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263

엷은잎지네고사리 엽병 인편, 우편 (관중과, 관중속) 학명은 Dryopteris kinkiensis Koidz. ex Tagawa 엽병과 중축의 인편이 흑갈색이고 가장자리가 갈라진다. 엷은잎지네고사리 신엽 '19.4.10 / 경남 hyunsik.tistory.com '18.11.24 2024. 1. 22.
애기톱지네고사리 (관중과, 관중속) 학명은 Dryopteris commixta Tagawa이며 종소명 commixta는 '혼합한' 의미이며 전남, 경남, 제주도에 분포한다. 우편에 짧은 자루가 있기도 하며, 포막이 작고 잘 떨어져서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엽병의 인편은 흑갈색이고 우편은 1/4정도 얕게 갈라진다. [톱지네고사리류 검색표] 1. 포자낭군은 우편 중륵 가까이에 붙는다. 2. 포막은 일찍 떨어지거나 작아서 없는 것처럼 보인다. --- 애기톱지네고사리 2. 포막은 오랫동안 남아 있고, 뚜렷이 보일 정도로 크다. 3. 우편의 표면은 잎맥이 뚜렷이 보이지 않는다. 4. 우편의 갈라짐이 1/5정도로 얕게 갈라지고, 우편의 너비는 1.5~2.0cm이다. --- 톱지네고사리 4. 우편의 갈라짐이 1/2정도로 깊게 갈라지고.. 2024. 1. 21.
거미꼬리고사리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거미고사리(Asplenium ruprechtii Sa.Kurata)와 꼬리고사리(Asplenium incisum Thunb. ) 교잡종으로 학명은 Asplenium castaneo-viride Baker 이다. 거미고사리의 경우 동속과 교잡하여 새로운 종을 생성한다. - 거미돌담고사리 : 거미고사리와 돌담고사리 교잡종 - 거미애기꼬리고사리 : 거미고사리와 애기꼬리고사리 교잡종 - 거미사철고사리 : 거미고사리와 사철고사리 교잡종 거미꼬리고사리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거미고사리(Asplenium ruprechtii Sa.Kurata)와 꼬리고사리(Asplenium incisum Thunb. ) 교잡종으로 학명은 Asplenium castaneo-viride Baker 이다. 거미고사리의 경우 동속과 .. 2024. 1. 20.
광릉개고사리 (개고사리과, 개고사리속) 학명은 Athyrium concinnum Nakai. 특산식물 개고사리와 유사하나, 잎몸 끝이 갑자기 좁아지지 않으며, 잎몸이 넓다. 포막은 말굽형, J자형 또는 초승달형으로 다양하다.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 2024. 1. 11.
장수고사리 (관중과, 관중속) 학명은 Dryopteris woodsiisora Hayata. 산지의 전석지 바위 위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드물게 착생하는 북방계로 키는 20~55cm이다. 땅속줄기는 곧게 선다. 잎자루는 기부에 비늘조각이 빽빽이 붙지만 상부에서 성글게 붙는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중부 이하에서 가장 넓고, 길이 약 30cm이고, 1~2회 깃꼴겹잎이며, 초질이다. 중축은 비늘조각이 성글게 붙고, 자루가 있는 샘털이 다소 빽빽이 붙거나 성글게 붙는다. 포자낭군은 우축 가까이에 1~2쌍씩 붙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샘털이 있다. '17.5.22 2024. 1. 5.
물고사리 신엽 (봉의꼬리과, 물고사리속) 학명은 Ceratopteris gaudichaudii Brongn. var. vulgaris Masuyama & Watano. 한해살이 정수성 또는 침수성 수생식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곧게 자란다. 잎은 뿌리줄기에 모여나는데 영양잎과 포자잎 두 가지 모양이 있다. 잎 앞면 또는 갈라지는 데서 무성아가 생긴다. 잎자루는 녹색, 드물게는 비늘조각이 있으며, 길이 30~40cm이다. 영양잎은 난상 삼각형, 길이 5~20cm, 폭 2~17cm로 2~3회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포자잎은 영양잎보다 크고 1~3회 깃꼴로 갈라지며 열편의 폭이 좁고 자루가 없다. 포자낭군은 열편의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 안쪽에 달린다. 포자는 삼지형이고 표면의 무늬는 과립 모양이다. 포자기는 8~10.. 2023. 12. 3.
거미애기꼬리고사리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11.15) 꼬리고사리과는 비늘이 달려 있는 기는줄기, 자루에 달려 있는 포자낭과 이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환대, 포자낭군을 덮고 있는 방패 모양·콩팥 모양·긴타원 모양 또는 긴 막대 모양으로 된 포막 등이 특징을 이룬다. 포자는 대개 콩 모양으로 좌우대칭이다. 거미고사리(Asplenium ruprechtii Sa.Kurata)와 애기꼬리고사리(Asplenium tenuicaule Hayata) 교잡종으로 학명은 Asplenium × akaishiense이다. 거미고사리의 경우 동속과 교잡하여 새로운 종을 생성한다. - 거미돌담고사리 : 거미고사리와 돌담고사리 교잡종 - 거미꼬리고사리 : 거미고사리와 꼬리고사리 교잡종 - 거미사철고사리 : 거미고사리와 사철고사리 교잡종 거미고사리 '23.3.3. hyunsik.tis.. 2023. 11. 27.
왕지네고사리 신엽(4.20) '23.4.20 2023. 7. 24.
홍지네고사리 포자낭군 '23.5.10 2023. 7. 14.
쇠고비 포자낭군 '23.5.10 2023. 7. 14.
털고사리 신엽 및 엽병 흰털고사리는 엽병에 흰인편이 없는 털고사리의 변종 '23.6.10 2023. 6. 11.
털고사리 포자낭군 '23.6.10 2023. 6. 11.
퍼진고사리 포자낭군(6.6) '23.6.6 2023. 6. 10.
애기족제비고사리 포자낭군 '23.6.6 2023. 6. 10.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kobayashii Kitag. 애기족제비고사리는 엽신이 오각형(길이/너비 = 4/3~2/3)이며 우편은 끝은 곧고 예두이고 반면에,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엽신이 좁은 삼각형(길이/너비 = 2/3~1/2)이며 우편의 끝이 약각 굽고 둔두 '23.6.4 애기족제비고사리 '17.7.2 / 진안 hyunsik.tistory.com 2023. 6. 5.
청지네고사리 학명은 Dryopteris erythrosora (D.C.Eaton) Kuntze f. viridisora (Nakai ex H.Itô) H.Itô 청지네고사리는 홍지네고사리(Dryopteris erythrosora (D.C.Eaton) Kuntze)의 변종으로 식물체가 홍색을 띠지 않고 포막도 회백색이다. 엽축이 홍지네고사리 처럼 붉은색이 아닌 청색이다. '23.5.31 2023. 6. 1.
큰족제비고사리 포자낭군 '23.5.17 2023. 5. 31.
애기꼬리고사리 포자낭군(5.25) '23.5.25 2023. 5. 3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 [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 포자낭군(관중과/5.5)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tistory.com '20.4.20 hyunsik.tistory.com '16.5.5 / 대구 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hyunsik... 2023. 5. 28.
뱀고사리 신엽 '23.4.22 2023. 5. 28.
퍼진고사리 포자낭군(5.17) '23.5.17 2023. 5. 22.
곰비늘고사리 포자낭군 '23.4.30 2023. 5. 1.
수염이끼 (처녀이끼과, 처녀이끼속) [처녀이끼과 속 검색표] 1. 뿌리줄기는 갈색 털이 드물게 있으며, 포막은 2개의 판막으로 되어 있다. ----- 처녀이끼속 1. 뿌리줄기는 흑갈색 털이 빽빽이 붙으며, 포막은 컵모양이거나 깔때기 모양이다. 2. 포막은 반 정도만 열편 안으로 들어가 있다. ----- 괴불이끼속 2. 포막은 열편 안으로 거의 들어가 끝에서 두 갈래지거나 약간 파인다. ----- 누운괴불이끼속 속 명 뿌리줄기 지름 포막 위맥 처녀이끼속 0.2~0.3mm 2개의 판막 없음 괴불이끼속 0.4~0.6mm 컵모양 또는 깔대기 모양 있거나 없음 누운괴불이끼속 0.3~1mm 컵모양 없음 [처녀이끼속의 종 검색표] *공통사항 : 포막은 2개의 판막으로 되어 있고 포자낭군턱은 포막 안에 있다 1. 최종열편의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 2023. 3. 6.
산꽃고사리삼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공통엽병)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 [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엽의 우편 끝은 예두이고, 열편의 톱니는 날카롭다. 5. 우편의 길이는 3cm 이상이.. 2023. 2. 2.
점고사리 신엽 '22.4.28 2022. 8. 7.
개고사리 신엽(4.30) 뱀고사리로 보임 '20.4.30 2022. 6. 3.
가는잎족제비고사리 신엽 '20.4.30 2022. 6. 2.
가는잎처녀고사리 신엽 가는잎처녀고사리 '20.6.8 hyunsik.tistory.com '20.3.29 2022. 5. 18.
개고사리 신엽(3.29) '19.3.29 2022. 5. 17.
비늘고사리 신엽 '19.3.27 2022.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