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노루오줌속 종 검색표
1. 줄기 기부의 지하엽경은 보통 1개. 개화기는 5월 하순~7월 하순.
화축에는 갈색의 짧은 선모(길이 0.1~0.2mm)가 밀생, 갈색의 긴털(1.0~2.8mm)이 산재
식물체 전체에 긴 털이 산재 ----- 숙은노루오줌
1. 줄기 기부의 지하엽경은 보통 2~9개. 개화기는 6월 하순~9월 초순.
2. 화축에는 갈색의 긴 선모(길이 1.5~2.7mm)만 밀생.
식물체 전체에 긴 선모가 밀생 ----- 울진노루오줌
2. 화축에는 갈색의 긴 털(길이 1.0~2.2mm)이 밀생, 짧은 선모(0.1~0.2mm)가 산재,
식물체 전체에 긴 털이 산재
3. 정소엽은 타원형 또는 마름모상~타원형이며, 길이 43.0~109.1mm이고,
선단부의 거치가 깊게 갈라지지 않는다. ----- 노루오줌
3. 정소엽은 장타원형 또는 마름모형이며, 길이 20.3~41.1mm이고,
선단부의 거치가 깊게 갈라진다. ----- 한라노루오줌
* 출처 : "한국산 노루오줌속(범의귀과)의 분류학적 연구" (2016년)
* DNA 분석 결과 울진노루우줌은 노루오줌과 동종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한다.
[비교] 노루오줌, 숙은노루오줌 (참조 : 한국의 산꽃)
종 명 | 노루오줌 (A. chinensis (Maxim.) Franch. & Sav.) |
숙은노루오줌 = 흰숙은노루오줌 (Astilbe koreana (Kom.) Nakai) |
뿌리잎 | 2~4(~9)장이 나온다 | 1(2)장이 나온다 |
줄기 | 갈색의 긴 샘털이 있다. | 갈색의 긴 털과 샘털이 흩어져 있다. |
화서 형태 | 직립하며, 숙은노루오줌에 비해 보통 좁고 길다. |
옆으로 처지나 드물게 직립하며, 노루오줌에 비해 보통 넓고 짧다. |
꽃색 | 홍자색 또는 연한 붉은색 |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 |
소엽의 끝 형태 | 짧게 뾰족하고 엽연은 복거치 또는 결각상 톱니 |
길게 뾰족하고 엽연은 결각상 톱니 |
주1. 한라노루오줌(A. taquetii (H.Lév.) Koidz.)은 노루오줌에 비해 최종 중앙의 작은잎이 길이 2~4cm의
장타원형~마름모형이고 윗부분의 톱니가 깊은 것이 특징이다.
주2. 울진노루오줌(A. uljinensis B.U.Oh & H.J.Choi )은 뿌리잎의 엽병과 엽축이 녹색이고 긴 샘털이 밀생하고
갈색의 긴 퍼진 털이 약간 혼생하는 것이 특징이나, 최근 노루오줌에 통합처리하는 추세이다.8)
노루오줌(6.18)
[비교] 숙은노루오줌, 울진노루오줌, 노루오줌, 한라노루오줌1. 줄기 기부의 지하엽경은 보통 1개. 개화기는 5월 하순~7월 하순. 화축에는 갈색의 짧은 선모(길이 0.1~0.2mm)가 밀생, 갈색의 긴
hyunsik.tistory.com
울진노루오줌 (6.16)
학명 : Astilbe uljinensis B.U.Oh & H.J.Choi (신종)[비교] 숙은노루오줌, 울진노루오줌, 노루오줌, 한라노루오줌1. 줄기 기부의 지하엽경은 보통 1개. 개화기는 5월 하순~7월 하순. 화축에는 갈색의
hyunsik.tistory.com
숙은노루오줌 흰꽃(7.3)
[비교] 노루오줌속 종 검색표1. 줄기 기부의 지하엽경은 보통 1개. 개화기는 5월 하순~7월 하순. 화축에는 갈색의 짧은 선모(길이 0.1~0.2mm)가 밀생, 갈색의 긴털(1.0~2.8mm)이 산재 식물체 전
hyunsik.tistory.com














'18.7.8. 태백산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팻집나무 단지, 수피(3.25) (0) | 2025.03.28 |
---|---|
박달나무 수꽃, 수피(3.6) (0) | 2025.03.28 |
계수나무 양성화, 수피(3.24) (0) | 2025.03.24 |
개복수초 인엽(3.24) (0) | 2025.03.24 |
박새 꽃(7.8)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