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날개현호색(4.3)

by 곰보배추 2025. 4. 7.

[비교] 날개현호색, 갈퀴현호색, 수염현호색

- 외화피 기부에 날개가 있으면 날개현호색

- 날개가 갈라져 있으면 갈퀴현호색

- 수염처럼 한 가닥 나와 있으면 수염현호색

[기재문]

학명은 Corydalis alata B.U.Oh & W.R.Lee이며 종소명 alata는 '날개가 있는' 의미. 특산식물.

숲속의 습기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줄기는 둥글며, 지름 1.0~1.5cm, 속은 흰색이다.

줄기는 높이 6~25cm, 밑부분에 황록색 비늘잎이 있다.

경생엽은 2개, 연녹색에서 녹색을 띠며 표면에 드물게 흰색 점이 있다. 잎자루 길이는 1.5~6cm이다.

엽신은 3출엽 또는 2회 삼출엽으로 소엽은 장타원상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는 0.9~6.5cm,

너비는 0.1~1cm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3~4월 개화, 줄기 끝에 2~11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포엽은 펼쳐진 부채모양으로 길이는 4.7~11.8mm,

너비는 2.8~10.3mm이다. 화경 길이는 개화기에 2.7~8.3mm, 결실기에 6.8~20mm 정도로 된다.

청백색에서 자주색을 띠는 꽃은 하측 화판은 2개, 위쪽은 1개이고 길이는 1.5~2.7cm, 안쪽 화판은 길이 7~9mm 정도.

위쪽 꽃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아래쪽 꽃잎의 밑부분은 밋밋하다.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다.

자방은 곤봉형으로 길이 6.5~8.8mm이고 암술머리 너비는 1.1~1.4mm이고 유두상 돌기는 14개이다.

4~6월 성숙, 삭과의 열매는 약간 편형한 방추형으로 길이는 8.5~20mm, 너비는 3.4~5mm 정도이다.

종자는 윤기가 있는 검정색을 띠며 구형으로 길이는 1.8~2mm, 너비는 1.4~1.9mm이고 2줄로 배열된다.

열매는 삭과, 편평하다. 경북 포항 내연산에서 채집되어 2010년 신종으로 발표된 한국 특산식물이다.

[현호색과의 꽃 특징]

- 외화판은 2장이며 분리(상부 외화판, 하부 외화판)

- 내화판 2장은 통상적으로 합착한다. 단, 섬현호색은 분리

- 꽃받침이 발달하지 않으나 갈퀴현호색과 수염현호색은 꽃받침이 있다.(날개현호색은 하부 외화판 기부가 날개모양)

[비교] 현호색류, 괴불주머니류

- 현호색류 : 괴경이 있다.

- 괴불주머니류 : 괴경이 없다.

[현호색과의 절 검색표] 출처는 현호색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1999년)

1. 다년초. 괴경과 지하경이 있고, 뿌리는 수근계

    2. 괴경은 1개로 구형이고, 묵은 괴경은 횡으로 쪼개져서 여러 개의 새로운 괴경을 형성.

        주두는 납작한 다각형이고 주두돌기는 8~14개 ----- 현호색절

    2. 괴경은 1개 이상으로 불규칙한 구형이고, 묵은 괴경 위에 새로운 괴경을 형성

        주두는 통통한 선형으로서 좌우로 신장하여 화주와 J형을 이루며 주두돌기는 4개 ----- 들현호색절

        (좀현호색, 들현호색)

1. 이년초. 괴경과 지하경이 없고, 뿌리는 직근계

    3. 줄기의 단면은 5각형으로 능각이 있고, 거의 끝이 가늘게 좁아지며 꽃은 주로 노랑색이나

        청색부터 홍자색을 띄는 종도 있다.

        선형의 열매는 곧으며, 봉선을 따라 과피가 말리면서 터지듯히 종자산포한다. ----- 선괴불주머니절

        (선괴불주머니, 가는괴불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3. 줄기의 단면은 원형으로 능각이 없고, 거의 끝이 둥글게 넓어지며 꽃은 황색이다. 염주형의 열매는

        초승달모양으로 휘며, 봉선을 따라 과피가 뒤틀리면서 서서히 종자산포한다. ----- 산괴불주머니절

        (염주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꽃이 2cm이하인 현호색속의 종 비교]

종명 흰현호색 남도현호색 각시현호색 털현호색
꽃색 흰색~연한 하늘색
(~연한 적자색)
백색, 연한 하늘색,
적자색 등 다양함.
백색, 하늘색, 남청색 백색(~연한 하늘색)
화피
모양
내화피 선단부는
V자 모양.
내화피 선단부는
V자 모양.
외화피는넓고 하부
외화피는 마름모 모양.

내화피 선단부는 구형
또는  V자 모양.
내화피 선단부는
V자 모양.
줄기 털이 없다. 털이 없다. 털이 없다. 보통 털이 있다.
열매 납작한 선형이며 약간
구부러짐.

씨는 1열 배열.
방추형.
씨는 2열 배열.
선형.
씨는 1열로 배열
방추형~넓은 방추형.
씨는 2열 배열.
1~2회 3출엽 1~2회 3출엽 3출엽.
잎 테두리가 붉은색을 띰.
1~2회 3출엽

[현호색절의 종 검색표] 출처는 '현호색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1999년)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있다. ----- 선현호색(잎은 2~3회 3출엽)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없다.

    2. 열매는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종자가 1열 배열

        3. 열매는 넓은 선형으로 곧고, 꽃은 진한 청색이며,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은 넓고 가장자리가 원형 ----- 왜현호색

        3. 열매는 좁은 선형으로 초승달 모양으로 휘고, 꽃은 청색부터 홍자색까지 변이가 심하며,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은 좁고 가장자리가 마름모형

            4. 줄기는 직립한다. 잎은 3출엽. 소엽은 도란형 또는 부채모양으로 선단이 장상으로 천열하고,

                표면의 엽맥을 따라 흔히 부채살모양의 흰 줄이 생긴다.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 가장자리는 결각상 또는 파상을 이룬다. 주두돌기는 12개 ----- 조선현호색

           4. 줄기는 엽병과 Y자형을 이룬다. 잎은 1-3회 3출엽. 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등 형태적 변이가 심하고,

               거치가 없거나 불규칙하게 천열 또는 심열하여 집단 내에서 원형, 코스모스옆형, 댓잎형 등 다양한 엽형이

               관찰되며, 엽맥을 따라 보통 부채살모양의 흰 줄이 생기지 않는다.

               꽃 앞부분의 외화판변 가장자리는 결각상이나 파상을 이루지 않고 매끄럽다. 주두는 14개 ----- 현호색

   2.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종자가 거의 2열 배열, 한국 특산식물

       5. 열매는 원통형. 줄기는 직경 5-7mm로서 직립하고 내화판의 선단이 분리된다. 암술대가 거의 없으며

           주두돌기는 8개, 경북 울릉도에 분포 ----- 섬현호색

            * 섬현호색은 현호색절에서 가장 대형이며 잎이 3~4회 3출엽이고 개체수도 많이 않는 희귀식물.

       5.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줄기는 직경 1-3mm로서 엽병과 Y자형을 이루고, 내화판의 선단이 합착한다.

           암술대가 뚜렷이 존재하며 주두돌기는 14개. 한국 중부 또는 제주도에 분포

           6. 꽃받침은 광타원형으로 길이 3-5mm이고, 꽃받침의 기부는 자방부위를 감싸고 상부는 화통 위로 솟아

               선단이 갈퀴모양으로 갈라진다 ----- 갈퀴현호색

          6. 꽃받침은 퇴화되어 관찰되지 않는다.

              7. 화경에 털이 밀생하고 꽃은 잡단내에서 청색부터 홍자색까지 변이가 심하다.

                  줄기 기부가 지면위로 늘어지다가 상향한다. 제주도에 분포 ----- 탐라현호색

             7. 화경에 털이 없고 꽃은 흰색, 진한 청색 또는 하늘색으로 종내 변이가 거의 없다.

                 줄기가 늘어지지 않고 상향한다. 한국 중부에 분포

                 8. 꽃은 진한 청색으로 길이 25-30mm, 하측 외화편의 맥수가 7개.

                     줄기는 갈색이고 괴경의 내부 표면은 황색.

                    잎의 표면에 보통 흰색 반점이 다수 나타난다 ----- 점현호색

                8. 꽃은 백색 또는 하늘색으로 길이 14-25mm. 하측 외화판의 맥수는 5개.

                    줄기는 색색이고 괴경의 내부 표면은 백색, 잎의 표면에 보통 흰색 반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9. 꽃은 백색으로 길이 14-16mm,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용기하지 않으며,

                        내화판의 양 선단이 돌출하지 않는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거치가 없거나 수회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 일대에 분포 ----- 흰현호색

                         * 흰현호색 열매는 다소 구부러져 누운현호색과 구별된다.(1996년 신종 발표 논문 중 적요 참조)

                   9. 꽃은 하늘색으로 길이 20-25mm,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하며,

                       내하판의 양 선단이 둘출한다. 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등 형태적 변이가 심하고, 거치가 없거나

                       불규칙하게 천열 또는 심열하여 집단 내에서 빗살형, 코스모스잎형, 댓잎형 등 다양한 엽형이 관찰된다.

                       경기도 현등산에만 분포 ----- 난장이현호색

[현호색속의 종 검색표 1]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 2017년)

1. 주두는 J형으로 주두돌기는 4개이다. 

     2. 괴경은 다수, 근경으로 연결되어 있다. 줄기 기부는 곧추선다. ----- 들현호색

     2. 괴경은 1개, 근경이 없다. 줄기 기부는 비스듬히 누워 자란다. ----- 좀현호색

1. 주두는 다각형으로 주두돌기는 8~14개이다. 

    2. 구형의 부속물이 인편엽의 기부에 있다. ----- 선현호색(잎은 2~3회 3출엽)

    2. 구형의 부속물이 인편엽의 기부에 없다.

        3. 열매는 선형 또는 원통형, 종자는 1열 배열

             4. 열매는 원통형, 줄기는 굵다. 괴경의 내부는 흰색. ----- 섬현호색(특산식물, 울릉도)

                 * 섬현호색은 현호색절에서 가장 대형이며 잎이 3~4회 3출엽이고 개체수도 많이 않는 희귀식물.

             4. 열매는 선형, 줄기는 가늘다.

                  5. 화경에 털이 있고, 꽃은 흰색이다. ----- 흰현호색(특산식물, 오대산, 설악산)

                  5. 화경에 털이 없고, 꽃은 청색, 보라색, 하늘색이다. 

                      6. 외화판은 넓다.

                          7. 외화판변은 원형이고, 꽃은 진한 청색. ----- 왜현호색

                          7. 외화판변은 장릉형이고,

                              꽃은 하늘색. ----- 각시현호색(특산식물, 남한산성, 천마산, 청태산, 광덕산)

                      6. 외화판은 마름모형.

                          7. 외화판가는 물결형. 소엽은 흰줄이 있다. ----- 조선현호색

                          7. 외화판가는 매끈함. 소엽은 흰줄이 없다. 괴경의 내부는 흰색 ----- 현호색

        3. 열매는 방추형, 종자는 2열 배열 또는 거의 2열 배열한다.

             4. 악편은 발달되어 있다.

                 5. 악편은 크며, 갈퀴모양으로 화통을 감싼다. ----- 갈퀴현호색(특산식물, 소백산, 오대산, 태백산)

                 5. 악편은 작고 수염모양으로 화통을 감싸지 않는다. ----- 수염현호색

            4. 악편은 퇴화하여 거의 안보인다.

                5. 외화판 선단이 쇠뿔형이다. 자주색 무늬가 외화판에 두줄 있다. ----- 쇠뿔현호색(특산식물, 경산)

                5. 외화판 선단이 쇠뿔형이 아니다. 

                    6. 하측 외화판 기부는 전저(화살촉 모양)이다. ----- 날개현호색(특산식물, 경주, 포항, 주왕산)

                    6. 하측 외화피 기부는 둥근 모양이다. 

                        7. 꽃색은 흰색, 연노랑색 또는 하늘빛 흰색이다.

                            8. 꽃은 흰색,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있다. ----- 털현호색(특산식물, 미시령)

                            8. 꽃은 흰색 또는 연한 하늘색,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없다. ----- 남도현호색(특산식물)

                                 9. 꽃색은 하늘색 또는 파란색, 보라색이다.

                                     10. 잎은 반점이나 무늬가 있다. ----- 점현호색(특산식물, 천마산, 가리산, 공작산)

                                     10. 잎은 반점이나 무늬가 없다.

                                           11. 내화피 선단이 뽀족하게 돌출하며,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없다. ----- 난쟁이현호색(특산식물, 경기 현등산, 팔공산)

                                           11. 내화피 선단이 뽀족하게 돌출하지 않으며,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있다. ----- 탐라현호색(특산식물, 제주도)

[현호색속의 종 검색표 2] 출처는 '현호색속(현호색과)의 신종: 봉화현호색'(2017년)

1.  암술머리는 J 모양이고 주두 돌기는 4개.
     2. 괴경은 다수이고 줄기는 직립. ----- 들현호색 C. ternata
     2. 괴경은 1개이고 줄기는 포복. ----- 좀현호색 C. decumbens

1. 암술머리는 다각형이고 주두 돌기는 8~14개.
    3. 인편엽에 구형의 괴경이 있음. ----- 선현호색 C. ohii 

         * 선현호색 잎은 2~3회 3출엽
    3. 인편엽에 괴경이 없음. 
         4. 삭과는 선형 또는 원통형. 종자는 1열 배열.
             5. 꽃은 흰색
                  6. 내화판은 분리되어 있고 주두 돌기 8개 ---------- 섬현호색 C. filistipes

                 * 섬현호색은 현호색절에서 가장 대형이며 잎이 3~4회 3출엽이고 개체수도 많이 않는 희귀식물.
                  6. 내화판은 통합되어 있고 주두 돌기 14개 --------- 흰현호색 C. albipetala
             5. 꽃은 청색 또는 보라색
                  7. 외화판 가장자리는 물결형. 소돌기가 있음.
                      8. 괴경은 노란색. ----- 조선현호색 C. turtschaninovii
                      8. 괴경은 흰색. ----- 완도현호색 C. wandoensis
                 7. 외화판 가장자리는 밋밋. 소돌기가 없음.
                      9. 외화판은 좁고 가장자리는 능형. ----- 현호색 C. remota
                      9. 외화판은 넓고 가장자리는 원형 
                          10. 아래 외화판 가장자리는 원형. 꽃은 암청색. ----- 왜현호색 C. ambigua
                          10. 아래 외화판 가장자리는 마름모형. 꽃은 담청색 ----- 각시현호색 C. misandra
         4. 삭과는 방추형. 종자는 2열 배열.
             11. 꽃은 흰색 또는 담황색.
                  12. 소엽은 선형. 내화판은 미철두. 꽃은 옅은 노랑색에서 흰색으로 변하고 길이는 2.1~2.7cm. 
                        주두 돌기는 14개. ----- 봉화현호색 C. bonghwaensis
                  12. 소엽은 타원형. 내화판은 미요두. 꽃은 흰색이고 길이는 1.2~1.8cm. 주두 돌기는 12개. 
                        13. 꽃대와 꽃자루는 무모. 내화판은 짧은 원두. ----- 남도현호색 C. namdoensis
                        13. 꽃대와 꽃자루는 유모. 내화판은 긴 철두. ----- 털현호색 C. hirtipes
            11. 꽃은 청색 또는 보라색.
                  14. 꽃받침은 발달함.
                        15. 꽃받침은 3~5mm. ----- 갈퀴현호색 C. grandicalyx 
                        15. 꽃받침은 0.5~3mm. ----- 수염현호색 C. caudate
                  14. 꽃받침은 없음.
                        16. 아래 외화판은 쇠뿔형. ----- 쇠뿔현호색 C. cornupetala
                        16. 아래 외화판은 쇠뿔형이 아님.
                              17. 아래 외화판 기부는 전저(화살촉 모양). ----- 날개현호색 C. alata 
                              17. 아래 외화판 기부는 둥근 모양.
                                    18. 잎은 흰색 점 무늬가 있음. -----  점현호색 C. maculata
                                    18. 잎은 흰색 점 무늬가 없음. 
                                          19. 꽃대와 꽃자루는 무모. 내화판 선단은 소돌기가 있음. ----- 난장이현호색 C. humilis
                                          19. 꽃대와 꽃자루는 유모. 내화판 선단은 둥근 모양. ----- 탐라현호색 C. hallaisanensis

 

날개현호색(3.29, 3.25)

[비교] 날개현호색, 갈퀴현호색, 수염현호색- 외화피 기부에 날개가 있으면 날개현호색- 날개가 갈라져 있으면 갈퀴현호색- 수염처럼 한 가닥 나와 있으면 수염현호색[기재문]학명은 Corydalis alata

hyunsik.tistory.com

'25.4.3. 영덕