난형이고 압착되지 않는다. 전국 자생 지리개관중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762 http://blog.daum.net/watcher/8770018 지리개관중 참나도히초미 인편 비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203 비늘개관중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811 참나도히초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7859 http://blog.daum.net/watcher/8761966 나도히초미 보기 : http://blog... 2016. 11. 18.
장수고사리 (Dryopteris woodsiisora) '16.10.8 2016. 11. 7.
남도톱지네고사리 -> 각시톱지네고사리 '16.6.12 / 광주 [특징] ; 애기톱지네고사리와 곰비늘고사리의 잡종으로 우편은 중열, 기부는 심열하고 포막은 뚜렷. 논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064 각시톱지네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578 애기톱지네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18 http://blog.daum.net/watcher/8766446 교래톱지네고사리 보기 : 2016. 10. 26.
푸른각시고사리 신엽 '16.4.24 / 완주 각시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21 푸른각시고사리 신엽 보기 : ` 2016. 10. 15.
토끼고사리 (6.5) [비교] 산토끼고사리, 토끼고사리* 산토끼고사리(석회암 지대에 흔함)- 엽병과 우축에 짧은 선모가 있다.- 첫번째와 두번째 우편은 자루가 있지만 간혹 두번째 우편에 자루가 없기도 하다.- 침엽수림 아래 또는 석회암지대에서 자람* 토끼고사리(희귀멸종위기식물)- 엽병과 우축은 무모이며 선모도 없다.- 첫번째 우편은 자루가 있지만 두번째 우편에는 자루가 없다.- 수림 아래에서 자람         '16.6.5 / 설악산산토끼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893485 2016. 9. 25.
물고사리 신엽 '16.8.13 / 군산 2016. 9. 9.
드문고사리 신엽 지네고사리, 사다리고사리와 달리 성장하면서 엽병에 털이 탈락하여 보이질 않는다. 우편과 우편사이가 넓고 우편의 측맥은 열편의 가장자리까지 닿지 않는다. 드문고사리 (처녀고사리과, 드문고사리속/6월) (tistory.com) 드문고사리 지네고사리, 사다리고사리와 달리 성장하면서 엽병에 털이 탈락하여 보이질 않는다. 우편과 우편사이가 넓고 우편의 측맥은 열편의 가장자리까지 닿지 않는다. '16.6.12 / 광주 드문고사리 신엽보 hyunsik.tistory.com '16.6.12 / 광주 드문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80 2016. 7. 29.
만년석송 (석송속, 6.5) '16.6.5 / 설악산석송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989개석송 보기 : 2016. 7. 28.
섬공작고사리 (공작고사리과, 공작고사리속/6.12) [공작고사리속 종 검색표]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둥글다. ----- 암공작고사리(강원도 석회암지대)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부채모양으로 배열하고 우편은 삼각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2.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 또는 도삼각형이다. ----- 섬공작고사리(제주, 울릉도)    2. 잎몸은 부채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초승달 모양에서 긴타원형이다. ----- 공작고사리(제주, 울릉도, 경기, 강원)[기재문]학명은 Adiantum monochlamys D.C.Eaton 낮은 산지의 계곡 그늘진 바위 틈새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드물게 착생하는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짧게 기며, 비늘조각이 빽빽이 붙고, 비늘조각은 흑갈색이다. 잎.. 2016. 7. 16.
애기일엽초 포자낭군(5.15) [일엽초속 종 검색표 1] 출처 : 2024년 식물분류학회의 섬일엽초 논문1. 뿌리줄기의 인편은 피침형이고 길이는 3~5mm이며, 잎은 가죽질이다.    2. 뿌리줄기의 지름은 2~3mm이며, 잎의 끝은 뾰족하고 평행하다. ----- 일엽초(전남, 경남, 제주)    2. 뿌리줄기의 지름은 약 1.5mm이며, 잎의 끝은 둥글거나 둔하고, 끝 근처에서 가장 넓다        3. 자루(잎자루)는 불분명하거나 짧으며, 길이는 5.0~10.0mm이고,            엽신의 너비는 3.0~10.0mm이다. ----- 애기일엽초(전남, 경남, 제주)        3. 자루(잎자루)는 명료하거 다소 길며, 길이는 10.0~20.0mm이고,            엽신의 너비는 5.0~11.0mm이다. ----- .. 2016. 6. 16.
세뿔석위 (5.15) [기재문] 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숲속 바위 위나 나무줄기 겉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착생하는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짧게 뻗으며, 지름 5~5.6mm이다. 비늘조각은 흑갈색으로 피침형, 길이 5~7mm, 가장자리에 갈색의 돌기가 있다. 잎은 조밀하게 달리며, 잎자루는 길이 5~20cm다. 잎몸은 손바닥 모양으로 3~5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5~15cm, 폭 3~10m다. 가운데 갈래잎은 삼각상 피침형으로 크고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뒷면에 홍갈색의 별 모양 털이 많다. 포자낭군은 공 모양, 잎 뒷면 전체에 퍼져 붙는다. 포막은 없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이 종은 국내에 자생하는 석위속의 식물들과 비교하여 잎이 3~5갈래로.. 2016. 6. 14.
십자고사리 포자낭군(관중과/5.5)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20.4.20 hyunsik.tistory.com '16.5.5 / 대구 2016. 5. 31.
나도좀진고사리 (Deparia pseudoconilii (Serizawa) Serizawa) '14.10.11 / 울산 잎몸은 넓은 피침형 또는 넓은 삼각형기고, 맨 아래 우편이 가장 넓고 포막에 털이 있는 점이 특징. 개좀진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255 털진고사리 보기 : 진고사리 보기 : 좀진고사리 보기 : 탐라진고사리 보기 : 털진고사리 보기 : 큰진고사리 보기 : http://blog.d.. 2016. 5. 23.
털고사리 신엽 '16.4.17 / 정읍 흰털고사리 신엽 보기 : 털고사리 보기 : 2016.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