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759

삿갓사초 열매, 종자(6.10) 과낭의 긴부리는 약간 젖혀지며 구부는 비스듬히 잘리거나 오목하다. 종자(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고 타원상 도란형 또는 삼릉형이며 길이는 2mm 이내. 삿갓사초(4.12)[기재문]학명은 Carex dispalata Boott 습지 주변에서 키 40~100cm가량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가 길게 뻗는다. 줄기는 모여나고 거칠다. 잎은 줄기보다 짧고, 너비 4~8mm이다. 아래쪽의 잎집은hyunsik.tistory.com 삿갓사초(4.21)'13.4.21hyunsik.tistory.com 삿갓사초(5.4)'14.5.4 / 군산hyunsik.tistory.com 삿갓사초(5.25)'22.5.5hyunsik.tistory.com'24.6.10 / 함안 2024. 6. 11.
물꽈리아재비 꽃(6.7) [비교] 애기물꽈리아재비, 물꽈리아재비종 명꽃자루 길이잎 길이꽃받침 길이줄기상부 엽병잎 거치수애기물꽈리아재비(희귀멸종위기식물)원종4~7mm6~12mm5~8mm있다5~6개물꽈리아재비변종15~22mm10~40mm-없다3~4개주) 물꽈리아재비의 잎의 거치수도 5~6개인 경우가 있어 동정 형질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물꽈리아재비 신엽(4.12)[비교] 애기물꽈리아재비와 물꽈리아재비 종 명 꽃자루 길이 잎 길이 꽃받침 길이 줄기상부 엽병 잎 거치수 애기물꽈리아재비 원종 4~7mm 6~12mm 5~8mm 있다 5~6개 물꽈리아재비 변종 15~22mm 10~40mm - 없hyunsik.tistory.com 물꽈리아재비 신엽(4.17)물꽈리아재비 신엽(4.12) [비교] 애기물꽈리아재비와 물꽈리아재비 종 명 꽃.. 2024. 6. 10.
도깨비바늘 신엽(6.4) 왕도깨비바늘 신엽과 매우 유사하여 구분하기가 힘들다. 왕도깨비바늘 신엽잎이 1~2회 깊게 갈라지고 소엽은 깊게 갈라지며 좁은 피침형이다. '23.6.4hyunsik.tistory.com 털도깨비바늘 신엽(6.21)'23.6.21hyunsik.tistory.com 울산도깨비바늘 신엽(5.15)'23.5.15hyunsik.tistory.com 도깨비바늘 신엽(7.21)'23.7.21hyunsik.tistory.com 도깨비바늘(8.31)'23.8.31hyunsik.tistory.com 도깨비바늘 열매(9.18)'21.9.18hyunsik.tistory.com'24.6.4 2024. 6. 9.
장대나물 열매, 종자(6.5) 두해살이풀. 열매는 장각과로서 길이 4~6cm이며 원줄기와 평행하게 달리고 2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흩어진다. 종자는 길이 2-3mm정도로서 테가 있으나 날개는 없다. 털장대 열매, 종자(6.21)'21.6.21hyunsik.tistory.com 장대나물 월동잎(1.16, 2.15)'24.1.16'23.2.15hyunsik.tistory.com 장대나물 꽃(4.26)장대나물 (배추과, 장대나물속)학명은 Turritis glabra L.이며 종소명 glabra는 '털이 없는' 의미. 고도가 낮은 산자락 및 햇빛이 잘 드는 풀밭에서 흔하게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분처럼 흰색hyunsik.tistory.com 장대나물 (배추과, 장대나물속/5.3)학명은 Turritis glabra L.이며 종소명 gla.. 2024. 6. 9.
국화방망이 꽃(6.7) [기재문]학명은 Sinosenecio koreanus (Kom.) B.Nord. 희귀멸종위기식물.깊은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5~60cm. 뿌리줄기는 짧고 가지를 치며 가는 뿌리가 많이 난다.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자줏빛이 돈다. 뿌리잎은 끝이 뾰족하고 앞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뒷면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다. 잎자루가 길며 잎몸은 세모꼴 심장 모양이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밑부분의 잎은 잎자루에 날개가 없고 줄기로 약간 흐르거나 줄기를 감싼다.줄기잎은 어긋나며 3각상 심장형으로 길이 4.5~8.5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다소 심장형이고 표면에는 털이약간 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산방꽃차례로 피는데 지름은 20mm 정도이고 노란색... 2024. 6. 8.
물여뀌(6.5) '24.6.5 2024. 6. 8.
물여뀌 지상형 군락지(5.27) 물여뀌 꽃 지상형(마디풀과, 여뀌속)학명은 Persicaria amphibia (L.) S.F.Gray이며 종소명 amphibia는 '물과 지상 양쪽에 사는' 의미.엽신에 검은 반점이 있기도 하며 종자 결실이 거의 없다. 물여뀌'20.6.26hyunsik.tistory.com물여뀌 (tistory.com)hyunsik.tistory.com 물여뀌 지상형 꽃(9.25)'20.9.25hyunsik.tistory.com 물여뀌 지상형 꽃(7.19)'14.7.19 / 함안hyunsik.tistory.com'24.5.27 2024. 6. 8.
참좁쌀풀(6.7) [비교] 좁쌀풀, 참좁쌀풀종명좁쌀풀참좁쌀풀분포지전국 각처경기도, 경북, 강원도의 심산지역잎대생 또는 간혹 3~4개씩 윤생.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 대생 또는 윤생. 타원형 또는 난형꽃꽃잎에 무늬가 없고 끝부분이 둥글다.꽃잎 기부에 분홍색 무늬가 있고 끝부분이 뾰족  [기재문]학명은 Lysimachia coreana Nakai이며 특산식물이다.깊은 산속의 다소 습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퍼지고 줄기는 곧추서며 분지하고 능각이 있으며높이 50~100cm. 잎은 마주나거나 3장씩 돌려나고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밋밋하고 양면과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짧다. 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며 꽃부리는 5개로 .. 2024. 6. 8.
화산사초 열매, 종자(5.23) 과낭 길이가 10mm 안밖으로(부리 포함) 사초속에서 제일 길다.종자는 삼릉형으로 과낭에 매우 헐겁게 들어 있으며 암술대가 길게 붙어있다. 화산사초(4.30)'23.4.30hyunsik.tistory.com 화산사초(5.5)'22.5.5hyunsik.tistory.com 화산사초(5.23)'21.5.23hyunsik.tistory.com 화산사초(6.14)'14.6.14hyunsik.tistory.com'21.5.23 2024. 6. 7.
쇠별꽃(5.27) [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1. 암술이 5개이다···································쇠별꽃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3. 화판의 열편이 많이 갈라진다······························왕별꽃        3. 화판이 2열한다.            4. 잎이 선형이다·············실별꽃            4. 잎이 난형, 좁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다···················벼룩나물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유병엽이다        5. 줄기와 화경에 털이 없다·······································일월산별꽃        .. 2024. 6. 6.
좀소리쟁이(5.27) [기재문]학명은 Rumex dentatus L.이며 종소명 dentatus는 '어금니같은 톱니가 있는, 뽀족한 톱니가 있는' 의미. 일본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 황무지, 경작지 주변 및 숲 가장자리의 빈터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30~50cm, 보통 가지를 치며, 세로홈이 있고, 매끈하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줄기잎은 잎자루가 잎몸보다 길고, 긴 타원상 선형, 끝은 둔하고, 밑부분은 둥근 모양이다. 위쪽 줄기잎의 잎자루는 짧다. 꽃은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의 원추꽃차례를 이루어 돌려 달린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다. 화피조각은 6개가 두 줄로 난다. 열매를 맺을 때 바깥쪽 화피조각은 비스듬하게 서며, 안쪽 화피조각은 길이 4~5mm, 폭 2~3mm의 삼각상 달걀 모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 2024. 6. 6.
제비난초(5.31) [난과의 특징]- 잎의 밑부분은 잎싸개(엽초 = 잎집)로 된다.-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 3장(배악편, 측악편 2장), 꽃잎 3장(순판, 측화판 2장)이 떨어져 난다.   cf) 배악편 = 등꽃받침, 측악편 = 곁꽃받침, 순판 = 입술꽃잎, 측화판 = 곁꽃잎- 암술과 수술은 붙어 꽃술대(예주 : 암술과 수술이 붙은 기둥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암술과 암술머리는 1개.- 심피는 3개다.- 씨는 많으며 먼지같이 미세하고 배젖은 없으며 배는 분화되지 않는다.[기재문]학명은 Platanthera densa Freyn subsp. orientalis (Schltr.) Efimov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50cm. 잎은 줄기 아래쪽에 큰 것이 2장 거의 마주난 것처럼 달리고, 위쪽에 작은잎이 있다.큰 잎은 타.. 2024. 6. 6.
뿔말(6.5) [기재문]학명은 Zannichellia palustris L. subsp. pedicellata (Rosén & Wahlenb.) Arcang이며 종소명 palustris는 '늪지의, 소택지의' 의미이며 기본종은 과병이 보다 짧거나 없으며 보다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바닷가, 석호, 염전, 수로, 연못 등담수와 기수에서 모두 생육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침수성 수생식물이다. 물속에서 수분이 이루어진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줄기는 지름 0.2~0.6mm이다. 잎은 줄기의 마디에서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잎몸은 선형으로 길이 5~8cm, 폭 0.5mm,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잎집으로 된다. 꽃은 단성으로 6~7월에 암수한그루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수꽃과 암꽃이 함께 달.. 2024. 6. 5.
참물부추(6.5) 하록성 여러해살풀인 양치식물.대포자엽은 바깥쪽에 20개가 있고, 소포자엽은 중심부에 약 15개 정도가 있다.대포자낭은 길이 4.8~6.2mm, 너비 2.3~3.5mm이고, 대포자는 직경 0.35~0.48mm이며소포자낭은 길이 약 0.2mm이고, 소포자는 길이 0.03~0.04mm로 대포자의 1/10 수준이다.[물부추속 종 검색표] => 모두 한반도 특산식물1. 대포자 기부의 표면은 가시모양과 불규칙한 융기가 있고, 말단의 표면에는 불규칙한 융기가 있다. ----- 참물부추1. 대포자 표면은 기부와 말단부 모두 주름모양 또는 가시모양이다.    2. 대포자 표면은 주름모양이다. ----- 제주물부추    2. 대포자 표면은 가시모양이다. ----- 한라물부추[기재문]학명은 Isoetes coreana Y... 2024. 6. 5.
둥근네잎갈퀴(6.5) [비교] 네잎갈퀴, 좀네잎갈퀴, 둥근네잎갈퀴* 네잎갈퀴 : 잎맥은 1개. 분과는 짧은 털이 있고, 잎은 둥근네잎갈퀴와 비슷하나 폭이 좀더 좁다.* 좀네잎갈퀴 : 잎이 선형~피침형으로 좁고 열매 표면에 돌기모양의 가시가 있다 하나                       네잎갈퀴의 연속적 변이로 본다 함* 둥근네잎갈퀴 : 잎맥은 1개이나 줄기 아래에 있는 잎은 잎맥이 3개인 경우가 있다.                           열매(분과)는 짧은 유두돌기가 있고 과경이 짧아 다소 빽빽이 달리며, 잎은 보다 더 크다.                      네잎갈퀴(5.20)'20.5.20 / 경남hyunsik.tistory.com 둥근네잎갈퀴(8.1)[비교] 네잎갈퀴, 둥근네잎갈퀴* 네잎갈퀴 : 잎맥은.. 2024. 6. 5.
꾸지나무 수꽃(4.30) 잎이 마주나는(꾸지나무는 어긋남) 마주잎꾸지나무는 꾸지나무로 통합.[기재문]학명은 Broussonetia papyrifera (L.) L Her. ex Vent.이며 종소명  papyrifera는 '종이로 쓰인다는' 의미.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길이 7-20cm, 너비 6-15cm로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단거치 또는복거치가 있다. 표면은 털이 있고 거칠며 뒷면도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2024. 6. 4.
종지나물 잎(4.30) [기재문]학명은 Viola papilionacea Pursh이며 종소명 papilionacea는 '나비처럼 생긴' 의미.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화단이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식재하거나 야생화되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잎은 없고, 뿌리잎이 모여난다. 잎자루는 길이 5~15cm이다. 잎몸은 난형으로 길이 4~12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밑은 심장형이다. 꽃은 길이 2cm쯤으로 뿌리에서 난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흰색에 진한 보라색과 황록색의 무늬가 중앙에 있다. 꽃잎은 5개, 가운데 꽃잎은 좁은 배 모양이며, 곁꽃잎에만 수염 같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 바깥쪽 갈래조각은 난상 피침형이다. 꽃부리는 털이 없고, 꽃잎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삭과, 타원형, 길이 1.0~.. 2024. 6. 4.
큰꽃으아리(4.30) [기재문]학명은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이며 종소명 patens는 '활짝 트인' 의미.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길가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갈색, 길이 2~4m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3~5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길이 3~10cm, 폭 2~5cm이며, 보통 3갈래로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에 털이 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나며, 지름 10~15cm,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다. 꽃싸개잎은 없고, 꽃자루는 길이 10~15cm다. 꽃받침잎은 보통 8장이지만 변이가 있고,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없다. 꽃밥은 선형, 길이 0.6~1.0cm다. 수술대는 털이 없고, 꽃밥보다 조금 길.. 2024. 6. 4.
자주달개비(6.4) [기재문]학명은 Tradescantia reflexa Raf.이며 종소명 reflexa는 '젖혀진' 의미.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50cm, 청록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25cm쯤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꽃은 5월에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지름 2~3cm로 자주색을 띠며, 당일에 피었다 진다. 수술은 6개, 수술대에 자색의 긴 털이 있으며, 염주 모양으로 일렬로 세포가 배열한다. 열매는 9월에 익으면 터진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정원, 화단에 심어 기르거나 야생화되어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자주달개비(닭의장풀과/6.19)'19.6.19hyunsik.tistory.com'24.6.4 2024. 6. 4.
꽃꿩의다리 꽃, 열매, 신엽(5.31) [기재문]희귀멸종위기식물, 북방계식물, 호석회식물학명은 Thalictrum petaloideum L.이며 종소명 petaloideum는 '꽃잎 모양의' 의미.잎은 2-3회우상복엽 또는 3출엽이며 최종소엽은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달걀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2-3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없다. 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산방상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고 꽃받침은 4-5개로서 길이 3mm정도이며 수술은 꽃밥과 더불어 길이 10mm정도로서 윗부분이 넓고 양쪽에 1개씩의 맥이 있다. 꽃밥은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수술대 끝에 달려있는 돌기같다. 수과는 길이 4~6mm정도이고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로서 극히 짧은 대가 있거나 없으며 날개같은 능선이 8개 있고 털이 없.. 2024. 6. 3.
댕강나무(줄댕강나무/5.22) [댕강나무속 검색표]1. 자방과 꽃받침에 긴 털이 있다.  -----  긴털댕강나무(영월)1. 자방과 꽃받침에 긴 털이 없다.      2. 꽃은 금년지 상부의 엽액에 여러개가 핀다. 꽃받침 열편은 5개        3. 줄기는 6줄의 홈이 있다.  -----  줄댕강나무(댕강나무로 통합함)        3. 줄기는 홈이 없다.  -----  댕강나무            * 줄댕강나무는 댕강나무에 비해 화사(filament = 수술대)에 털이 많다    2. 꽃은 금년지 정단에 2개가 핀다. 꽃받침 열편은 4개        3. 잎과 꽃받침에 털이 밀생한다.  -----  털댕강나무        3. 잎과 꽃받침에 털이 없다.  -----  섬댕강나무(울릉도)참고) 부안군 위도의 바닷가 산지에 서식하는 .. 2024. 6. 3.
흰금털고사리(5.22) 금털고사리속의 종 검색표1. 땅속줄기와 잎자루 기부에 비늘조각은 피침형이고, 잎자루/잎몸/포막에 샘털이 많다. ----- 금털고사리1. 땅속줄기와 잎자루 기부에 비늘조각은 선상 피침형이고, 잎자루/잎몸/포막에 샘털이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2. 잎자루는 털이 거의 없이 매끄럽고, 땅속줄기와 잎자루 기부에 비늘조각은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고,        소우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고, 포막에 털이 거의 없다. ----- 가는잎금털고사리    2. 잎자루는 아래를 향한 긴털이 밀생하며, 비늘조각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소우편은 난상 삼각형이고, 포막에 긴털이 밀집해 있다. ----- 흰금털고사리종명땅속줄기와 잎자루 기부의 비늘조각잎자루기부 소우편포막금털고사리  피침형  희고 짧은 털과 막.. 2024. 6. 3.
대구사초 열매, 종자(5.29) 희귀멸종위기식물.[잎/과낭 비교] 괭이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대구사초종명괭이사초애괭이사초산괭이사초대구사초잎 너비2~3mm2mm3~5mm1.5~2.5mm과낭 모양난형 또는 광란형.상부에 넓은 날개좁은난형 또는 피침형 난형. 피침상 난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난상 원뿔형.등면에 혹이 있다.과낭 크기2.5~4mm3~3.5mm × 1mm3~4mm × 1mm2.5~3.2mm기타포엽이 길다엽초 기부에 주름.포엽이 거의 없음포엽이 가시모양과낭 혹부위에갈색의 띠가 있다. [비교] 대구사초, 타래사초(5.13)[좌 : 타래사초(포엽이 없다) / 우 : 대구사초(포엽이 있다)]    '19.5.13 / 경남hyunsik.tistory.com 대구사초(4.15)'20.4.15hyunsik.tistory.com 대구사초.. 2024. 6. 3.
새모래덩굴 초기 열매 (5.29) 열매는 둥글며 검은색으로 지름이 1cm이고 종자는 편평하며 둥근 콩팥모양으로 지름이 7mm정도로 요철이 심한 홈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새모래덩굴 신엽(4.7)'20.4.7hyunsik.tistory.com 새모래덩굴 수꽃(5.1)'22.5.1hyunsik.tistory.com 새모래덩굴 암꽃(4.30)'23.4.30hyunsik.tistory.com 새모래덩굴 암꽃(6.15)'14.6.15일 / 의성새모래덩굴 수꽃 보기 :hyunsik.tistory.com'24.5.29 2024. 6. 3.
유카(5.29) [비교] 유카, 실유카종명유카실유카잎 길이, 폭길이 40~100cm, 폭 3.5~6.0cm길이 30~100cm, 너비 2~3cm,가장자리가 실오리 모양으로 떨어진다.꽃색흰색 또는 연한 녹색흰색[기재문]학명은 Yucca gloriosa L.이며 종소명 gloriosa는 '빛나는' 의미.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정원, 화단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상록 떨기나무. 높이 5m쯤이고 로제트형을 이루어 직립하는 줄기가 모여난다. 잎은 곧으나 뒤틀리기도 하며 피침형이고 납작하나 끝부분이 오목하며 길이 40~100cm, 폭 3.5~6.0cm이다. 녹색 또는 청록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며 나중에 섬유질로 되고 어릴 때는 윤기가 난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꽃줄기 끝의 원추꽃차례에 밑을.. 2024. 6. 3.
산작약 꽃, 열매(5.31) [기재문]학명은 Paeonia obovata Maxim.이며 종소명 obovata는 '도란형의' 의미.희기멸종위기식물. 습기가 많고 반 그늘진 숲속에 살며 5~6월경에 분홍색 꽃을 피운다. 깊은 산 낙엽 활엽수림 및 혼합림의 숲 안 반 그늘진 곳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갈라지며 길고, 자르면 보통 홍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70cm이고 가지를 친다. 잎은 엇갈려 달리는데 1~2회 3갈래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 잎은 도란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거나 잎줄 위에만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지름 7~10cm로 벌어진다. 꽃잎은 5~7장으로 보통 연한 분홍색 또는 홍색이다. 수술은 많.. 2024. 6. 3.
콩다닥냉이 열매, 종자(5.27) [비교] 길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좀다닥냉이, 털다닥냉이, 다닥냉이종명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콩다닥냉이좀다닥냉이털다닥냉이다닥냉이수술 개수2개2개(4개)2개2, 4개6개꽃잎 길이0.3 ~ 1mm1 ~2.5mm꽃잎 없음0.4 ~ 0.6mm거의 퇴화열매길이 2.5 ~ 3mm.중앙부의 윗부분이가장 넓다. 길이 2.5 ~ 3.5mm.중앙부가 가장 넓다.길이 2 ~ 3mm.열매의 끝부분은뾰족.표면에 그물무늬. 길이 1.8 ~ 2mm.열매의 끝부분에는날개가 없다.표면에 털이 있다.길이 2.5 ~ 3mm,폭 2mm로타원상 원형  콩다닥냉이 신엽(2.17)'20.2.17hyunsik.tistory.com 콩다닥냉이 꽃(5.11)[비교] 길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좀다닥냉이, 털다닥냉이, 다닥냉이종명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2024. 6. 2.
유럽전호 열매(5.28) 열매는 길이 3-4㎜, 달걀모양이며 표면에 갈고리처럼 끝이 굽은 털이 밀생하고 2개의 분과로 이루어지며 분과의 끝은 부리모양으로 길게 자라며 끝에 작은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다시 달린다.  유럽전호 신엽(3.11)'22.3.11hyunsik.tistory.com 유럽전호 꽃(전호속/4.20)전호아재비 꽃(전호아재비속/4.22) '19.4.22 hyunsik.tistory.com '20.4.20hyunsik.tistory.com 유럽전호 열매(6.13)'20.6.13hyunsik.tistory.com'24.5.28 2024. 6. 2.
길다닥냉이 열매, 종자(5.27) [비교] 길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좀다닥냉이, 털다닥냉이, 다닥냉이종명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콩다닥냉이좀다닥냉이털다닥냉이다닥냉이수술 개수2개2개(4개)2개2, 4개6개꽃잎 길이0.3 ~ 1mm1 ~2.5mm꽃잎 없음0.4 ~ 0.6mm거의 퇴화열매길이 2.5 ~ 3mm.중앙부의 윗부분이가장 넓다. 길이 2.5 ~ 3.5mm.중앙부가 가장 넓다.길이 2 ~ 3mm.열매의 끝부분은뾰족.표면에 그물무늬. 길이 1.8 ~ 2mm.열매의 끝부분에는날개가 없다.표면에 털이 있다.길이 2.5 ~ 3mm,폭 2mm로타원상 원형  콩다닥냉이 열매, 종자(6.6)'20.6.6hyunsik.tistory.com 길다닥냉이 꽃(4.24)[비교] 길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좀다닥냉이, 털다닥냉이, 다닥냉이종명길다닥냉이(=나도콩냉.. 2024. 6. 2.
쥐다래 잎, 줄기 종단면의 수(5.23) [비교] 개다래, 쥐다래종명개다래쥐다래엽저 / 엽병주로 넓은 쐐기형, 원 / 털이 없다주로 심장형 / 털이 있다.꽃이 달리는 잎의 색백색백색 -> 적색 -> 녹백색으로 변한다꽃의 지름2 ~ 2.5cm1.2 ~ 2cm줄기 종단면의 수백색으로 차있다.갈색의 계단상열매장타원형이며 끝이 뾰족. 황색으로 익는다.장타원형. 녹황색으로 익는다.* 줄기 종단면의 수 형상은 개다래를 제외하고 유사분류군의 경우 모두 갈색 계단상이다(다래, 섬다래, 양다래, 쥐다래) 적색 -> 녹백색으로 변한다꽃의 지름2 ~ 2.5cm1.2 ~ 2cm" data-og-host="hyunsik.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hyunsik.tistory.com/entry/%EA%B0%9C%EB%8B%.. 2024.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