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본식물806

조록싸리 겨울눈 겨울눈은 난형으로 호생하고 끝은 유사종에 비해 뾰족하다. 또한 인편은 갈색이며 가장자리에 백색 털이 많으며 맥이 있다. 엽흔은 반원형~타원형이며 돌출하고 관속흔(관다발자국)은 1개이며 곁에 긴 탁엽 한쌍이 남기기도 한다. 어린가지는 적갈색이며, 햇가지에는 털이 많다. 꽃싸리 겨울눈 '21.12.5 hyunsik.tistory.com 조록싸리 신엽 '20.4.6 hyunsik.tistory.com 조록싸리 '20.5.31 hyunsik.tistory.com 흰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for. albiflora Uyeki) '16.6.12 / 광주 조록싸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95 털조록싸리 보기 ; http://blog.daum... 2024. 2. 10.
목련 겨울눈(잎눈) 학명은 Magnolia kobus DC.이며 종소명 kobus는 일본의 목련명(고부시)를 라틴화한 것이다. 겨울눈은 긴 가지 끝에 달리며 꽃눈과 잎눈의 모양이 다르다. 꽃눈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긴 털이 난 2장의 인편에 싸여 있다 잎눈은 짧은 털로 덮인 인편에 싸여 있다. 잎자국은 V자형 또는 초승달형이며, 턱잎자국은 가지를 한 바퀴돈다. 가지는 털이 없으며, 녹색 바탕에 자주빛이 돈다. 함박꽃나무 겨울눈 '21.2.3 hyunsik.tistory.com 일본목련 겨울눈, 수피 '23.3.8 hyunsik.tistory.com 목련 겨울눈 꽃눈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긴 털이 난 2장의 인편에 싸여 있다 잎눈은 짧은 털로 덮인 인편에 싸여 있다. [꽃눈] [잎눈] [꽃눈] '21.. 2024. 2. 10.
때죽나무 겨울눈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 학명은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이며 종소명 japonicus는 '일본의' 의미. 겨울눈에 덧눈이 있는 수종 - 세로덧눈 : 족제비싸리,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가래나무, 무환자나무, 박태기나무, 국수나무, 좀목형, 덜꿩나무, 작살나무, - 가로덧눈 : 느티나무, 헛개나무, 조팝나무, 병아리꽃나무 겨울눈이 나아인 수종 개옻나무, 나도밤나무, 누리장나무, 들메나무, 때죽나무, 뜰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 분꽃나무, 산분꽃나무, 새비나무, 소태나무, 예덕나무, 작살나무, 좀작살나무, 중국굴피나무, 쪽동백나무, 포포나무, 합다리나무, 초피나무 -----------------------------------------------------------------------------.. 2024. 2. 9.
쪽동백나무 겨울눈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 학명은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겨울눈에 덧눈이 있는 수종 - 세로덧눈 : 족제비싸리,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가래나무, 무환자나무, 박태기나무, 국수나무, 좀목형, 덜꿩나무, 작살나무, 좀작살나무 - 가로덧눈 : 느티나무, 헛개나무, 조팝나무, 병아리꽃나무 나아(맨눈)인 수종 개옻나무, 나도밤나무, 누리장나무, 들메나무, 때죽나무, 뜰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 분꽃나무, 산검양옻나무, 산분꽃나무, 새비나무, 소태나무, 예덕나무, 작살나무, 좀작살나무, 중국굴피나무, 쪽동백나무, 초피나무, 포포나무, 합다리나무, --------------------------------------------------------------------------------------------.. 2024. 2. 9.
족제비싸리 겨울눈 (콩과, 족제비싸리속) 학명은 Amorpha fruticosa L.이며 종소명 fruticosa는 '관목의' 의미. 겨울눈에 덧눈이 있는 수종 - 세로덧눈 : 족제비싸리,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가래나무, 무환자나무, 박태기나무, 국수나무, 좀목형, 덜꿩나무, 작살나무, - 가로덧눈 : 느티나무, 헛개나무, 조팝나무, 병아리꽃나무 겨울눈은 달갈형이고 뾰족하며 복생(가지에 바짝 붙어 남)한다. 곁눈과 잎자국사이에 세로덧눈이 난다. * 겨울눈이 복생 : 광대싸리 광대싸리 겨울눈 (대극과, 광대싸리속) 겨울눈 세모형이고 가지에 복생한다.(족제비싸리 겨울눈도 복생한다) 엽흔은 반달형 또는 타원이고 관다발자국은 1개이다. (감나무와 고욤나무도 관다발자국이 1개이다.) 가지의 수피는 세로로 hyunsik.tistory.com 족제비싸리 .. 2024. 2. 9.
사방오리 겨울눈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겨울눈은 뾰족하고 적갈색의 인편은 3~4개이다. 좀사방오리 겨울눈 '20.11.15 hyunsik.tistory.com 오리나무 겨울눈 물오리나무 겨울눈 '15.1.2 / 대구 겨울눈은 굵은 자루가 있으며 털이 있다. 오리나무 겨울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390 물오리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75 hyunsik.tistory.com '21.11. hyunsik.tistory.com 오리나무 겨울눈 '15.1.17 / 대구 물오리나무 겨울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258 오리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635 hyunsik.. 2024. 2. 9.
혹느릅나무 (느릅나무) 겨울눈 겨울눈은 2가지 모양이 있고 5~6개의 자갈색 또는 갈색 인편으로 덮혀있다. - 다소 납작한 달갈형이고 끝은 뾰족 : 잎눈 - 납작하고 아원형 : 꽃눈 잎자국은 반원형 또는 삼각형이고, 관다발자국(관속흔)은 3개이다. 가지는 털로 덮혀있다. 미국느릅나무 겨울눈, 수피 '23.1.6 hyunsik.tistory.com 느릅나무(혹느릅나무) 겨울눈 겨울눈은 2가지 모양이 있고 5~6개의 자갈색 또는 갈색 인편으로 덮혀있다. - 다소 납작한 달갈형이고 끝은 뾰족한 형 : 잎눈? - 납작한 원형 : 꽃눈 추정 잎자국은 반원형 또는 삼각형이고, 관다발 hyunsik.tistory.com 느릅나무 겨울눈 '20.12.24 hyunsik.tistory.com 당느릅나무 겨울눈 (잎) 사진을 누르면 사진이 확대됩니다... 2024. 2. 8.
으름덩굴 겨울눈 (으름덩굴과, 으름덩굴속) 겨울눈은 갈색이며 달갈형이고 많은 인편(12~16개)으로 싸여 있다. 가로덧눈이 붙기도 한다. 엽흔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관다발자국(관속흔)은 7개(오래되면 구멍이 뚫림) 정도가 있다. 오래된 줄기는 암갈색이며, 껍질눈이 밀생하고 세로로 얄게 갈라져서 비늘 모양이 된다. 으름덩굴 열매 '12.9.29일 / 정읍 으름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237 으름덩굴 열매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54 hyunsik.tistory.com 으름덩굴 종자 (으름덩굴과, 으름덩굴속) 으름덩굴과는 으름덩굴속인 으름덩굴과 멀꿀속인 멀꿀 2종 있다. 으름덩굴 학명은 Akebia quinata (Thunb.) Decne.이며 종소명 .. 2024. 2. 8.
리기테다소나무 (소나무속) [비교] 테에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리기다소나무 * 공통 : 잎은 3개가 한 묶음(속생) * 테에다소나무(=테다소나무) : 잎 길이는 12~22cm, 솔방울은 6~10cm.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둥근 수형이 된다. * 리기다소나무 : 잎 길이는 7~14cm, 솔방울은 3~7cm. 줄기에 막눈이 자란 짧은 가지가 많다. * 리기테다소나무 : 리기다소나무+테에다소나무. 잎 길이는 14~20cm. 줄기는 곧게 자란다. 학명은 Pinus × rigitaeda 도입종 리기다소나무와 테에다소나무를 인공적으로 교잡하여 육종한 소나무과 소나무속의 일종. 나무 겉껍질은 매우 거칠고 결이 곧다. 잎은 바늘 모양, 3개씩 束生이며 길이는14~20cm이다.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 [비교] 테에다.. 2024. 2. 6.
물푸레나무 겨울눈 및 수피 (1.30) 물푸레나무과 특징은 대부분 꽃에는 수술 2개와 암술 1개가 들어 있는데,암술은 서로 합쳐진 2개의 심피로 되어 있다.꽃잎은 보통 4장이고 아래가 서로 붙어 통모양을 이룬다.잎은 마주나고 가지도 대부분 마주난다. 수피는 흰색 반점이 있는 암회색이나 노목이 되면서 세로로 갈라진다.겨울눈은 암회색이고 끝이 뾰족하며 3~4장의 인편으로 싸여 있다. 인편은 청자색 털로 덮혀 있다.끝눈 양옆으로 정생측아가 혹처럼 붙는다. [비교] 물들메나무와 들메나무 - 공통 : 2년지에서 꽃이 핀다. (물푸레나무는 새가지에서 꽃이 핀다)            어린 수피는 회백색~회색이고 평활하지만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진다.* 물들메나무 (Fraxinus chiisanensis Nakai) : 특산식물, 가야산,내장산, 덕유산, 전.. 2024. 2. 3.
붉나무 겨울눈 (옻나무과) 학명은 Rhus chinensis Mill.  겨울눈은 반구형이며 황갈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혀있다.잎자국 형태는 U자형 또는 V자형이다.가지는 황갈색 털로 덮혀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붉나무 겨울눈'23.1.19hyunsik.tistory.com 붉나무'17.8.28 / 진안hyunsik.tistory.com 붉나무 열매'18.12.5 / 경남 붉나무 열매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443hyunsik.tistory.com 2024. 1. 29.
말발도리 겨울눈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학명은 Deutzia parviflora Bunge이며 종소명 parviflora는 '작은 꽃이 있는' 의미. [비교] 물참대와 말발도리 공통 : 수술이 10개(작은 것 5개와 큰 것 5개)이며, 수술이 5개인 산분꽃나무과(덜꿩나무, 가막살나무)와 구별된다. 꽃은 순백색 어린 가지의 수피는 종잇장처럼 얇게 벗겨진다. 가지의 속이 비어 있다. 화반은 보통 녹색. 꽃받침통은 털이 없음. 수술대는 둥글다. 말발도리처럼 잎 앞면에 성모가 있지만 잎 뒷면에는 털이 거의 없음 줄기와 잎자루에 털이 없어 매끄럽다. 꽃은 미색 어린 가지의 수피는 벗겨지지 않는다. 가지의 속이 차있다. 화반은 보통 등황색. 꽃받침통은 성성모가 밀생. 수술대는 판자모양이다. 잎 뒷면은 털이 있다. 잎 앞면, 잎자루, 줄기에 성상모가 밀생.. 2024. 1. 24.
물들메나무 겨울눈, 전초 (7.25) [비교] 물들메나무와 들메나무 - 공통 : 2년지에서 꽃이 핀다. (물푸레나무는 새가지에서 꽃이 핀다)            어린 수피는 회백색~회색이고 평활하지만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진다.* 물들메나무 (Fraxinus chiisanensis Nakai) : 특산식물, 가야산,내장산, 덕유산, 전남 백운산, 만주지산, 덕항산 등  cf) 종소명 chiisanensis는 '지리산에서 자라는' 의미- 소엽이 5-7(9)장이며, 겨울눈은 인편 없이 벗겨져 있으며 갈색의 성모로 덮혀 있고 납작한 모양.- 잎 뒷면은 광택이 나고 맥 기부에 약간의 갈색 털이 있다.*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Rupr.) : 경북, 전북 산지의 계곡- 소엽이 9-11장이 기본이며 겨울눈에 흑갈색 인편으로 덮혀 .. 2024. 1. 24.
개오동 겨울눈 (능소화과, 개오동속) 학명은 Catalpa ovata G.Don이며 종소명 ovata는 '달걀모양의' 의미. 민가 주변 심어 기르는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20m이다. 잎자루는 6~18cm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넓은 난형 또는 둥근 모양으로 얕게 3갈래로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10~25cm, 밑이 얕은 심장형, 끝이 뾰족하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피며 깔때기 모양, 길이 2~3cm, 연한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부리는 위쪽이 5갈래로 갈라진 입술 모양이고 윗입술은 2갈래, 아랫입술은 3갈래로 안쪽에 검은 보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2개만 완전하고, 3개는 헛수술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기둥 모양, 길이 20~35cm, 한 꽃에서 2개씩 달린다. 9~10월에 익는다. 미.. 2024. 1. 23.
애기모람 신엽 (뽕나무과, 천선과나무속) 암수딴그루(암꽃양성화딴그루)이며 어린 잎은 파상의 결각성 거치가 2~3개 있는 반면 왕모람은 결각성 거치가 없다. 학명은 Ficus thunbergii Maxim.이며 종소명 thunbergii는 네덜란드 식물학자 이름을 의미한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자료를 따르면 애기모람은 해안가 산기슭에서 바위나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라는 상록성 덩굴나무이다. 꽃은 5~8월에 핀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갈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5cm, 폭 1~2cm, 밑은 둥글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 뒷면은 분백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5~15mm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주머니에 들어 있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5~17mm, 열매자루는 길이 5~.. 2024. 1. 20.
개박달나무 겨울눈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개박달나무 '21.6.13 hyunsik.tistory.com 개박달나무 열매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자작나무과 특징은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수꽃은 길게 늘어 떨어 뜨리는 미상꽃차례고 암꽃은 짧게 곧추서서 무리를 이룬다. 열매는 견과이다. 학명은 Betula chinensis Maxim. 과수는 길이 1.5~2.0cm hyunsik.tistory.com '23.11.16 2024. 1. 10.
졸가시나무 겨울눈 (참나무과, 참나무속) 겨울눈은 장난형이고 길이는 6~7mm이며 인편은 붉다. 졸가시나무 (Quercus phillyraeoides A.Gray) '17.3.1 / 목포 종가시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064 참가시나무 보기 : 개가시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556 가시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366 붉가시나무 보기 : hyunsik.tistory.com 졸가시나무 열매 (참나무과, 참나무속) 참나무과 특징은 미상화서(=유이화서)를 가지며 열매는 견과이다. 미상화서는 가늘고 긴 꽃에 꽃자루가 없는 단성화들이 꼬리처럼 아래로 늘어져 달리는 화서이며 수상화서(양성화가 달림)의 hyunsik.. 2023. 12. 21.
물박달나무 겨울눈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학명은 Betula davurica Pall.이며 종소명 davurica는 '바이칼호 지역의' 의미. 물박달나무 겨울눈 '15.1.17 / 대구 hyunsik.tistory.com 물박달나무 '15.3.21 / 대구 hyunsik.tistory.com 겨울눈 인편은과 가지는 적갈색이다. '23.11.30 2023. 12. 19.
대팻집나무 겨울눈 및 수피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감탕나무과 특징은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고, 꽃부리(화관) 아래쪽에 붙는다. 암술은 대부분 심피 4-8개가 합생한다. 씨방은 상위이며, 자방실은 심피와 같은 수이다. 꽃은 4~5장의 꽃잎과 꽃받침잎이 있고 열매는 핵과로 다수의 종자가 들어 있다. 노박덩굴과와 달리 평편한 화반이 없다. 학명은 Ilex macropoda Miq.이며 종소명 macropoda는 '긴 줄기를 가진' 의미. 암수딴그루이며 감탕나무속 식물 중에서 유일한 낙엽성이고 줄기에 짧은 가지가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지가 있으며 겨울눈의 인편은 회갈색이다. 대팻집나무 '21.6.13 hyunsik.tistory.com 대팻집나무 열매 '17.8.1 / 진도 hyunsik.tistory.com 대팻집나무 열매 '18.7.31 hyunsik... 2023. 12. 18.
박달나무 겨울눈 박달나무 열매 및 수피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자작나무과 특징은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수꽃은 길게 늘어 떨어 뜨리는 미상꽃차례고 암꽃은 짧게 곧추서서 무리를 이룬다. 열매는 견과이다. 학명은 Betula schmidtii Regel 과수는 길이 2~4cm로서 hyunsik.tistory.com 박달나무 표본 '12.6.24 hyunsik.tistory.com 박달나무 수꽃 '15.4.25 / 대구 박달나무 암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750 hyunsik.tistory.com 박달나무 암꽃 '15.4.25 / 대구 박달나무 수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749 hyunsik.tistory.com 박달나무 '15... 2023. 12. 16.
콩배나무 겨울눈 원추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인편의 색은 밑부분은 짙은 갈색이고 윗부분은 붉은 갈색이다. 잎자국은 반달형이며 가지에는 털이 없고 흰색 껍질눈이 있다. 배나무속에 속한 나무는 짧은 가지가 있다. 콩배나무 (장미과, 배나무속) '22.4.22 hyunsik.tistory.com 돌배나무 열매 산돌배 열매 돌배나무 열매 열매에 꽃받침이 없다 1. 열매 지름 : 6~15cm 배나무 / 3~4cm 돌배나무 열매에 꽃받침이 있다 1. 열매지름이 3cm 이상 2. 암술대에 털이 없다 : 참배나무, 서양배나무 2. 암술 hyunsik.tistory.com 콩배나무 열매 (장미과, 배나무속) 학명은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C.K.Schneid.) Rehder. 열매는 둥글고 지름 1-1.5c.. 2023. 12. 16.
돌배나무 겨울눈 겨울눈은 원추형이고 5~7장의 인편으로 덮혀있다. 짧은 가지가 있고 잎자국은 삼각호형 돌배나무 열매 산돌배 열매 돌배나무 열매 열매에 꽃받침이 없다 1. 열매 지름 : 6~15cm 배나무 / 3~4cm 돌배나무 열매에 꽃받침이 있다 1. 열매지름이 3cm 이상 2. 암술대에 털이 없다 : 참배나무, 서양배나무 2. 암술 hyunsik.tistory.com 돌배나무 열매 (장미과, 배나무속) 학명은 Pyrus pyrifolia (Burm.f.) Nakai이며 종소명 pyrifolia는 '배'를 의미하는 라틴어 pyrum과 '잎'을 의미하는 라틴어 folium의 합성어로 '배 잎 모양을 가진'이라는 뜻이 된다. 열매는 이과로 지름 2~3cm, 8~9 hyunsik.tistory.com 산돌배 겨울눈 '20... 2023. 12. 16.
참개암나무 겨울눈, 수피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자작나무과 특징은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수꽃은 길게 늘어 떨어 뜨리는 미상꽃차례고 암꽃은 짧게 곧추서서 무리를 이룬다. 열매는 견과이다. 학명은 Corylus sieboldiana Blume. 이며 종소명 sieboldiana는 일본 연구가 sueboldii를 의미한다. 참개암나무 겨울눈 겨울눈 인편의 색은 참개암나무는 적자색, 물개암나무는 회갈색 '22.2.4 hyunsik.tistory.com 참개암나무 겨울눈 인편의 색깔은 참개암나무의 경우 적자색, 물개암나무의 경우 회갈색 '22.2.25 / 식재 hyunsik.tistory.com 참개암나무 열매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자작나무과 특징은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수꽃은 길게 늘어 떨어 뜨리는 미상꽃차례고 암꽃은 짧게 곧추서서 무리를 이룬다. .. 2023. 12. 8.
고욤나무 겨울눈 및 수피 (감나무과, 감나무속) 가지의 끝에 가지자국이 있는 경우 끝눈은 생기지 않고 끝눈의 역할을 하는 가정아(가짜끝눈)가 생기며, 하나만 생기는 경우 줄기의 중심에서 편향해서 달린다. * 가정아 : 정아가 기능을 못할 경우 대신 정아의 역할을 하는 겨울 이런 종류의 나무는(가지 끝 모두에 가정아가 생기는 것은 아님) - 어긋나기 : 감나무, 가죽나무, 무환자나무, 헛개나무, 느티나무,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시무나무, 두충, 뽕나무, 모과나무, 귀룽나무, 피나무, 팽나무, 왕버들, 서어나무, 자작나무, 노각나무, 개오동, 붉나무, 사람주나무, 소사나무, 대추나무, 때죽나무, 박쥐나무, 히어리, 노린재나무, 찔레나무 - 마주나기 : 황벽나무, 메타세콰이어, 단풍나무, 당단풍나무, 참빗살나무, 신나무, 라일락, 말발도리, 가막살나무, .. 2023. 12. 2.
둥근잎광나무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물푸레나무과 특징은 꽃은 수술 2개와 암술 1개이며 암술은 서로 합쳐진 2개의 심피로 되어 있고, 꽃잎은 보통 4장이나 아래가 서로 붙어 통모양을 이룬다 학명은 Ligustrum japonicum Thunb. f. rotundifolium (Blume) Noshiro이며 광나무의 변종이다. 잎이 촘촘하게 달린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가죽질이고 난상 타원형 또는 약간 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3-10cm, 폭 2.5-4.5cm로서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잔점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광나무에 비해 짧고 잎맥과 더불어 적갈색이 돈다. 꽃은 7-8월에 피고 복총상꽃차례는 새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3-6cm로서 백색이다. 꽃차례는 엽축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가장자리.. 2023. 11. 27.
오가나무 (두릅나무과, 오갈피나무속) 두릅나무과 특징은 큰 잎은 겹잎으로 대개 어긋난다. 꽃은 5갈래로 갈라졌으며 산형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장과이나 드물게는 씨 1개가 들어 있는 핵과가 맺힌다. 두릅나무과에 송악속, 땃두릅나무속, 두릅나무속, 음나무속, 인삼속, 통탈목속, 팔손이손, 황칠나무속이 이에 속한다. 학명은 Eleutherococcus sieboldianus (Makino) Koidz.이며 종소명 sieboldianus는 '잎자루가 없이 잎이 달린' 의미.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정원 또는 공원에 식재한다. 섬오갈피나무와 유사하나 잎 이면에 가시가 없다. 원줄기는 모여난다. 가지는 회백색, 길이 4~7mm의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짧은가지에서는 모여 달린다. 잎자루는 길이 3~10cm다. 잎몸은 작은잎 3~5장으로 된 손.. 2023. 11. 27.
물개암나무 겨울눈, 수피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자작나무과 특징은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수꽃은 길게 늘어 떨어 뜨리는 미상꽃차례고 암꽃은 짧게 곧추서서 무리를 이룬다. 열매는 견과이다. 학명은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Maxim. & Rupr.) C.K.Schneid.이고 참개암나무의 변종이다. 겨울눈 인편의 색은 참개암나무는 적자색, 물개암나무는 회갈색을 띠는 편이고 인편의 크기는 물개암나무의 경우 겨울눈의 절반 정도이고 참개암나무의 경우 겨울눈의 4/5 정도이다. 수피는 진한 회색을 띠고 간간히 흰색의 무늬가 있다. 참개암나무 겨울눈 겨울눈 인편의 색은 참개암나무는 적자색, 물개암나무는 회갈색 '22.2.4 hyunsik.tistory.com 물개암나무 열매, 잎 '19.8.18 hyunsik.tisto.. 2023. 11. 26.
가시나무 겨울눈 (참나무과, 참나무속) '23.10.18 2023. 11. 6.
갈졸참나무 학명은 Quercus × urticifolia Blume이며 갈참나무와 졸참나무 교잡종이다. 졸참나무 : 잎 뒷면은 희지 않으며 털이 있으며 안쪽으로 굽은 예리한 톱니(샘점)가 있다. 갈참나무 : 떡갈나무나 신갈나무는 엽병이 매우 길고, 졸참나무에 비해서는 잎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회백색이고 별 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비교] 갈참나무와 졸참나무 갈참나무 : 잎 가장자리 톱니는 물결모양이고 선점이 없다. 잎 뒷면이 회백색이고 성모가 있다. 졸참나무 : 잎 가장자리 톱니는 안쪽으로 굽고 선점이 된다. 잎 뒷면에 털이 있다. '23.8.17 2023. 8. 30.
으아리 잎 이면 맥에 털같은 돌기가 있고 화경에 털이 없다. 참으아리 으아리와 달리 꽃대와 잎 양면에 털이 있다. '22.7.14 hyunsik.tistory.com 2023.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